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미디어 활용 언어치료에 대한 언어치료전공 대학생의 인식조사
A Study on the Cognitiveness of Pre-Language Therapists for Language Therapy Using Smart Media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3, 2018년, pp.469 - 476  

이은경 (동신대학교) ,  안수영 (동신대학교) ,  박순희 (동신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언어치료 시 미디어 활용의 유용성을 밝히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언어치료전공 대학생의 미디어 활용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언어치료전공 대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142부의 설문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언어치료전공 대학생의 미디어 사용에 대한 인식은 언어발달을 위해서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치료 적용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사용은 주의 집중력 증진, 인지 및 창의성 발달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 치료도구로서의 미디어 사용은 찬성하지만 미디어 활용에 대한 규칙을 교육하고 적절한 사이트나 프로그램을 잘 알아야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언어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사이트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mmon perception of the use of preliminary language rehabilitation as a basic study to demonstrate the usefulness of media utilisation in language therapy.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or 150 preliminary language rehabilitation workers and 142 qu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언어장애인을 치료하게 될 언어치료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치료의 수단으로써 스마트미디어에 대한 인식과 사용할 수 있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인식, 미디어 활용 장애영역에 대한 인식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언어치료시 스마트미디어의 활용가능성과 활용영역을 확인하고, 향후 대학에서 임상실습 시 스마트미디어와 콘텐츠 사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언어장애인을 치료하게 될 언어치료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치료의 수단으로써 스마트미디어에 대한 인식과 사용할 수 있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인식, 미디어 활용 장애영역에 대한 인식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언어치료시 스마트미디어의 활용가능성과 활용영역을 확인하고, 향후 대학에서 임상실습 시 스마트미디어와 콘텐츠 사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언어치료 시 미디어 활용의 유용성에 대한 언어치료사의 인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예비 언어재활사의 미디어 활용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장애 아동 및 성인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도구로 스마트미디어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언어치료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치료시간 내 스마트미디어의 활용정도와 이용시간 등에 대한 인식정도를 알아보고, 각 영역별로 사용하는 스마트미디어의 종류와 미디어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등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장애 아동 및 성인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도구로 스마트미디어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언어치료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치료시간 내 스마트미디어의 활용정도와 이용시간 등에 대한 인식정도를 알아보고, 각 영역별로 사용하는 스마트미디어의 종류와 미디어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등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의 결과는 많은 선행연구들[2, 3, 14-17]에서와 같이 스마트기기의 언어치료 적용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로서, 스마트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언어장애 아동 및 전문가의 스마트미디어사용 실태 및 요구사항을 파악하는 기초자료로서 의의를 갖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사소통장애의 원인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의사소통장애란 의사소통을 위하여 언어를 사용하고 이해함에 있어서 어려움을 나타내는 장애를 의미하는 것으로 지적장애, 자폐범주성장애, 뇌병변장애, 청각장애, 학습장애, 뇌기능장애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나타나거나 유창성장애, 조음장애, 단순언어장애 등과 같이 특정적인 원인으로 인해 나타난다. 의사소통장애는 일반적으로 의사소통 영역에 있어서 이해 및 표현 언어발달지연 및 지체가 있는 언어장애, 호흡, 발성, 공명기관 등 언어기관의 손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말장애로 분류해 왔으나, 말장애와 언어장애는 동시에 나타나기도 하며 이는 모두 타인과의 의사소통에 문제를 보이는 것으로 의사소통장애로 통칭하고 있다[1].
언어장애 아동의 치료를 위한 방법으로는 어떠한 것들이 개발되어 사용해 왔는가? 기존 언어장애 관련 치료방법으로는 치료사중심중재, 환경중심중재, 스크립트를 사용한 중재, 장벽게임, 역할놀이 등 언어장애인에게 언어이해 및 사용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치료기법들을 개발하고 사용하여 왔으며 효과성 또한 입증되고 있다. 그러나 언어장애인들은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치료, 학습, 교육에서 환경적 제한이 있는 경우 치료에 어려움이 있으며 언어장애인들을 위한 치료방법의 다양화는 꼭 필요하다.
의사소통장애란 무엇인가? 의사소통장애란 의사소통을 위하여 언어를 사용하고 이해함에 있어서 어려움을 나타내는 장애를 의미하는 것으로 지적장애, 자폐범주성장애, 뇌병변장애, 청각장애, 학습장애, 뇌기능장애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나타나거나 유창성장애, 조음장애, 단순언어장애 등과 같이 특정적인 원인으로 인해 나타난다. 의사소통장애는 일반적으로 의사소통 영역에 있어서 이해 및 표현 언어발달지연 및 지체가 있는 언어장애, 호흡, 발성, 공명기관 등 언어기관의 손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말장애로 분류해 왔으나, 말장애와 언어장애는 동시에 나타나기도 하며 이는 모두 타인과의 의사소통에 문제를 보이는 것으로 의사소통장애로 통칭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im, H. S., Kim, Y. T., Kim, J. S., Kim, H. H., Bae, S. Y., Shin, M. J. & Kwon, M. S. (2011). Introduction to communicative disorders. Seoul: Hakjisa. 

