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운동 시 대사적 산성화에 관한 고찰
The Review of Metabolic Acidosis During Exercise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5 no.4, 2018년, pp.1433 - 1441  

윤병곤 (동의대학교 체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강도 운동 시 산성화의 과정은 수소이온의 방출과 젖산 나트륨염을 형성하는 젖산의 생산 증가에 따른 것이라 설명되어져 왔다. 이 설명에 의하면, 젖산의 생산 비율이 세포내의 수소이온 완충능력을 초과하였을 때 세포의 수소이온 농도는 증가한다고 한다. 이러한 생화학적 과정을 젖산의 산성화라 한다. 이 이론에 따라 고강도 운동 시 젖산의 생산이 대사적 산성화와 피로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 왔다. 그러나, 본 고찰에서는 젖산의 생산이 산성화와 피로의 원인이라는 어떠한 생화학적 근거가 없음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다. 오히려 젖산의 생산은 해당과정에서 필요한 $NAD^+$의 지속적인 공급을 위해 필수적이며 수소이온을 소비하는 대사과정이다. 젖산의 축적은 세포와 혈중의 수소이온 농도의 증가를 알려주는 좋은 지표가 될 수는 있지만 그것이 산성화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velopment of acidosis during intense exercise has traditionally been explained by the increased production of lactic acid which causes the release of a proton and the formation of the acid salt sodium lactate. Through this explanation, when the rate of lactate production is high enough to exce...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성능/효과

  • Margaria, Edwards & Dill [15]의 연구에서는 혈중lactic acid의 축적이 혈중 pH의 변화와 동시에 일어난다고 하였고, 보다 최근의 Sahlin, Harris, Nylind & Hultman [16]의 연구에서도 같은 결과와 해석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에서는 최대 운동 시와 회복 시의 혈중 pH, lactate, 그리고 pyruvate를 측정하여, 혈중 pH와 두 변인인 lactate와 pyruvate의 축적이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 주였다. 더욱이 다른 운동 강도 일 때나 운동 시 혹은 회복시의 경우에도 같은 상관관계가 있었다고 보고하고 있다.

후속연구

  • 각각의 에너지 생산 시스템들은 수소이온을 방출하기도 하며 소비하기도 하는 차별되는 화학반응에 따라 ATP를 생산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들을 살펴봄으로써 수소이온의 방출과 소비에 따른 각각의 반응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actic acid은 무엇을 기본 분자로 가지고 있는가? Lactic acid는 강한 산성(pH = 3.87)을 띄는 carboxylic acid의 기본 분자를 가지고 있다 [2, 3, 4, 5]. Lactic acid는 강한 강도의 운동 시 근육에 많은 양이 생성되어, 수소이온을 방출함으로써 근육내의 pH를 감소시키고 젖산염(acid salt lactate)을 생산하게 된다.
젖산(lactic acid)의 생산에 의한 현상은 무엇인가? 강한 운동 수행 시 혈중과 근육내의 lactate의 증가와 동시에 일어나는 수소이온의 농도를 나타내는 pH의 감소는 젖산(lactic acid)의 생산에 의한 현상이라고 설명되어 왔다 [1]. 이는 운동 시근육의 수행 및 기능 감소로 인해 생리적 시스템의 기능 저하, 즉 피로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인식 되어 왔다.
젖산의 산성화(lactic acidosis)과정이란 무엇인가? 87)을 띄는 carboxylic acid의 기본 분자를 가지고 있다 [2, 3, 4, 5]. Lactic acid는 강한 강도의 운동 시 근육에 많은 양이 생성되어, 수소이온을 방출함으로써 근육내의 pH를 감소시키고 젖산염(acid salt lactate)을 생산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젖산의 산성화(lactic acidosis)라고 한다 [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J. M. Metzger, M. L. Greaser, R. L. Moss, "Variations in cross-bridge attachment rate and tension with phosphorylation of myosin in mammalian skinned skeletal muscle fibers. Implications for twitch potentiation in intact muscle", Journal of General Physiology, Vol.93, pp. 855-883, (1989). 

  2. H. Hagberg, "Intracellular pH during ischemia in skeletal muscle: relationship to membrane potential, extracellular pH, tissue lactic acid and ATP", Pfliigers Arch, Vol.404, No.4 pp.342-347, (1985). 

  3. Lehninger AL, The Principles of Biochemistry 2nd Ed. p.342-347, Worth. (1982). 

  4. K. Sahlin, M. Tonkonogi, K. Soderlund, "Energy supply and muscle fatigue in humans", Acta Physiol Scand, Vol.162, pp. 261-266, (1998). 

