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부모 친밀도와 인터넷 정책 인지도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Closeness with Parents and Awareness of Internet Policies on Internet Addiction among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South Korea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3, 2018년, pp.13 - 25  

이래혁 (순천향대학교 향설나눔대학) ,  장혜림 (서울장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부모 친밀도와 인터넷 정책 인지도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인터넷 중독 문제를 완화 또는 예방할 수 있는 정책과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매해 실시하고 있는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자료에서 다문화가정 청소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부모와의 친밀도와 인터넷 관련 정책 인지도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척도의 분석 결과, 분석 대상 청소년들의 전체 척도 점수는 평균 2.09점이었고 하위 요인별로는 금단이 평균 2.20점, 내성이 평균 2.18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인지하는 부모와의 친밀도가 인터넷 중독과 부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정부의 인터넷 중독 관련 정책을 인지하는 것이 인터넷 중독과 부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 문제의 해결 및 예방을 위해 부모교육 프로그램 제공, 정부정책 홍보 강화 등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ing data from the 2014 Survey on Internet Addiction perform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closeness with parents and awareness of Internet policies on Internet Addiction among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South Korea. Desc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관한 탐색적 분석을 위해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매해 실시하고 있는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2004년부터 매년 실시되고 있는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는 전국 단위의 표본을 사용하여 인터넷 중독 실태를 파악하고, 인터넷 중독 예방 및 해결을 위한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3].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는 일상적인 인터넷 이용, 인터넷 중독 인지도, 상담 및 치료경험 등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서 인터넷 중독의 영향요인을 탐색하는 본 연구에 적절한 자료이다.
  •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인터넷 중독과 관련한 맞춤형 예방교육을 의무화하고, 인터넷 및 스마트미디어 중독예방운동을 실천하는‘스마트미디어 청정학교’와 지역별 인터넷 중독대응센터를 운영하도록 지원하며, 중독위험에 따른 심리치료서비스를 강화하는 등 관련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이다. 5년간 진행될 정부정책으로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관련한 생심리 사회환경적 차원에서 중독원인을 규명하고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문제를 완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인터넷 중독과 관련한 정책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첫 단계는 정책홍보일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부모 친밀도와 인터넷 정책 인지도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현재 한국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인터넷중독 문제를 완화하거나 예방할 수 있는 정책과 실천적 함의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시의성을 지닌다.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인터넷 중독 문제를 완화하거나 예방할 수 있는 정책과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전국 단위의 표본을 사용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특히 부모와의 친밀도라는 부모 요인과 정부 정책 인지도라는 사회구조적 요인의 긍정적 영향을 밝혀내어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이라는 중요한 사회문제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혔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부모 친밀도와 인터넷 정책 인지도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현재 한국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인터넷중독 문제를 완화하거나 예방할 수 있는 정책과 실천적 함의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시의성을 지닌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오세연의 연구에 의하면[6], 다문화가정 자녀의 인터넷 중독은 개인과 가정, 그리고 사회적 환경요인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학교에서의 따돌림과 차별로 인한 스트레스나 학교생활과 학습의 어려움, 주변 또래와 이웃의 유대, 그리고 차별과 다양한 방과 후 활동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정책과 실천적 함의로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와 상담과 치료교육,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다양한 방과 후 활동 프로그램과 사회적 지지망의 확대 등을 제시하고 있다.
  • 2004년부터 매년 실시되고 있는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는 전국 단위의 표본을 사용하여 인터넷 중독 실태를 파악하고, 인터넷 중독 예방 및 해결을 위한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3].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는 일상적인 인터넷 이용, 인터넷 중독 인지도, 상담 및 치료경험 등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서 인터넷 중독의 영향요인을 탐색하는 본 연구에 적절한 자료이다. 매해 실시되는 실태조사 자료는 한국정보화진흥원을 통해서 공개 자료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현재 2016년도 자료까지 활용이 가능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 인터넷 중독으로인해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가? 최근 연구에 의하면 청소년기 인터넷 중독은 다양한 영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면부족이나 체력저하와 같은 영향을 미치거나 우울이나 대인기피 등 사회적 영역의 문제를 유발하기도 해서 과도한 인터넷의 사용은 청소년의 인지와 심리정서 발달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4]. 이와 같은 이유로 청소년기 인터넷 중독의 문제를 인식한 연구자들은 중독의 원인을 규명하거나 여러 방안을 모색하는데 관심을 갖게 된다.
인터넷 중독이란 무엇인가? 인터넷 중독이란 개념은 DSM-Ⅳ의 물질중독기준을 근거로 Goldberg가 1990년대 중반에 인터넷 중독 장애(Internet Addiction Disorder, IAD)란 용어를 최초로 사용하면서 시작되었다[16]. 의학적 기준이라 할 수 있는 DSM(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의 진단기준이 확정되지 않아 인터넷 중독을 진단할 수 있는 통일된 기준이나 평가방법은 아직 존재하지 않으나 일반적 수준에서 인터넷 중독이란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습관적이고 반복적인 인터넷 접속으로 일상생활을 방해받는 수준까지 이르렀을 때를 의미한다.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컴퓨터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행동을 말하며 충동적 인터넷 사용(compulsive Internet use, CIU), 문제있는 인터넷 사용(problematic Internet use, PIU), 인터넷 과다사용(Internet overuse), 병적인 컴퓨터 사용(pathological computer use) 등으로도 불리기도 한다[17].
생태체계관점에 의한 연구는 중독되는 원인을 어떻게 규명하고 있는가? 이와 같은 이유로 청소년기 인터넷 중독의 문제를 인식한 연구자들은 중독의 원인을 규명하거나 여러 방안을 모색하는데 관심을 갖게 된다. 특히 환경속의 인간(person in environment)이란 전제로 인간의 문제를 사정(assesment)하고 개입하는 생태체계관점에 의한 연구들은 중독에 이르게 되는 원인을 개인의 심리적 특성으로만 한정하지 않고 부모와 가족 그리고 사회구조 체계까지 초점을 맞추어 생심리사회적 존재인 청소년의 문제를 규명하고 있다[5-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M. K. Kim. (2016). Relationship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stress, depression, family resilience and Internet game addic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1), 205-210. DOI : 10.15207/JKCS.2016.7.1.205 

