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DNA 기반 곰팡이 평가기법을 활용한 주택의 실내 곰팡이 노출수준 평가
Evaluation of Indoor Mold Exposure Level in dwelling Using DNA-Based Mold Assessment Method 원문보기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28 no.4, 2018년, pp.382 - 392  

황은설 (국립환경과학원 생활환경연구과) ,  서성철 (을지대학교 보건환경안전학과) ,  이주영 (국립환경과학원 생활환경연구과) ,  류정민 (국립환경과학원 생활환경연구과) ,  권명희 (국립환경과학원 생활환경연구과) ,  정현미 (국립환경과학원 생활환경연구과) ,  조용민 ((주)스마티브 생명환경연구소) ,  이정섭 (국립환경과학원 생활환경연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Allergic diseases such as asthma due to fungal exposure in houses have increased, and proper management is urgent. Mold can grow in the air, floor, walls, and other areas according to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re are many limitations to the conventional methodology for examining fu...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여전히 한국 특성에 맞는 곰팡이 종 분석 및 ERMI 값을 이용한 누수 또는 결로 등의 물피해가 있는 주택을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ERMI 값의 효용성 평가를 위해 물피해(water damaged)가 있는 주택과 그렇지 않은 주택과의 ERMI 값을 비교하였고, 아울러 산정된 ERMI 값을 이용하여 주택 내 곰팡이 노출 수준을 평가 및 여러 환경특성과 ERMI 값과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배양을 통한 농도평가 방법과 그 한계는 무엇인가? 일반적인 곰팡이를 측정하는 방법은, 일정 유량의 공기를 배지에 충돌시킨 후, 배양하여 자라난 집락수를 보정값으로 환산하여 평가하는 충돌법을 사용하지만, 이는 순간적인 농도를 평가하기에는 충분하나, 측정하고자 하는 장소의 장기적인 농도를 평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배양을 통한 농도평가는 분석자의 분석 능력에 의존적이어서 재현성이 떨어진다는 우려와 함께, 사용된 배지나 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양된다는 단점이 있다(Park, 2009).
미생물 번식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무엇인가? 사람이 생활하기에 적당한 온도와 산소가 유지되는 실내공기는 미생물이 자랄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제공하기도 한다(Kim, 2014). 공기 중 미생물 번식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기온, 상대습도, 영양물질 등이 있는데, 그 중 상대습도는 곰팡이 농도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침수나 누수와 같은 피해로 습도가 증가한 경우에는 천장, 벽 등에 곰팡이 번식이 활발하게 되고, 이는 공기 중의 곰팡이 농도 또한 증가시키게 된다(Cho et al.
생물학적 유해인자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이에 실내환경 오염에 따른 건강영향은 꾸준히 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많은 사회적 관심과 대책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실내오염의 경우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라돈 등의 물리ㆍ화학적 유해인 자에 대한 건강상의 우려 및 대책만 제시할 뿐, 세균, 곰팡이 등의 생물학적 유해인자 노출에 대한 관심과 대책은 매우 미약한 수준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hn GR, Kim BY, Kim JE, Son BS, Park MK, Kim SY, Kwon HY, Kim SH. Study on Sampling Method for Mold from Indoor Air in Domestic Environment. J Korean Odor Indoor Environ 2017;16(1):47-53 

  2. Cho YM, Ryu SH, Choi MS, Seo SC, Choung JT, Choi JW. Airborne Fungi Concentrations and Related Factors in the Home. J Korean Environ Health 2013;39(5):438-446 

  3. Chen CH. Chao HJ, Shen WC, Chen BY, Lin KT, Guo YL, Vesper S. Pilot Study of Mold in House of Asthmatic Children in Taipei, Taiwan, using the Environmental Relative Moldiness Index. J Aerobiologia 2015;31(2)213-218 

  4. Delphine M, Jean-Pierre G, Tiuna R, Larry W, Steohen V, Pierre LC. Correlation between ERMI values in French dwellings and other measures of fungal contamination. J Sci Total Environ 2012;438(1):319-324 

  5. Garrett MH, Rayment PR, Hooper MA, Abramson MJ, Hooper BM. Indoor airborne fungal spores, house dampness and associations with environmental factors and respiratory health in children. J Clin Exp Allergy 1998;28(4):459-467 

  6. Goh V, Yap HM, Gutierrez RA, Ng LC, Vesper SS. DNA-Based Analyses of Molds in Singapore Public Buildings Results in a Proposed Singapore Environmental Relative Moldiness Index. J Trop Biomed 2014;31(4):663-669 

  7. Hargreaves M, Parappukkaran S, Morawska L, Hitchins J, Je C, Gilbert D. A Pilot Investigation into Associations between Indoor Airborne Fungal and Non-biological Particle Concentrations in Residential Houses in Brisbane, Australia. J Sci Total Environ 2003;312(1):89-101 

  8. Hwang KH, Lee AM, Shin HJ, Kim JS. Seasonal Monitoring of Airborne Microbial Concentrations in Kindergartens. J Korean Microbiology 2003;39(4):253-259 

  9. Kim CH, Choi JY, Shon MH, Lee KE, Kim KE, Lee KY. Distribution of Fungus in the Air of Outdoor and Indoor Environments from September to November 1999 in Seoul, Korea. J Korean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01;21(5):970-976 

  10. Kim MK. Determinations of total culturable bacteria in the university spaces. J Korean Soc of Environ Administ 2014;20(2):43-48 

  11. Kim SY et al. A study on the microbial management of living space air quality (I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NIER-RP2015-335); 2015. p. 28-29 

  12. Lee JS et al. Development of DNA-Based Assessing Method for Fungi in Dwellings(I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NIER-RP2017-177); 2017. p.27-28 

  13. Moon HJ, An KA, Choi MS. The Status and Causes of Indoor Airborne Microorganisms Activities in Residential Buildings. J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 2012;19(6):669-675 

  14. Park JH. Exposure Assessment of Biological Agents in Indoor Environments. J Korean Environ Health Sci 2009;35(4):239-248 

  15. Taubel M, Karvonen AM, Reponen T, Hyvarinen A, Vesper S, Pekkanen J. Application of the Environmental Relative Moldiness Index in Finland. J Appl Environ Microbiol 2016;82(2):578-584 

  16. Vesper S, McKinstry C, Haugland R, Wymer L, Bradham K, Ashley P, Cox D, Dewalt G, Friedman W. Development of an Environmental Relative Moldiness Index for US Homes. J Occup Environ Med 2007;49(8):829-833 

  17. Vesper S, Wakefield J, Ashley P, Cox D, Dewalt G, Friedman W. Geographic Distribution of Environmental Relative Moldiness Index Molds in USA Homes. J Environ Public Health 2011;1242457:1-11 

  18. Vesper S, Barnes C, Ciaccio CE, Johanns A, Kennedy K, Murphy JS, Alvarez AN, Sandel MT, Cox D, Dewalt G, Ashley PJ. Higher Environmental Relative Moldiness Index(ERMI) Values Measured in Homes of Asthmatic Children in Boston, Kansas city, and San Diego. J Asthma 2013;50(2):155-1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