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Elderly Peopl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3, 2018년, pp.530 - 541  

박선아 (서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정효미 (서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차명화 (차명화심리상담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사회적 배제 요인이 심리적복지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사회적배제 요인과 심리적복지감 사이에 사회적 지지가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전라북도 소재 노인복지관에 등록되어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260명의 설문내용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사회적 배제 요인과 사회적지지 요인은 심리적복지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지지 요인이 사회적배제 요인과 심리적복지감 간에 부분매개효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인 연구결과 사회적지지 요인은 노인의 심리적복지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배제 요인에 대해 완충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 배제적 상황에 놓여 있는 노인이라 할지라도 가족을 포함하여 이웃, 지역사로부터 사회적지지가 이루어진다면 심리적복지감이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결과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social exclusion factor of elderly people in a local community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whether or not social support would perform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factor and psychological wellbe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회적배제로 인해 사회로부터 고리되어 동떨어져 있다는 노인의 감정은 고립감 혹은 외로움으로 나타날 수 있고 부정적인 심리적복지감에 영향을 미쳐 정신건강에 위해의 요인이 될 수 있는바[4], 노인이 사회활동에 참여할수록, 사회적 교류가 활발할수록 노인의 심리적복지감이 긍정적이라는 선행연구[3]를 바탕으로, 사회 배제적 상태에서 노인의 심리적복지감에 중재요인으로서의 사회적지지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노인들이 느끼는 사회적 배제의 정도 알아보고, 둘째, 노인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사회적 배제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셋째 사회적 배제 상태에서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복지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배제가 노년기의 긍정적 정신건강인 심리적 복지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노년기의 심리적복지감 증진을 위해 사회 통합적이고 예방적 차원에서 사회적 지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그동안 사회적배제와 심리적복지감에 대한 영향은 이루어졌으나, 실천적으로 접근하고 개입하기 위해서는 사회적배제가 개인의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재요인을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적 배제 요인이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이다[그림 1].
  •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사회적 배제 요인과 심리적복지감,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알아보고, 노인의 사회적배제요인과 심리적복지감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가 매개 효과를 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보다 정확히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유의미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Sobel공식으로 매개효과 ab에 대한 Z검증을 실시하였다[61-64].
  • 사회적배제로 인해 사회로부터 고리되어 동떨어져 있다는 노인의 감정은 고립감 혹은 외로움으로 나타날 수 있고 부정적인 심리적복지감에 영향을 미쳐 정신건강에 위해의 요인이 될 수 있는바[4], 노인이 사회활동에 참여할수록, 사회적 교류가 활발할수록 노인의 심리적복지감이 긍정적이라는 선행연구[3]를 바탕으로, 사회 배제적 상태에서 노인의 심리적복지감에 중재요인으로서의 사회적지지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노인들이 느끼는 사회적 배제의 정도 알아보고, 둘째, 노인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사회적 배제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셋째 사회적 배제 상태에서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복지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배제가 노년기의 긍정적 정신건강인 심리적 복지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노년기의 심리적복지감 증진을 위해 사회 통합적이고 예방적 차원에서 사회적 지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의 기능적 측면을 강조하는 박지원(1985)[59]의 사회적지지의 네 가지 분류인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평가적지지가 노인의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와 같은 연구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복지감의 구성요인으로 자율감, 목적감, 성숙감, 통제감, 자긍심, 타인과의 긍정적 관계 등 6개 영역으로 구성된 척도로 연구하고자 한다[27][2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리적복지감은 무엇인가? 노년기가 길어지고 삶의 질이 중요해지면서 정신 병리의 유무가 아니라, 노년기 삶의 변화에 적응하고 긍정적인 경험을 유지하면서 우울과 자살과 같은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긍정적 측면의 정신건강이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긍정적 측면의 정신건강 상태를 심리적복지감(psychological well-being)이라고 하며, 심리적복지감은 개인이 삶에 대해 느끼는 주관적 만족감 및 안녕감을 감정과 사회인지 차원에서 다면적으로 파악하는 개념이다[5].
심리적복지감은 왜 구성요인 측정이 쉽지 않은가? 이와 같이 심리적 복지감은 심리적 건강, 행복, 적응으로 표현되는 등 다의적, 다차원적 의미를 포함하고 있어 구성요인 측정이 쉽지 않다. 일반적으로 생활의 만족을 나타내는 넓은 개념으로서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일직선상에서 파악하는 일차원적 접근과 독립적인 영역으로 파악하는 이차원적 접근으로 구분되고 있다.
그동안의 정신건강은 어떠한 의미였는가? 노인인구 증가와 함께 노인의 우울 및 자살의 문제가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면서, 노인의 정신건강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동안 정신건강은 치매나 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이 없음을 의미하는 소극적 개념이었다. 병리적 관점에서 진단하고 치료적으로 개입되었으나 최근에는 정신건강의 병리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예방적이고 적극적인 개념인 심리적복지감(psychological well-being)이나 주관적복지감(subjective well-being)으로서 정신건강 개념이 논의되고 있다[3][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3)