  2. J. S. Min. (2017). A study on the Internet abuse factors of community sentiment: Focused on social presence and social interaction.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1(1), 153-164. DOI :10.21184/jkeia.2017.01.11.1.153 

  3.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5). A survey on Internet addiction. 

  4. K. S. Young. (1999). Internet addiction: Symptoms, evaluation and treatment. In L. VandeCreek & T. L. Jackson (Eds.), Innovations in clinical practice: A source book (17, pp. 19-31). Sarasota, FL: Professional Resource Press. 

  5. K. S. Kim. (2009). The parents-related factors prediction model for Internet game addiction of adolescence. Ph.D. dissertation, Seoul: Chung-Ang University. 

  6. S. Y. Oh. (2013). A study on the reasons and solutions of Internet addiction in multi-cultural family.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27(3), 165-189. DOI : 10.18398/kjlgas.2013.27.3.165 

  7. J. K. Lee & W. Y. Choi. (2011). Study on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of Internet addiction of the adolescent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2(6), 2085-2104. DOI: 10.15703/kjc.12.6.201112.2085 

  8. Y. M. Kim. (2013). Critical considerations for multi-cultural discourses and polici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Political and Diplomatic History, 35(1), 141-174. DOI: 10.18206/kapdh.35.1.201308.141 

  9. I. J. Yoon & Y. H. Song. (2011). South Koreans' perceptions of national identity and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23(1), 143-192. 

  10.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2). A study on multiculturalism. 

  11. B. E. Seo. (2017). The factors affecting cyber delinquency among Korean youth: Focus on school level difference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5(1), 77-99. 

  12. S. C. Park & Y. S. Yun. (2017). The impact of adolescent's national identity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Youth Facilities and Environment, 13(2), 19-30. 

  13. J. A. Bank. (2009). Human rights, diversity, and citizenship education. Educational Forum, 73, 100-110. doi.org/10.1080/00131720902739478 

  14. T. I. Kim. (May 25, 2017). Internet and smart phone addictions. Yonhap News. http://v.media.daum.net/v/20170525060031407?fo 

  15. O. Y. Eom. (2010). A study on the ecological factor giving effect to juvenile's Internet addiction: Focusing on depression and self-control. Ph.D. dissertation, Seoul: Hanyoung Theological University. 

