$\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이온성 고분자의 Iodine 착물형성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영향
Influence of Surfactant on the Iodine Complex Formation of Some Non-ionic Polymers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5 no.4, 2018년, pp.1031 - 1037  

안범수 (대진대학교 과학기술대학 생명화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용성 비이온고분자인 Polyvinylalcohol (PVA), Polyvinylpyrrolidone (PVP), Hydroxypropyl cellusoe (HPC)와 iodine과의 착물 형성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Sodiumdodecylsulfate을 포함하는 수용액에서 이들 사이의 반응을 수행하였다. PVP와 HPC에서 tri-iodide band의 적색 이동에 의하여 착물이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게되었고, PVA-iodine 착물에서는 500 nm 부근에서 고유의 특색있는 띠를 나타내었다. SDS 계면활성제의 존재는 PVA-iodine 착물의 파괴를 가져왔고, 고유의 푸른색도 사라지게 만들었다. 그러나 SDS 단량체PVP, HPC와 iodine의 착물 형성을 도와주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고분자 용액에서 겔이 만들어지는 것을 방해하는 n-propanol은 고분자-iodine 착물이 형성되는 것을 도와주었다. SDS가 있을 때와 없을 경우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순수한 HPC와 HPC-iodine 착물을 만들고 이들의 성질을 조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ormation of a complex between PVP or HPC and iodine was indicated by a red shift in the tri-iode band while PVA-iodine complex showed its characterized band around 500 nm in pure aqueous media. Addition of surfactant SDS resulted in a disapperance of the characteristic blue color of the PVA-iod...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음이온계면활성제인 sodiumdo-decylsulfate (SDS)가 존재할 때 수용성 비이온고분자와 iodine 사이의 착물형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고분자는 polyvinylalcohol(PVA), polyvinylpyrrolidone(PVP), hydroxypropyl cellulose(HPC) 등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AN 회절 연구의 결과는? 착물화가 이뤄지는 과정을 보면 먼저 iodine이 고분자 표면에 흡착되면서 시작되고, 이는 고분자의 구조 변화를 가져오게 되고 iodine 분자가 고분자 집합체의 빈 공간으로 들어가서 polyiodine이나 polyiodides로 바뀌게 된다 [8-10]. PAN 회절 연구에 따르면, iodine이 결정상polyacylonitrile 사슬로 침투해 들어가 polyiodine이 polynitrile(PAN) 내부를 팽창시킨다고 알려졌다 [11]. 착물속에서 iodine은 고분자 사슬을 팽창시키고 고분자 격자의 구조를 바뀌게 만든다.
몇가지 수용성 고분자들과 iodine이 관심을 받는 이유는? 몇가지 수용성 고분자들과 iodine은 착물을 형성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착물내의 iodine 원자가 살균성질을 갖기 때문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1-5]. 착물에 부착된 iodine 원자의 살균성질은 고분자 내에서 iodine 원자를 갖고 있는 group의 형태나 성질에 의존한다고 알려져 있다 [6,7].
수용액 상태의PVA-iodine를 만들기 위해 해야하는 것은? 그 동안의 착물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분자-iodine 착물에서 iodine 종이 존재하는 형태는PVA, nylon 6, PVP, ethyl cellulose 등에서 고분자의 특성에 따라 다르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12-16]. 순수한 물 용매에서 iodine의 용해도는 매우 낮기 때문에 iodine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potassium iodide (KI)를 일정량 넣고 고분자-iodine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용액 상태의PVA-iodine 착물에서 분자 간 수소결합의 증가는 착물 형성을 유리하게 하는 경향을 띄었으나, 겔의 존재는 착물을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T. Mori, Y. Okada, and H. Kamiya, "Effects of surface modification of particles on interaction foces and dispersibility", Adv. Powder Tech., Vol. 27, pp. 830-839 (2016). 

  2. H. Y. Lee, "Analyitical characterization of aza alkaloids in the biosynthesis", J. of Kor. Oil Chem. Soc., Vol. 29, No. 2, pp. 248-256 (2010). 

