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이비붐 세대의 여가활동이 ICT 이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aby Boom Generation' Leisure Activities on ICT Skill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3, 2018년, pp.1 - 12  

오주현 (연세대학교 바른ICT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가 일상생활 속에서 ICT 이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따라서 취미를 매개로한 여가활동이 ICT 이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봤다. 2016 한국미디어패널 데이터를 활용했으며, 분석결과 여가활동을 많이 할수록 ICT 이용능력이 높은 것을 확인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도구변수를 통해 내생성을 통제한 2단계 회귀분석에서도 영향력을 확인했다. 구체적으로는 공연/문화 관람 활동이 통합적 ICT 이용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작적 취미활동은 동영상 콘텐츠 이용과 전자상거래 이용 능력에, 쇼핑 활동은 커뮤니케이션 영역과 정보검색 영역에 유의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에 익숙한 베이비붐 세대의 경우, 여가활동이 ICT 이용의 동기와 활용, 교육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ICT 이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ay to improve baby boom generation's ICT skills in their daily life.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on ICT skills. The analysis used 2016 Korea Media Panel data. Results show that the more leisure activities baby-boomers participa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 원주민은 무엇인가? Prensky( 2001)는 이들을 아날로그에 익숙하지만 디지털 시대에 적응하는 세대라는 점에서 ‘디지털 이민자(digital immigrant)’라 칭하였다[5]. 한편 태어날 때부터 디지털 문화에 익숙한 세대도 함께 공존하는데, 이들은 ‘디지털 원주민(digital natives)’으로 불린다[5]. 하지만 이들 역시 출생 시기에 PC 인터넷 혹은 모바일 인터넷이 가능한 시기였는지에 따라 생활양식과 가치관이 다를 것이다.
세대 간 정보격차의 발생 원인은 무엇인가? 살펴본바와 같이 세대 간 정보격차의 발생 원인은 정보화를 맞이한 생애주기가 다르고, 생애주기에 따라 새로운 기술에 대한 적응력 그리고 새로운 패러다임에 적응하는 속도가 다르기 때문임을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세대, 연령은 기존 연구에서 정보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일차적 요인으로 설명되어 왔다[8].
성공적인 노화의 조건은 무엇인가? Rowe 과 Kahn 은 성공적인 노화의 조건으로 세 가지를 꼽는다. 첫째가 신체적 건강, 둘째는 인지적, 신체 기능, 마지막으로 활동적인 참여를 꼽았다[2].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를 긍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본 용어들의 정의에서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활동적인 참여’에 초점을 동이 ICT 이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려는 목적을 지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Y. S. Koh. (2016). A Exploratory study on the digital aging policies as solutions for a aging socie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1), 115-123. DOI : 10.14400/JDC.2016.14.11.115 

  2. J. W. Rowe & R. L. Kahn. (1997).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37(4), 433-440. DOI : 10.1093/geront/37.4.433 

  3. S. Fox. (2004). Older Americans and the Internet. Pew Internet & American Life. 

  4. S. H. Park, & J. Choi. (2004). Cross-cultural analysis on Internet motives: South Korea and the U.S.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48(4), 243-270. URL: www.dbpia.co.kr/Article/NODE00955277 

  5. M. Prensky. (2001). Digital natives, digital immigrants. From on the Horison, 9(5), 1-6. DOI : 10.1108/10748120110424816 

  6. Y. M. Jang, Y. L. Hur, & M. S. Jung. (2015). A study on the wellness change of life in the baby boomer gener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3), 215-220. DOI : 10.14400/JDC.2015.13.3.215 

  7. J. H. Oh. (2017). Study on the social relationship of old generations and use of smart media: Shedding light on intra-generation digital divide and the effect of bridging generations. Doctori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8. P. Norris. (2001). Digital Divide: Civic Engagement, information Poverty, and the Internet Worldwide.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E. Hargittai (2002). Second-level digital divide: Differences in people's online skills. First Monday, 7(4). URL:www.firstmonday.org/issues/issue7_4/hargittai/ind ex.html 

  10. H. K. Nam-Gung, I. H. Kim, & H. Chun (2017). Study on the correlates of digital disparity among older Seoul resi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4), 73-81. DOI : 10.14400/JDC.2017.15.4.73 

  11. J. I. Ahn, & Y. K. Seo (2014). An analysis of sub-factors of digital media literacy divide: Focusing on the effects of generation and economic statu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2), 69-78. DOI : 10.14400/JDC.2014.12.2.69 

  12. H. J. Hwang & Y. S. Hwang. Gaps and reasons of digital divide within the elderly in Korea: Focusing on household composition. The Journal of Social Science, 24(3), 359-386. URL : www.dbpia.co.kr/Article/NODE07246416 

  13. E. Hargittai & A. Hinnant. (2008). Digital Inequality: Differences in young adults' use of the Internet. Communication Research, 35(5), 602-621. DOI : 10.1177/0093650208321782 

  14.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6). 2016 Survey on National Leisure Activity. 

  15. H. Y. Yoon. (2016). Exploratory study on the perception of leisure and aging well in older Korean adults. Journal of Tourism & Leisure Research, 28(7), 201-221. URL : www.dbpia.co.kr/Article/NODE07010488 

  16. K. S. Kim & E. J. Lee. (2010). Relation between leisure sports' activities among older adults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uccessful aging.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5), 424-432. DOI : www.dbpia.co.kr/Article/NODE01430358 

  17. E. K. Jung & J. K. Kim. (2017). A study on the effects of baby boom generation' leisure and preparation for old aged on life satisfaction and moderated regression for spouse suppor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0), 501-512. DOI : 10.14400/JDC.2017.15.10.501 

  18. Y. J. Shin & M. J. Koo. (2010). An explorative study on computer education for the elderly and their life satisf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3(4), 119-147. URL : www.earticle.net/article.aspx?sn132612 

  19. S. Y. Yong & H. J. Son. (2012). Research on relationships between Internet use and the elderly's Life Quality, The Korea Contents Society, 12(4), 235-244. DOI : 10.5392/JKCA.2012.12.04.235 

  20. A. H., ?ar, G. Y. Gokturk, G. Tura, & N. Kazaz. (2012). Is he Internet use an effective method to cope with elderly loneliness and decrease loneliness symptom?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 55, 1053-1059. DOI : 10.1016/j.sbspro.2012.09.597 

  21. M. Karavidas, N. K. Kim, & S. L. Katsikas. (2005). The effects of computers on older adult user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1(5), 697-711. DOI : 10.1016/j.chb.2004.03.012 

  22. M. R. Kim, T. U. Kim & J. A. Kim. (2009).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of silver generation to use Internet.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 10(1), 145-158. URL : www.koreascience.or.kr/article/ArticleFull Record.jsp? cnOTJBCD_2009_v10n1_145 

  23. R. W. Motl, & E. McAuley. (2011). Physical activity, disability, an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Clinics, 21(2), 299-308. DOI : 10.1016/j.pmr.2009.12.006. 

  24. F. Sun, I. J. Norman, & A. E. While. (2013). Physical activity in older people: a systematic reviews. BMC public health, 13, 449. DOI : 10.1186/1471-2458-13-449 

  25. J. D. Angrist & J. Pischke. (2009). Mostly Harmless Econometric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6. H. H. Lee. (2017). Influential factor of life satisfaction based on types of baby boomer gener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0), 19-29. DOI : 10.14400/JDC.2017.15.10.1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