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면활성제를 활용한 이산화탄소 상태에 따른 주입특성 평가
Characteristic of Injection According to CO2 Phases Using Surfactants 원문보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24 no.6, 2023년, pp.5 - 11  

강석구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정종원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석탄 및 석유와 같은 전통적인 화석 연료는 연소 시 발생하는 열을 통해 에너지를 공급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대기 중에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지구 온난화를 유발한다.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해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방안 중 하나로, 이산화탄소 지중 저장 기술이 관심을 받고 있다. 이산화탄소 지중 저장플랜트 등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덮개암 하부 포화지반층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저장하는 방법을 일컫는다. 하지만, 제한된 공간에 더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 저장을 위해서는 저장 효율의 향상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계면활성제를 활용하여 이산화탄소 지중 저장의 효율을 향상하고자 한다. 또한, 지중저장소의 위치에 따라 압력 및 온도가 상이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는 기체, 액체 및 초임계 상태로 존재가능하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상태에 따른 저장 효율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주입속도 및 계면활성제의 활용은 저장 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그 효과는 기체, 액체 및 초임계 상태 이산화탄소에 발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ngineering industry heavily relies on fossil fuels such as coal and petroleum to generate energy through combustion. However, this process emits carbon dioxide into the atmosphere, leading to global warming. To mitigate this issue, researchers have explored various methods to reduce carbon diox...

주제어

표/그림 (13)

참고문헌 (22)

  1. Cao, S. C., Dai, S. and Jung, J. (2016), Supercritical CO 2 and?brine displacement in geological carbon sequestration: Micromodel?and pore network simulation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Greenhouse Gas Control, 44, 104~114. 

  2. Chang, C., Kneafsey, T. J., Tokunaga, T. K., Wan, J. and?Nakagawa, S. (2021), Impacts of pore network-scale wettability?heterogeneity on immiscible fluid displacement: a micromodel?study, Water Resources Research, 57(9). 

  3. Finley, R. J., Frailey, S. M., Leetaru, H. E., Senel, O., Coueslan,?M. L. and Scott, M. (2013), Early operational experience at a?one-million tonne CCS demonstration project, Decatur, Illinois,?USA. Energy Procedia, 37, 6149~6155. 

  4. Gang, S. and Jung, J. (2022), Increase of CO 2 injection ratio?using surfactants based on the micromodel experiment, Journal?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23(12), 55~61. 

  5. Global CCS Institute (GCCSI) (2015), What is CCS?, Melbourne,?Australia. 

  6.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Korea's 2050 Carbon?Neutral Strategy for the Relization of a Sustainable Green?Society 2020. URL: https://www. gihoo. or. kr/netzero/download/?LEDS_REPORT.pdf. 

  7. Gwon, L. G. (2016), Review of CO 2 storage projects and driving?strategy of CO 2 storage program in Korea, KEPCO journal on?electric power and energy, 2(2), 167~185. 

  8. Ha, M. and Jung, J. (2019), Study of kaolin particle migration?and clogging using a micromodel, Journal of the Korean?Geotechnical Society, 35(4), 37~42. 

  9. Iglauer, S., Wulling, W., Pentland, C. H., Al-Mansoori, S. K.?and Blunt, M. J. (2011), Capillary-trapping capacity of sandstones?and sandpacks, Spe Journal, 16(04), 778~783. 

  10.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5), Carbon?dioxide capture and storage, Cambridge, UK and New York,?NY, USA, pp. 442. 

  11. Jackson, R. B., Friedlingstein, P., Le Quere, C., Abernethy, S.,?Andrew, R. M., Canadell, J. G. and Peters, G. P. (2022), Global?fossil carbon emissions rebound near pre-COVID-19 levels,?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17(3), 031001. 

  12. Jafari, M. and Jung, J. (2017), Direct measurement of static and dynamic contact angles using a random micromodel considering?geological CO 2 sequestration, Sustainability, 9(12), 2352. 

  13. Jafari, M. and Jung, J. (2019), Salinity effect on micro-scale?contact angles using a 2D micromodel for geological carbon?dioxide sequestration, Journal of Petroleum Science and Engineering,?178, 152~161. 

  14. Kang, K., Huh, C. and Kang, S. G. (2015), A numerical study?on the CO 2 leakage through the fault during offshore carbon?sequestr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18(2), 94~101. 

  15. Kim, S. and Santamarina, J. C. (2014), Engineered CO 2 injection:?The use of surfactants for enhanced sweep efficiency, International?Journal of Greenhouse Gas Control, 20, 324~332. 

  16. Lenormand, R. (1990), Liquids in porous media, Journal of Physics:?Condensed Matter, 2(S), SA79. 

  17. Metz, B., Davidson, O., De Coninck, H. C., Loos, M. and Meyer,?L. (2005), IPCC special report on carbon dioxide capture and?storag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Park, G., Kim, S. O. and Wang, S. (2021), The effect of the?surfactant on the migration and distribution of immiscible fluids?in pore network,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54(1),?105~115. 

  19. Ryou, J. E. and Jung, J. (2022), Characteristics of biopolymer?guar gum solution injection for eco-friendly ground reinforcement,?Journal of Korean Hazard and Mitigation, 22(1), 201~207. 

  20. Ryou, J. E. and Jung, J. (2022), Penetration behavior of biopolymer?aqueous solutions considering rheological properties, Geomechanics?and Engineering, 29(3), 259~267. 

  21. Tsouris, Costas, Douglas S. Aaron and Kent A. Williams (2010),?Is carbon capture and storage really needed?, 4042~4045. 

  22. Xie, X. and Economides, M. J. (2009, March), The impact of?carbon geological sequestration, Society of Petroleum Engineers,?n SPE Americas E&P Environmental and Safety Conference.?OnePetro.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