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 활용성과 효과 제고를 위한 물질안전보건자료 제도개선 방안
Improvement of Material Safety Data Sheet Regulation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in the Field 원문보기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28 no.4, 2018년, pp.352 - 364  

최상준 (대구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  최영은 (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박정임 (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Kore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KIHA) held a forum on "Improvement of Material Safety Data Sheets (MSDS) regulation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in the field" at its 2018 Winter Conference(February 2, 2018). This article summarized the major consensus opinions...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사업장 내 모든 MSDS 정보를 전산화 한 후 안전보건공단의 MSDS DB 정보 및 국제암연구소(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의 최신 암 분류 정보와 비교하여 정확도를 검증하였고, 정보가 최신 정보와 다른 경우 제품 공급사에게 전달하여 개정을 요구하여 갱신 작업을 실시했다. MSDS 정보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제품 공급사(제조사)를 노사가 방문하여 점검하고, 회사 내 각 부서별 자체 점검, 노사 교차점검, 노사 공동점검, 노동조합 자체 점검, 안전환경팀 점검 등 다양한 점검 활동을 실시한다. 또한 점검결과에 대해 통합 산업안전보건위원회, 노-사-제조사 3자 회의 등 다양한 회의를 통해 논의하고 논의 결과에 따라 보완 작업(게시, 라벨링 등의 정보 갱신)을 실시한다.
  • MSDS 제도가 시행되고 21년이 지난 시점에서 MSDS의 관리 주체인 사업장 보건관리자, 노동조합, 작업환경측정, 특수건강진단 및 보건관리대행 전문가, 학계와 정부 관계자들이 모여 토론회를 실시하였다. 토론회의 가장 큰 주제는 MSDS 제도가 과연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는가 였다.
  • 직무군별 근무 경력은 5년 이하와 6년 이상으로 구분하였고 고용규모는 300인 미만과 300인 이상으로 재분류하여 분석하였다. MSDS 효과성과 관련된 질문의 응답 결과에 대해서도 가장 응답 비율이 높은 상위 2개 항목과 나머지 항목으로 재분류 하여 분석하였다. 예를 들어, ‘MSDS 제도가 효과적이지 않다면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응답 결과는 6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으나 소수 응답 항목들이 있기 때문에 응답이 가장 많았던 적절한 교육 부재와 MSDS 정보 내용이 어렵다는 이유와 그 밖의 이유를 기타로 재분류하여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 MSDS의 현장 활용성 및 효과성 제고에 대한 의견 수렴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토론회 준비를 위해 빠른 기간 안에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google form을 활용한 온라인 설문 방식을 이용하였고 2018년 1월 16일부터 1월 25일까지 실시되었다.
  • 전체 토론은 기조발표를 포함하여 150분간 실시되었고, 토론 참여자들의 동의하에 토론 내용을 녹음하였다. 녹취록을 토론 참여 주체별로 핵심 위주로 요약하였다.
  • MSDS 효과성과 관련된 3개 질문에 대한 응답 결과를 직무, 업종, 경력, 고용규모에 따라 비교하였고, 분포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을 이용하였다. 독립변수의 세부 항목에 대한 빈도가 5 미만일 경우 항목을 재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직무의 경우 노동조합 안전보건 담당자와 기업체 안전보건 관리자를 제외한 나머지 직무를 기타 군으로 재분류하였고, 업종은 건설업과 비 건설업(건설업이 아닌 모든 업종)으로 재분류 하였다.
