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웰니스리더십과 성과: 조직분위기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llness Leadership and Performanc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 Climat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3, 2018년, pp.279 - 285  

차윤석 (동아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조직내 구성원들의 긍정심리가 성과와 긍정적인 관계가 있다는 연구들이 보고되면서 많은 조직들이 구성원들의 정서를 긍정적으로 유지하고 발전시키려는 노력 해 오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하나로 기업들은 그동안 개인적인 영역으로 생각되어오던 구성원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조직의 체계적인 지원 및 제도 운영의 필요성을 제기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이러한 제도적 지원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리더 역할을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리더들의 웰니스리더십과 성과 간의 관계를 검증해 보고 리더행동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건강지원조직분위기의 역할에 대해 실증해 보았다. 이를 위해 IT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215부의 설문응답을 모아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리더의 웰니스리더십과 구성원들의 지각된 팀성과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확인하였다. 건강지원분위기는 웰니스리더십과 팀성과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이러한 실증연구결과를 토대로 경영학적 관점의 실무적 및 학문적 시사점을 논의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having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at positive psychology in the workplace have a positive relation with performance, organizations have been trying to develop and main the positive psychology and emotion. The companies have started to support the systematic health promotion program whi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만 이러한 연구는 리더십의 여러 행동중 지원적 또는 포괄적 의미의 후원적 행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리더십과 구성원들의 건강 간의 관계에서 리더의 여러 행동 중 구성원들에 대한 건강지원행동과 성과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다음의 가설1을 제시하였다.
  • 따라서 보다는 적극적이고 선행적인 복지정책(예: 건강증진활동 및 프로그램 지원 등)을 통해 구성원들의 긍정적 정서를 향상시키고 그 결과 성과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개인의 책임이라 할 수 있는 개인의 건강을 지속적 및 체계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한 기업의 노력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장기적 관점의 인사관리 설계 및 운영에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지각된 팀성과를 높이는 과정에 있어 리더의 구성원에 대한 웰니스리더십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이 과정에서 조직분위기의 역할에 대해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리더의 조직내 구성원들에 대한 건강지원행동이 많이 나타날수록 구성원들의 지각된 성과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가설 1: 웰니스리더십이 높을수록 구성원들의 지각된 성과는 높을 것이다.
  • 가설 2: 건강증진팀분위기는 웰니스리더십과 성과 간 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긍정정서가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Fredrickson[5]은 ‘긍정정서 확장 및 구축이론(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를 통해 개인이 갖고 있는 긍정적 정서는 사람들의 생각과 행동과 관련된 다양한 레퍼토리를 적극적으로 확장하게 되고, 그 결과 특정 문제를 해결하는데 긍정정서를 갖고 있지 않는 사람보다 보다 더 적극적으로 행동한다고 주장하였다. 즉, 긍정정서는 사람들의 지적(intellectual), 신체적(physical), 심리적(psychological), 사회적(social)자원(resource)을 지속적으로 확장 및 확대하고 구축하여 다양한 문제에 직면할 때마다 이러한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최근 조직내 많은 구성원들이 자신의 건강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건강상태가 직간접적을 업무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건강지원프로그램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조직으로부터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건강지원프로그램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조직으로부터 제공되는 홍보활동 및 인사제도 그리고 이들간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다[6]. 이를 위해서는 CEO 뿐만아니라 라인매니저의 리더십 역량에 근간을 둔 적극적인 참여와 후원이 필요하다[7]. 또한 개인뿐만 아니라 환경 및 조직도 건강증진 살성의 주체로서 효율적인 역할이 요구된다[8]. 상사의 행동과 직원의 심리적 및 육체적 건강 간의 관계는 1970년 후반부터 연구가 체계적으로 진행되어왔다.
Fredrickson[5]은 ‘긍정정서 확장 및 구축이론이란 무엇인가? Fredrickson[5]은 ‘긍정정서 확장 및 구축이론(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를 통해 개인이 갖고 있는 긍정적 정서는 사람들의 생각과 행동과 관련된 다양한 레퍼토리를 적극적으로 확장하게 되고, 그 결과 특정 문제를 해결하는데 긍정정서를 갖고 있지 않는 사람보다 보다 더 적극적으로 행동한다고 주장하였다. 즉, 긍정정서는 사람들의 지적(intellectual), 신체적(physical), 심리적(psychological), 사회적(social)자원(resource)을 지속적으로 확장 및 확대하고 구축하여 다양한 문제에 직면할 때마다 이러한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I. S. Fulmer, B. Gerhart, and S. K. Scott, "Are the 100 best better?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eing a "great place to work" and firm performance," Personnel Psychology, Vol.56, No.4, pp.965-993, 2003. 

  2. D. A. Kaplan, "The best company to work for," Fortune, Vol.161, No.2, pp.56-64, 2010. 

  3. D. McGillivray, "Fitter, happier, more productive: Governing working bodies through wellness," Culture & Organization, Vol.11, pp.125-138, 2005. 

  4. T. Arnold and C. S. Spell, "The relationship between justice and benefits satisfaction," Journal of Business & Psychology, Vol.20, pp.599-620, 2006. 

  5. B. L. Fredrickson, "The value of positive emotions: The emerging science of positive psychology is coming to understand why it's good to feel good," American Scientist, Vol.91, Vol.4, pp.330-335, 2003. 

  6. R. S. Parkinson, R. N. Beck, G. H. Collings, M. Erksen, A. M. McGill, and C. E. Pearson, Managing health promotion in the workplace, Palo Alto: Mayfield, 1982 

  7. C. Verhoeven, Wellness effects of a worksite health promotion program, Leiden: Leiden University, 1997. 

  8. S. Maes, "Theories and principles of health behavior change," In P. J. D. Dreanth, J. A. Sergen & R. J. Takens (Eds.), European perspectives in psychology, Vol.2: Clinical health, stress and anxiety, neuropsychology, psychophsiology (pp.193-133), Chichester: John Wiley & Sons, 1990. 

  9. B. Gilbreath and P. G. Benson, "The contribution of supervisor behavior to employee psychological well-being," Work & Stress, Vol.18, pp.255-266, 2004. 

  10. M. L. Duxbury, G. D. Armstrong, D. J. Drew, and S. J. Henly, "Head nurse leadership style with staff nurse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Nursing Research, Vol.33, pp.97-101, 1984. 

  11. U. Maring and S. P. Schinke,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of mental health workers," Social Work in Health Care, Vol.28, No.2. pp.51-62, 1998. 

  12. B. J. Tepper, "Consequences of abusive supervis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3, pp.178-190, 2000. 

  13. M. Minkler, "Health education, health promotion and the open society: An historical perspective," Health Education Quarterly, Vol.16, No.1, pp.17-30, 1989. 

  14. E. H. Schein, "Organizational culture," American Psychologist, Vol.45, No.2, pp.109-111, 1990. 

  15. B. Scheiner, "Organizational Climates: An essay," Personnel Psychology, Vol.28, pp.447-479, 1975. 

  16. J. H. Greenhaus and G. N. Powell, "When work and family are allies: A theory of work-family enrich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31, No.1, pp.72-92, 2006. 

  17. D. Zohar, "Safety climate in industrial organizations: Theoretical and applied implic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5, No.1, pp.96-102, 1980. 

  18. E. Kearney and D. Gerbert, "Managing diversity and enhancing team outcomes: the promis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4, pp.77-89,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