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중소기업수출지원정책의 효율화 방안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the Export Support Policy for the SME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3, 2018년, pp.114 - 123  

최재한 (길림대학교 동북아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의 수출지원정책은 1997년 IMF 외환위기를 계기로 중소기업 중심으로 전환한 이후 중소기업수출액이 2011년 최초로 1,000억 달러를 초과하는 양적 성장을 거두었으나 이후 정체 수준을 보여 왔다. 이와 같은 정체의 배경에는 수출지원정책이 수출경쟁력 제고에 크게 기여하지 못한 측면도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중소수출기업의 수출기반확충과 수출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2010년 이후의 주요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지원정책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문제점 개선을 위한 효율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수출지원정책의 효율화를 위해 첫째, 수출지원기관 간 기능조정과 통합, 수출단계별 지원주체의 조정, 중소기업청과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조정 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둘째, 기업 맞춤형 지원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지원기관의 인력확보 및 전문성 제고를 위해서는 무역회사 퇴직 인력 또는 청년인턴제도의 검토가 필요하다. 넷째, 일정규모 이상의 지원사업에 대하여는 외부평가의 비중을 높이고 정량평가와 정성평가 모두가 가능한 균형 잡힌 지표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s Export Support Policy has shifted from conglomerate to SMEs since the 1998 IMF financial crisis. Therefore the SME export result in 2011 has reached the quantitative growth of more than US$ 100 billion for the first time. However, the trend has remained stagnant since 2013. Such a stagnant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새 정부의 중소기업 육성공약인 ‘중소기업의 글로벌화를 통한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에 필요한 지원정책 마련시 필요한 아이디어 제공에도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 정부통계, 문헌 등에 대한 분석을 기초로 기존의 중소기업수출지원정책에 대한 개선 방향과 효율화 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2017년 5월 출범한 새 정부는 중소기업 육성정책이 중소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한 제도적·재정적 지원을 강조하고 있다.
  • 본 연구는 새 정부의 중소기업정책이 중소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한 제도적·재정적 지원과 육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청의 중소벤처기업부 승격에 따른 새로운 중소수출기업지원정책의 검토에 필요한 개선 방향 및 효율화 방안을 제공한 데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수출기반확충과 수출경쟁력 제고를 위한 중소기업 수출지원정책의 효율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0년 이후의 주요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지원정책의 성과 측면과 지원시스템의 효율화 측면으로 구분하여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 수출역량강화지원사업은 수출활동에 필요한 역량을 강화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여기에는 ①수출성공패키지, ②글로벌 강소기업 육성사업, ③수출 유망중소기업지정, ④해외규격인증 획득지원사업, ⑤고성장(가젤형)기업 수출역량강화사업, ⑥수출금융융자, ⑦글로벌 협력 지원, ⑧수출 고용 특별자금, ⑨해외기술교류 지원사업이 있다.
  • kr) 사이트를 확대 활용할 수 있다. 즉 기업마당 사이트에서 역량을 기준으로 수출기반구축 분야를 필요로 하는지, 수출역량강화 분야 인지, 해외마케팅분야가 필요한지를 구분하여 입력하도록 한다. 또한 수출규모별로 공고(예정)사업명과 예정일을 명시하여 월별 공고하는 경우 지원사업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소기업의 수출 활동 등 해외 진출에 직면하는 장벽이 있는 원인은 무엇인가? 정부는 중소기업의 수출 활동 등 해외 진출에 직면하는 장벽 제거 노력이 필요하다. 그 원인으로 수출 관련 자금의 부족과 해외사업기회 파악의 어려움 그리고 해외시장 진출 및 분석 정보의 부족, 해외 잠재고객 발굴역량 부족 등의 어려움을 제시하였다[8-11].
한국의 2016년말 기준 중소기업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는 어느정도인가? 한국의 중소기업이 생산, 고용, 수출 등의 분야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역할은 매우 크고 중요하다. 2016년말 기준 중소기업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는 각각 약 395만 개와 1,824만 명이다. 이는 전체 사업체의 99.
중소기업의 부가가치 창출액은 2014년 기준 몇퍼센트인가? 5%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중소기업의 부가가치 창출액도 2014년 51.2%를 기록하여 대기업의 부가가치를 추월하기 시작하였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통계청, 2016년 기준 전국사업체 조사 잠정결과, 보도자료, 2017(9). 

  2. 중소기업중앙회, 2016 중소기업 위상지표, 중소기업중앙회, 2016. 

  3. 이상진, 김형철, "중소수출기업의 정책지원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관세학회지, 제16권, 제3호, pp.287-307, 2015. 

  4. 중소기업청, 2017년 중소기업지원시책, 중소기업청, 2016. 

  5. 한국정책학회, 중소기업 정책 50년사와 중소기업 정책의 미래, 정책보고서, 한국정책학회, 2012. 

  6. 산업연구원, 중소기업 수출지원체계 효율화 방안 최종보고서, 산업연구원, 2014. 

  7. 배종태, 중소기업정책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과 새로운 패러다임, 2015 중소기업학회 춘계학술대 회/제46회 희망중소기업포럼 발표자료, 2015. 

  8. OECD, Removing Barriers to SME Access to International Markets, OECD, 2008. 

  9. OECD, Top Barriers and Drivers to SME Internationalization, OECD, 2009. 

  10. OECD, Review of the International Best Practice in SME State Support, OECD, 2010. 

  11. OECD, "SME trends in a globalised economy", Small, Medium, Strong. Trends in SME Performance and Business Conditions, OECD Publishing, Paris. 2017. 

  12. 김은영, 중소기업 수출지원제도의 활용 및 수출 성과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3. 이인성, 박우진, "수출역량강화사업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효과연구; 경기지역 창업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연구, 제11권, 제5호, pp.141-151, 2016. 

  14. 장미애, 안상훈, 이상무, 전봉걸, "정부의 수출지원사업이 기업의 매출과 부가가치에 미치는 영향," 국제통상연구, 제20권, 제2호, pp.1-27, 2015. 

  15. 박광서, 김인권, 안종석, "중소기업의 수출지원제도에 대한 인지도, 활용도 및 성과에 관한 연구: 기업 유형에 따른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국제경영리뷰, 제14권, 제2호, pp.1-25, 2010. 

  16. 이의영, 신범철, "정부의 수출지원이 중소기업 수출에 미치는 효과," 기업경영연구, 제36권, pp.197-213, 2010. 

  17. 이상진, 김형철, "중소수출기업을 위한 수출지원 제도의 효율화 방안," 국제상학, 제32권, 제1호, pp.253-271, 2017. 

  18. 박영호, "대전지역 중소기업의 수출지원제도 활용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무역보험연구, 제17권, 제2호, pp.103-135, 2016. 

  19. 최광문, 중소기업의 수출역량 요인과 정책지원 과제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0. 이성봉, "우리나라 중소기업 수출지원체계의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질서경제저널, 제16권, 제1호, pp.81-100, 2013. 

  21. 전은경, 중소기업 수출지원정책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 이슈와 논점, 제633호, 국회입법조사처, 2013. 

  22. 유세준, "중소기업 수출지원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통상정보연구, 제12권, 제4호, pp.193-211, 2010. 

  23. 이재현, 고승희, "중소기업지원실태와 지원체계 개선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7호, pp.333-341, 2009. 

  24. 이상규, 김수동, 김수현, "산업.통상정책이 기업 수출에 미치는 영향: FTA 전후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1호, pp.135-142, 2017. 

  25. 전정희, 우리나라와 세계 주요국가의 중소기업 수출지원제도 비교, 2014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국정감사 정책자료집, 국회, 201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