  • MSDS 정보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제품 공급사(제조사)를 노사가 방문하여 점검하고, 회사 내 각 부서별 자체 점검, 노사 교차점검, 노사 공동점검, 노동조합 자체 점검, 안전환경팀 점검 등 다양한 점검 활동을 실시한다. 또한 점검결과에 대해 통합 산업안전보건위원회, 노-사-제조사 3자 회의 등 다양한 회의를 통해 논의하고 논의 결과에 따라 보완 작업(게시, 라벨링 등의 정보 갱신)을 실시한다. 이후 화학제품 제조사의 MSDS 작성 담당자 교육, 주요 제조사 대표이사 및 중역 품질 회의를 통해 MSDS 작성 및 공급사 쪽의 정확한 정보제공 능력 제고 활동도 실시한다.
  • 최근 2014년에는 노사 공동사업으로 외부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MSDS 정확도 조사사업을 진행하였다. 사업장 내 모든 MSDS 정보를 전산화 한 후 안전보건공단의 MSDS DB 정보 및 국제암연구소(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의 최신 암 분류 정보와 비교하여 정확도를 검증하였고, 정보가 최신 정보와 다른 경우 제품 공급사에게 전달하여 개정을 요구하여 갱신 작업을 실시했다. MSDS 정보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제품 공급사(제조사)를 노사가 방문하여 점검하고, 회사 내 각 부서별 자체 점검, 노사 교차점검, 노사 공동점검, 노동조합 자체 점검, 안전환경팀 점검 등 다양한 점검 활동을 실시한다.
  • 토론회를 준비하며 짧은 기간이지만 각 계층별 의견을 수렴하고자 온라인 설문 방법을 활용했다. 설문 기간도 짧고 온라인 방식이었기 때문에 질문 항목은 최대한 간단하고 직설적으로 구성하였다. 총 응답자 수가 256명으로 많지 않았고, 각 계층별 조직된 단체를 통해 설문을 수행했기 때문에 각 계층별 대표적인 무작위 샘플 결과로 보기엔 한계가 있다.
  • 설문 항목은 응답자의 직무, 해당 직무에 종사한 경력, 소속 회사/기관의 업종과 고용규모 등에 대한 기본 사항과 MSDS 관련 업무 내용, 그리고 MSDS 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세 가지 질문(‘현재의 MSDS제도가 화학물질 관련 사고 및 질병 예방을 위해 효과적인가?’, ‘효과적이지 않다면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 ‘효과적인 MSDS 제도를 위해 개선되어야 하는 가장 큰 내용은 무엇인가?’)으로 구성하였다.
  • MSDS의 현장 활용성 및 효과성 제고에 대한 의견 수렴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토론회 준비를 위해 빠른 기간 안에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google form을 활용한 온라인 설문 방식을 이용하였고 2018년 1월 16일부터 1월 25일까지 실시되었다. 설문 조사의 주요 대상은 한국산업보건학회 회원, 기업체 안전보건관리 담당자(전국기업체산업보건협의회, 건설업보건관리자협의체), 노동조합(민주노총, 한국노총), 근로감독관들이었으며, 관련 기관의 홈페이지에 온라인 설문을 게시하여 조사하였다.
  • 또한 제조업 및 건설업 현장의 MSDS 활용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한 의견을 듣기 위해 기아자동차 노동조합 노동안전보건 실장과 전국플랜트건설노조 여수지부 사무국장을 토론자로 초청하였다. 전체 토론은 기조발표를 포함하여 150분간 실시되었고, 토론 참여자들의 동의하에 토론 내용을 녹음하였다. 녹취록을 토론 참여 주체별로 핵심 위주로 요약하였다.
  • 직무의 경우 노동조합 안전보건 담당자와 기업체 안전보건 관리자를 제외한 나머지 직무를 기타 군으로 재분류하였고, 업종은 건설업과 비 건설업(건설업이 아닌 모든 업종)으로 재분류 하였다. 직무군별 근무 경력은 5년 이하와 6년 이상으로 구분하였고 고용규모는 300인 미만과 300인 이상으로 재분류하여 분석하였다. MSDS 효과성과 관련된 질문의 응답 결과에 대해서도 가장 응답 비율이 높은 상위 2개 항목과 나머지 항목으로 재분류 하여 분석하였다.
  • 토론회의 가장 큰 주제는 MSDS 제도가 과연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는가 였다. 토론회를 준비하며 짧은 기간이지만 각 계층별 의견을 수렴하고자 온라인 설문 방법을 활용했다. 설문 기간도 짧고 온라인 방식이었기 때문에 질문 항목은 최대한 간단하고 직설적으로 구성하였다.
  • 화학제품을 원료나 부재료로 사용하는 업체의 경우 화학제품 구매 시 MSDS를 양도, 제공 받아야 한다. 토론회에서는 기아자동차(주) 노사안전팀 담당자가 참여하여 MSDS 관리 현황과 애로사항 및 제안사항 등을 발표하였다.