  1. 최미영, 이승은, 박현식, "사회적배제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취업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69권, pp.9-29, 2015. 

  2. www.kostat.go.kr 

  3. 이혜경, "노인의 사회적 배제 정도가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 46권, pp.315-336, 2009. 

  4. 박현주, 정순둘, "노인의 사회적 배제 수준의 변황형과 예측요인," 한국노년학, 제32권, 제4호, pp.1063-1086, 2012. 

  5. 백경숙, 권용신, "노년기 경제활동과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심리적 복지감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제35권, pp.87-105, 2007. 

  6. 강현정, 김윤정, "노년기 사회적 배제의 실태 및 예측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323-334, 2011. 

  7. 배지연, 노병일, 곽현근, 유현숙, "노인의 사회적 배제와 우울에 관한 탐색적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33권, pp.7-27, 2006. 

  8. P. J. Corr, "Social Exclusion and Hierarchical Defense System," Comment on McDonald and Leavy Psydological Bulletin, Vol.131, pp.231-236, 2005. 

  9. 강영배, "사회적배제의 관점에서 본 청소년 문제 및 정책에 관한 고찰," 청소년복지연구, 제11권, 제4호, pp.101-127, 2009. 

  10. 강현정, 김윤정, "노년기 사회적 배제의 실태 및 예측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9, pp.323-334, 2011. 

  11. 김안나, "한국의 사회적배제 실태에 관한 실증적 연구," 사회이론, 제32권, pp.227-256, 2007. 

  12. 노병일, 김은미, "노인의 사회적 배제와 이에 따른 케어복지적 함의," 대한케어복지학, 제7권, pp.5-19, 2007. 

  13. 김상호, 한국빈곤정책과 빈곤노인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일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14. 이해리, 여성 노인 노동력의 배제와 통합에 대한 연구, 이화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5. 김태준, "사회적 배제 관점에서 본 노인 우울," 지역사회, 제56권, pp.22-31, 2007. 

  16. 김태준, 사회적배제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7. 정윤태, 노인의 사회적 배제 규정요인에 관한 연구:건강 및 경제 의존성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8. 손덕순, 노인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에 관한 연구:우울감과 심리적안정감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19. 김정엽, 여성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대구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20. 차명화, 노인의 사회적배제가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서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21. 박영준, "농촌지역 독거노인의 스트레스, 여가만족 및 심리적 복지감과의 인과관계연구," 농촌사회, 제20권, 제2호, pp.233-263, 2010. 

  22. N. M. Bradburn,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 being, Chicago: Aldine, Publishing Company, p.83, 1969. 

  23. 이갑숙, 임왕규, "노인의 여가활동과 사회적지지가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291-306, 2012. 

  24. E. Dinner, "Assessing subjective well-being: Progress and opportuniti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31, pp.103-157, 1994. 

  25. C. D. Ryff and C. L. M. Keyes,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9, No.4, pp.719-727, 1995. 

  26. 최연희, 백경신, "재가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 생활만족도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3권, 제1호, pp.39-48, 2002. 

  27. 백경숙, 권용신, "노년기의 경제활동과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심리적 복지감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35권, pp.87-105, 2007. 

  28. 김유정, 안정신, "중년기 성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대한 성인기 이전 생활사건과 사회적지지의 영향," 한국노년학, 제31권, 제3호, pp.445-461, 2011. 

  29. 최민정, 권정호, "농촌노인의 사회적 배제와 경제적 불평등의 실증분석,"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제7권, 제1호, pp.103-138, 2014. 