  3. H. Salminen, S. Aulbach, and C. Tedeshe, "Influence of surfactant composition on physical and oxidative stability of lipid particles", Colloids Surf. B Biointerface, Vol. 122, No.1, pp. 46-55 (2014). 

  4. S. J. Lee, J. H. Kim, and J. Y. Song, "A study on the removal of nitrate nitrgen by redox reaction of zink in acidic atmosphere", J. Kor. Oil Chem. Soc., Vol. 33, No. 3, pp. 441-446 (2016). 

  5. C. H. Kim, Y. S. Lim, and H. J. Kim, "Chemical stability and electrical performance of layered zinc tin oxide", ACS Appl. Mater. Interfaces, Vol. 55, No.13, pp. 6108-6112 (2013). 

  6. M. J. Rang, "Trend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olymeric surfactants", J. Kor. Oil Chem. Soc., Vol. 30, No. 3, pp. 546-567 (2015). 

  7. A. J. Olenic, "Silicone emulsions and surfactants", J. Surfact. Deterg., Vol. 3, No. 3, pp. 387-393 (2000). 

  8. J. S. Park and J. C. Lim, "Investigation on a zwitterionic surfactant having ethylene oxide", Appl. Chem. Eng., Vol. 10, No. 2, pp. 605-608 (2006). 

  9. Y. Jin, S. Tian, J. Guo, and S. Gao,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exporatory application of anionic surfactant estersulfonate from waste oil", J. Surfactants Deterg, Vol. 19, pp. 467-475 (2016). 

  10. S. Lee, B. J. Kim, J. G. Lee, and J. C. Lim,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interfacial properties of sorbitan laurae surfactant", Appl. Chem. Eng.,Vol. 22, No. 1, pp 37-44 (2011). 

  11. T. Geng, C. Chang, Y. Jiang, and Y. Wang, "Synergistic effect of binary mixtures contained newly ionic surfactant", J. Mol. Liq., Vol. 232, pp. 36-44 (2017). 

  12. C. Lu, M. Li, and B. Yang, "High refractive index organic inorganic hybrid coatingswith nanocrystals", Colloi. and Surfa. A Physicochem. Eng., Vol. 328 pp. 67-72 (2008). 

  13. Z. Peng, Q. WU, T. Cai, and K. Chen, "Synthesis and properties of hydrolysis resistant trioxane surfactants", Colloids and Surfaces A, Vol. 342, pp. 127-131 (2009). 

  14. W. Wang, Z. Du, Q. Cao, and L. Wang, "Properties and glucosamide based tetrasiloxsane surfactants", J. Disp. Sci. Tech., Vol. 33, pp. 654-659 (2012). 

  15. C, S. Kweon, D. W. Kim, and S. T. Noh, "Synthesis and physical properties of oligopropylene oxide allyl methyl ether", J. Ind., Eng. Chem., Vol. 9, No. 2, pp. 146-152 (2003). 

  16. D. W. Kim, C. H. Lim, and S. T. Noh, "Surface active properties and LCST behaviour of ol;igo propylene oxide sufactants in aqueous solutions", Bull. Kor. Chem. Soc., Vol. 25, No. 8, pp. 1182-1188 (2004). 

  17. J. Acker and K. Bohmhammel, "Thermodynamics Assessment of copper catalysed synthesis of methylchlorosilanes", J. Organemet., Chem., Vol. 693, pp. 2483-2493 (2008). 

  18. J. H. Seo, S. J. Park, and S. H. Um, "Swelling and metal ion adsorption of conjugated polyasparte hydrogels", J. of Polymer and Environment, Vol. 23, No. 3 pp. 424-430 (2015). 

  19. G, S. Sailaka, P. Ramesh, and H. Varmars, "Effect of surface functionalization on the physomechanical properties of a biofunctional polymers", J. of Appl. Poly. Soc., Vol. 121, No. 6, pp. 3509-3515 (2011). 

  20. E. R. George, A. Fogel, and S. E. Morgan, "Functionalized hollow nanoparticles for incorporation in hydrogels", Polymer Bulletin, Vol. 73, No. 4, pp. 1135-1140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