대상 데이터

  • MSDS 현장 활용성 및 효과 제고를 위한 제도개선을 위한 온라인 설문 조사 결과 총 265명이 응답하였으며, 응답자의 직무와 종사 경력 및 업종에 따른 응답자 현황은 Table 1에 요약하였다. 전체 응답자 중 노동조합 안전보건 활동가(trade union)들이 93명으로 가장 많았고, 사업장 안전보건 관리자(safety and health manager)가 72명, 작업환경측정 혹은 특수건강진단 기관 종사자(work environment monitoring / special medical examination) 60명, 연구자 및 학계(academic or consulting) 23명, 근로감독관(labor inspector) 17명 순이었다.
  • 토론회는 MSDS 활용의 직접적인 주체인 회사의 MSDS 관리자(기아자동차 노사안전팀)와 근로자 대표(민주노총 노동안전보건부)의 의견을 듣기 위해 기조 발표자로 초청하였고, 관련 제도의 운영 주체인 고용노동부(화학사고예방과)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화학물질정보연구부)을 패널토의자로 구성하였다. 또한 제조업 및 건설업 현장의 MSDS 활용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한 의견을 듣기 위해 기아자동차 노동조합 노동안전보건 실장과 전국플랜트건설노조 여수지부 사무국장을 토론자로 초청하였다. 전체 토론은 기조발표를 포함하여 150분간 실시되었고, 토론 참여자들의 동의하에 토론 내용을 녹음하였다.
  • 설문조사는 토론회 준비를 위해 빠른 기간 안에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google form을 활용한 온라인 설문 방식을 이용하였고 2018년 1월 16일부터 1월 25일까지 실시되었다. 설문 조사의 주요 대상은 한국산업보건학회 회원, 기업체 안전보건관리 담당자(전국기업체산업보건협의회, 건설업보건관리자협의체), 노동조합(민주노총, 한국노총), 근로감독관들이었으며, 관련 기관의 홈페이지에 온라인 설문을 게시하여 조사하였다.
  • 온라인 설문결과는 google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항목별 코딩되며, 2018년 1월 25일까지 코딩된 총 265명의 응답자료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MSDS 효과성과 관련된 3개 질문에 대한 응답 결과를 직무, 업종, 경력, 고용규모에 따라 비교하였고, 분포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을 이용하였다.
  • 토론회는 MSDS 활용의 직접적인 주체인 회사의 MSDS 관리자(기아자동차 노사안전팀)와 근로자 대표(민주노총 노동안전보건부)의 의견을 듣기 위해 기조 발표자로 초청하였고, 관련 제도의 운영 주체인 고용노동부(화학사고예방과)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화학물질정보연구부)을 패널토의자로 구성하였다. 또한 제조업 및 건설업 현장의 MSDS 활용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한 의견을 듣기 위해 기아자동차 노동조합 노동안전보건 실장과 전국플랜트건설노조 여수지부 사무국장을 토론자로 초청하였다.
  • 한국산업보건학회에서는 2018년 동계 학술대회(2018년 2월 2일)에서 ‘현장 활용성 제고를 위한 MSDS 제도 개선’을 주제로 MSDS의 관리 주체인 사업장 보건관리자, 노동조합, 작업환경측정, 특수건강진단 및 보건관리대행 전문가, 학계와 정부 관계자들이 모여 토론회를 실시하였다. 토론회를 준비하며 각 계층별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총 256명의 의견을 수렴했다. 온라인 설문 및 토론회 결과 계층별 약간의 의견 차이를 보였으나, 현재의 MSDS 제도가 사업장에서 효과적으로 작동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에는 공통된 의견이었고, 효과성 제고를 위해 가장 개선이 필요한 것은 화학물질 취급 노동자들에 대한 MSDS 교육 강화와 노동자들이 이해하기 쉽고 필요한 정보를 선별하여 전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었다.
  • 패널토의에는 고용노동부 화학사고예방과, 안전보건공단 화학물질정보연구부, 기아자동차(주) 노동조합 및 전국플랜트건설노조 여수지부에서 참여하였으며, 주요 토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데이터처리