  30. 오영란, "일본의 노인자살예방정책 고찰," 한국사회정책, 제20권, 제1호, pp.9-47, 2013. 

  31. 윤정향, "비정규직 노동자의 사회적 보호 배제의 원인에 관한 시론적 고찰," 사회보장연구, 제19권, 제1호, pp.59-83, 2003. 

  32. 문진영, "한국의 사회적 배제 성격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2권, 제2권, pp.87-107, 2010. 

  33. 강신욱, "사회적 배제 개념의 정책적 적용을 위한 이론적 검토," 동향과 전망, 제66호, pp.9-32, 2006. 

  34. 심창학, "유럽연합(EU)의 사회적 배제 극복 정책," 행정논집, 제30호, pp.127-157, 2004. 

  35. R. Levitas, C. Pantazis, E. Fahmy, D. Gordon, E. Lloyd, and D. Patsios, The Multi- Dimensional Analysis of Social Exclusion, Bristol Institute for Public Affairs Bristol, 2007. 

  36. 서병수, "한국의 사회적 배제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대회지, 제1호, pp.721-741, 2005. 

  37. 강현정, 노년기 사회적배제, 한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38. 노혜진, 김교성, "결혼해체를 경험한 여성가구주의 빈곤과 사회적배제에 관한 종단연구," 사회보장연구, 제24권, 제4호, pp.167-196, 2008. 

  39. M. Sheppard, Social work and social exclusion: the idea of practice Abingtch, Oxon, GBR: Ashgate Publishing Group, 2006. 

  40. P. Demakokos, Being socially excluded and ling alone in old age finding from the English Longitudnal, Study of Ageing(ELSA) Age Concern, 2008. 

  41. S. E. U., "The social exclusion of older people: exclution and quality of life of excluded older people," Working with older people, Vol.9, No.3, pp.32-35, 2005. 

  42. 백혜성, 노인의 사회적 배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종합사회복지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43. 김미애,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44. 서진교,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와 사회적 망, 사회적지지 및 건강과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13권, 제1호, pp.59-72, 2000. 

  45. 백혜영, "노인복지관 이용노인의 사회적지지가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 28권, 제4호, pp.73-92, 2012. 

  46. 정민승, 김경화,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논총, 제8권, pp.101-126, 2009. 

  47. 장나라, 일 농촌 노인의 사회적지지와 우울과 일상생활능력이 삶의 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48. 김윤정, 최혜경, "사회적지지로서의 노인부양," 한국노년학, 제20권, 제1호, pp.209-223, 2000. 

  49. 백혜영, "노인복지관 이용노인의 사회적지지가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28권, 제4권, pp.73-92, 2012. 

  50. 김미애,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51. 김윤정, 최혜경, "사회적 지지로서의 노인부양," 한국노년학, 제20권, 제1호, pp.209-223, 2000. 

  52. 조경욱, "무의탁 독거 여성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17권, pp.85-125, 2002. 

  53. 김태현, 한은주,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 스트레 스,사회적 지원 경험유무에 따른 심리적 복지감,"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9권, 제3호, pp.81-106, 2004. 

  54. 전선영, "사회복지관 이용 노인의 여가만족도와 심리적복지감,"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제57권, pp.1-29, 2016. 

  55. 박영선, 저소득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56. 박현순, 나동석, "취업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40권, pp.147-72, 2008. 

  57. 남기민, 정은경, "여성독거노인들이 인지한 사회 활동과 사회적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2권, pp.325-348, 2011. 

  58. 박지원, 사회적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5. 

  59. 조민자, 박옥임, 문희, "노인의 자아존중감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제29권, pp.136-136, 2012. 

  60.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61. D. P. Mackinnon, C. M. Lockwood, J. M. Hoffman, S. G. West, and V. Sheets, "A comparison of methods to test mediation and other intervening variable effects," Psychological Methods, Vol.7, pp.83-104, 2002. 

  62. K. J. Preacher and A. F. Hayes, "SPSS and SAS procedures for estimating indirect effects in simple mediation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Vol.36, No.4, pp.717-731, 2004. 

  63. 박선아, 이미림, 최재영, "복지시설 이용 청소년의 위험요인이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 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539-550,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