  16. I. Goldberg. (May 25, 2017). Internet addiction, electronic message posed to research discussion list. http://users.rider.edu/-suler/psycyber/supportgp.html 

  17. Wikipedia. (n.d.). Internet addiction disorder. https://en.wikipedia.org/wiki/Internet_addiction_disorder 

  18. C. B. Weng et al. (2013). Gray matter and white matter abnormalities in online game addiction. European Journal of Radiology, 82(8), 1308-1312. DOI: 10.1016/j.ejrad.2013.01.031 

  19. K. S. Young. (2009). Understanding online gaming addiction and treatment issues for adolescents.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37(5), 355-356. doi.org/10.1080/01926180902942191 

  20.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5). 2015 statistics on foreign population. 

  21. M. K. Song, S. H. Jee, E. K. Cho & Y. S. Lim. (2008). A study on the parental experience of a foreign mother in a multicultural family.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2), 497-517. 

  22.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6). An analysis on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5. 

  23. Y. Cui & H. S. Kwon. (2014).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media addiction and strategy of media education for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Migration and Society, 7(2), 61-84. 

  24.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6). A longitudinal survey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IV. 

  25. J. D. Kwon. (2014). Human behavior and social environment. Seoul: Hakjisa. 

  26. B. S., Hong & M. A. Nam. (2013). Youth welfare. Goyang: Knowledge Community. 

  27. S. Y. Kim & Y. S. Kim. (2017). A study on the health inequality in childhood: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between the social economic level and health problems. Forum For Youth Culture, 50, 8-30. 

  28. I. H. Song & J. H. Park. (2011). The effect of parent-child bonding on adolescent health promotion behavior: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6), 75-98. 

  29. E. S. Kwon & I. H. Ku. (2010). The effect of poverty on children's health.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2(4), 129-148. 

  30. J. H. Kang. (2012). The relation between the multi-cultural family father's participation in rearing of children and the children's adaptability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children. Master thesis, Seoul: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31. S. H. Park. (2009). A study on resilience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Ph.D. dissertation, Naju: Dongshin University. 

  32. Y. J. Lee. (2011). A study on parent-children relation influences on Internet excess utility of adolescents in digital period.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9(6), 104-111. 

  33. The Commission on Youth Protection. (2004). A survey on youth Internet use. 

  34. Y. S. Sung. (2006). A study of adolescents' perception of information policy. Youth Facilities and Environment, 4(3), 15-38. 

  35. Y. J. Lee. (2011). A study on cognition and policy of shut-down system of adolesc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9(3), 21-29. 

  36. E. J. Lee. (2016). The implication of French policy for preventing adolescent addiction based on the social ecology theory. Studies on Life and Culture, 41, 1-51. 

  37.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2014). A survey on Korean and Japanese game users. 

  38. H. S. Kim. (2010). The effects of the school environmental factors on Internet addition in adolescence: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15(1), 193-200. 

  39. S. W. Choi & S. H. Kim. (2015). Influence of adolescent attachment to parents on addiction to smart phone: Mediation effect brought in by self-esteem.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12(3), 365-383. 

  40.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2002). A study on developing counseling and preventing programs for Internet addiction. 

  41. D. N. Greenfield. (1999).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mpulsive Internet use: A preliminary analysis. Cyber Psychology & Behavior, 8(5), 403-412. doi: 10.1089/cpb.1999.2.403 

  42. K. S. Young. (1996). Psychology of computer use: XL. Addictive use of the Internet: A case that breaks the stereotype. Psychological Reports, 79(3), 899-902. DOI: 10.2466/pr0.1996.79.3.899 

  43.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 Third standardization of Korean Internet Addiction Proneness Scale. 

  44. D. R. Shin, H. G. Baek & J. H. Kang. (2008). A study of the key factors on the Internet addiction of the youth.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6(3), 93-107. 

  45. S. I. Yun, H. S. An & S. W. Oh. (2012). The influence of the attachment of parents and the stress of school life middle-school students to the Internet fame addic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7), 221-227. 

  46. J. A. Ryu. (2016). A study for parent education for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29(4), 125-131. 

  47.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6). A survey on Internet addiction. 

  48. C. J. Yu, G. T. Kim & S. H. Lim. (2012). The study on welfare service of multicultural families youth.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5), 19-26. 

  49. S. Y. Park & S. N. Yang. (2015). Factors associated with internet use time among adolescents: Focused on convergent implication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9), 387-395. DOI : 10.14400/JDC.2015.13.9.387 

  50. B. H. Yoo, S. M. Kim, H. G. Baek & J. H. Kang. (2009). Impact of Internet addiction on school life adapt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7(2), 71-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