  • ’에 대한 응답 결과는 6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으나 소수 응답 항목들이 있기 때문에 응답이 가장 많았던 적절한 교육 부재와 MSDS 정보 내용이 어렵다는 이유와 그 밖의 이유를 기타로 재분류하여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 온라인 설문결과는 google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항목별 코딩되며, 2018년 1월 25일까지 코딩된 총 265명의 응답자료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MSDS 효과성과 관련된 3개 질문에 대한 응답 결과를 직무, 업종, 경력, 고용규모에 따라 비교하였고, 분포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을 이용하였다. 독립변수의 세부 항목에 대한 빈도가 5 미만일 경우 항목을 재분류하여 분석하였다.
  • 예를 들어, ‘MSDS 제도가 효과적이지 않다면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응답 결과는 6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으나 소수 응답 항목들이 있기 때문에 응답이 가장 많았던 적절한 교육 부재와 MSDS 정보 내용이 어렵다는 이유와 그 밖의 이유를 기타로 재분류하여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카이제곱 검정은 IBM SPSS statisticsversion 19 (IBM company, USA)를 이용하였고, 검정 결과 유의수준은 0.05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업이 시행하는 MSDS 도입부터 관리 및 교육까지의 과정은 무엇인가? 기아자동차(주)의 경우 MSDS 도입부터 관리 및 교육까지의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신규 화학제품이 들어올 경우 사용부서에서 제품 청구를 하고 구매팀에서 품번을 생산한 후 납품사에서 MSDS가 제출되면 안전팀에서 검토하여 승인이 되면 구매팀에서 발주 단계로 들어간다. 이런 시스템을 통해 사업장 내 납품되는 모든 화학제품에 대한 MSDS를 구축하고 관리하는데, 관리와 운영을 위해 총괄팀과 각 공장별 담당자들이 조직되어 있다.
노동자가 MSDS 정보의 부정확성을 인지하는 경우는 무엇인가? - MSDS 정보의 부정확성 : 영문 MSDS가 그대로 게시되어 있거나, 실제 취급시 불리워지는 제품명과 MSDS내 제품명이 다른 경우, 잘못된 정보가 라벨링 되어 있는 경우(유기용제 취급 공정에 방진마스크 착용 표지 예)
물질안전보건자료(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제도란 무엇인가? 물질안전보건자료(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제도는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근로자에게 취급 물질의 유해위험 정보에 대한 알 권리(right to know)를 보장하고 정확한 유해위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화학물질 관련사고 및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취지로 운영되는 유해정보 소통(hazard communication, HAZCOM) 제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Hong MK, Song SW, Lee KS, Choi SB, Lee JH. A study of MSDS reliability evaluation in chemicals including formaldehyde.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013; 23(3):287-298 

  2. Kim SB, Lee YK, Choi YE. Issue analysis on ‘Trade Secret Claim’ in 'Chemicals Control Act' and 'Amendment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1917-227)'.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015;25(4):433-445 

  3.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KOSHA). Q & A for material safety data sheet.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15-Bogeun-258. 2015. p. 3 

  4. Lee KS, Kwon HW, Han IS, Yu IJ, Lee YM. A study on the reliability of material safety data sheets (MSDS) for paint thinner.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003;13(3):1-12 

  5. Lee KS, Han IS, Han JH, Park DU, Lee DW et al. A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MSDS reliability of powder coatings.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004;14(3):221-232 

  6. Lee KS, Sun ON, Yoon KS, Park DU. Assessment of the accuracy on MSDS of water-soluble metalworking fluids with respect to concentration of MEA, DEA and TEA.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005;15(1):52-60 

  7. Lee KS, Choi JH, Jo JH, Choi SB, Lee JH et al. MSDSs reliability evaluation in workplaces manufacturing aromatic hydrocarbon.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009;19(4):370-380 

  8. Lee JH, Lee KS, Park JW, Han KN.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rade secrets in the MSDS and the improvement of the relevant system.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011;21(3):128-138 

  9. Lee KS, Lee HJ, Hong MK. A study on the application status to trade secret of GHS MSDSs distributed in the workplaces and its improvement measures.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016;26(3):293-300 

  10. Lee KH, Lee SY, Choi YJ, Choi HY. Reliability analysis of material safety data sheets(MSDS) for photoresist chemicals used in some semiconductor factories.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016;26(4):404-410 

  11. Lee KS, Jo JH. Examination and suggestions on introducing and administering confidential information review on material safety data sheets.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018;28(1):91-99 

  12.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OSHRI).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material safety data sheets (MSDS). Publication No. hygiene 1996-08-030. 1996 

  13.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OSHRI). A study on the chemical substance information control and its improvement. Publication No. Research institute 2006-9-30.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