  5. Stryer L, Biochemistry 4th Ed. Freeman.(1995). 

  6. Laski ME, Wesson DE, Lactic acidosis. In: Acid-Base and Electrolyte Disorders: A Companion to Brenner and Rector's The Kidney, edited by DuBose TD and Hamm LL. Saunders, (2002). 

  7. H. G. Kim, "The response of fatigue in blood based on dance training program in 12week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Vol.17, pp. 1-12, (2008). 

  8. H. E. Jin, "Effects of changes in blood fatigue induction factors following different muscle group recruitment exercise", Exercise Science, Vol.15, pp. 319-328, (2006). 

  9. A. Katz, K. Sahlin, "Regulation of lactic acid production during exercise", J Appl Physiol, Vol. 65, pp. 509-518, (1988). 

  10. W. Stringer, R. Casaburi, K. Wasserman, "Acid-base regulation during exercise and recovery in humans", J Appl Physiol, Vol.72, pp. 954-961, (1992). 

  11. E. J. Park, H. J. Gu, J. K. Lee, "Setting of proper exercise intensity to recover from lactate fatigu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Girls and Women, Vol.18, No.1 pp. 67-75, (2004). 

  12. Holten CH, Muller A, Rehbinder D, Lactic Acid: Property and Chemistry of Lactic Acid and Derivatives. Verlag Chemie, (1971). 

  13. A. V. Hill, C. N. H. Long, H. Lupton, "Muscular exercise, lactic acid and the supply and utilization of oxygen", Proc R Soc Lond B Biol Sci, Vol.16, pp. 84-137, (1924). 

  14. M. A. Shampo, R. A. Kyle, "Otto Meyerhoff-Nobel Prize for studies of muscle metabolism", Mayo Clin Proc, Vol.74, pp. 67, (1999). 

  15. R. Margaria, H. T. Edwards, D. B. Dill, "The possible mechanism of contracting and paying the oxygen debt and the role of lactic acid in muscular contraction", Am J Phyiol, Vol.106, pp. 689-715, (1933). 

  16. K. Sahlin, R. C. Harris, B. Nylind, E. Hultman, "Lactate content and pH in muscle samples obtained after dynamic exercise", Pfiigers Arch, Vol.367, pp. 143-149, (1976). 

  17. W. B. Busa, R. Nuccitelli, "Metabolic regulation via intracellular pH", Am J Physiol Regul Intergr Comp Phsiol, Vol.246, pp. R409-R438, (1984). 

  18. S. C. Dennis, W. Gevers, L. H. Opie, "Protons in ischemia: where do they come from; where do they go to?", J Mol Cell Cardiol, Vol.23, pp. 1077-1086, (1991). 

  19. D. R. Wilkie, "Generation of protons by metabolic processes other than glycolysis in muscle cells: a critical view", J Mol Cell Cardiol, Vol.11, pp. 325-330, (1979). 

  20. J. G. Tafaletti, "Blood lactate: biochemistry, laboratory methods and clinical interpretation", CRC Crit Rev Clin Lab Sci, Vol.28, pp. 253-268, (1991). 

  21. Juel, C. (1996). Lactate/proton co-transport in skeletal muscle: regulation and importance for pH homeostasis. Acta Physiol Scand, 156, 369-374. 

  22. M. I. Lindinger, G. J. Heigenhauser, "The roles of ion fluxes in skeletal muscle fatigue", Can J Physiol Pharmacol, Vol.69, pp. 246-253, (1991). 

  23. D. A. Roth, G. A. Brooks, "Lactate transport is mediated by a membrane bound carrier in rat skeletal muscle sarcolemmal vesicles", Arch Biochem Biophys, Vol.279, pp. 377-385, (1990). 

  24. M. C. Wilson, V. N. Jackson, C. Heddle, N. T. Price, H. Pilegaard, C. Juel, A. Bonen, L. Montgomery, O. F. Hutter, A. P. Halestrap, "Lactic acid efflux from white skeletal muscle is catalyzed by the monocarboxylate transport isoform MCT3", J Biol Chem, Vol.273, pp. 15920-15926, (1998). 

  25. E. J. Davis, J. Bremer, K. E. Akerman, "Thermodynamic aspects of translocation of reducing equivalents by mitochondria", J Biol Chem, Vol.255, pp. 2277-2283, (1980). 

  26. R. S. Kaplan, "Structure and function of mitochondrial anion transport proteins", J Membr Bilo, Vol.179, pp. 165-183, (2001). 

  27. H. Westerblad, D. G. Allen, J. Lannergren, "Muscle fatigue: lactic acid or inorganic phosphate the major cause?", News Physiol Sci, Vol.17, pp. 17-21, (200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