  2. Kim, B. R, & Kang, K. S. (2008). Media Access and Use in the Special Education: Focused on the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Research, 7(1), 73-98. 

  3. Bosco, J. (1986). An analysis of the evaluations of interactive video. Educational Technology, 26(5), 7-17. 

  4. Najjar, L. J. (1996). Multimedia Information and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Multimedia and Hypermedia, 5(2), 129-150. 

  5. Clark(1994). Media will never influence learning,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2(2), 21-29. 

  6. Reiser, R. A. (1994) Clark's invitation to dance: An instructional designer's response, ETR&D, 42(2), 45-48. 

  7. N. Muthukrishna & J. G. Borkowski, (1995). How learning contexts facilitate strategytransfer.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9, 425-446. 

  8. Buckingham, D. (2013). Media education: literacy, learning and contemporary culture. Hoboken, NJ: John Wiley & Sons. 

  9. Cho, Y. S. (2011). The future of IT service on smart media. In SMART on ICT 2011 Conference Presentation. Seoul: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10. Croteau, D. R., Hoynes, W. D., & Milan, S. (2012). Media/society: industries, images, and audience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1. Kim, J. H., & Kim, S. Y. (2012). Media Contents 2.0: the dawning of the smart media age (IT strategy reports). Seoul: KT Economic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12. Oh, J. H. & Lee, J. L. (2007). Differential effects of multimedia instructional formats on learning efficiency: Focused on children's linguistic/spatial intelligence.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3(4), 103-125. 

  13. Lim, J. H., & Park, E. H. (2012). Development and research trends of application as the smart education media for AS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Autism, 12(1), 93-117. 

  14. Cafiero, J. M., & Meyer, A. (2008). Your child with autism: when is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an appropriate option? Exceptional Parent, 38, 28-30. 

  15. Goldsmith, T. R., & LeBlanc, L. A. (2004). Use of Technology in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Early and Intensive Behavior Intervention, 1, 166-178. 

  16. Ha, S. B., & Kang, S. M. (2011). Inquiry on the socio-cultural meaning of the using form and environment of smart phone: focused on the viewpoint of media-ecology studi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 89-99. 

  17. Hailpern, J., Karahalios, K., Halle, J., DeThorne, L., & Coletto, M. K. (2008). Visualizations: speech, language & autistic spectrum disorder.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 Florence, Italy, 3591-3596. 

  18. Hoque, M. E., Lane, J. K., El Kaliouby, R., Goodwin, M., & Picard, R. W. (2009). Exploring speech therapy games with children on the autism spectrum. Proceedings of the 10th Annual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Speech Communication Association (INTERSPEECH 2009), Brighton, UK, 1455-1458. 

  19. Kim, S. J. (2013). Current status of utilization of digital media for infants/Toddlers and teachers' awareness. A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20. M. H. Kim. (2017). The Effect of Performing Leader's Role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Small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in Virtual Real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1), 67-76. 

  21. J. M. Lee, E. B. Jo, H. Y. Li & J. Yo. Rha. (2017).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Use and Assesment with Digital Devices and Services for Realizing Smart Campu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7), 27-39. 

  22. K. Kim & H. Kim (2017). A Study on Customized Software Education method using Flipped Learning in the Digital A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7), 55-64. 

  23. Yim, D. S., Kim, S. Y., Park, W. J., & Lee, Y, J. (2014). Analysis on needs based survey of parents an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for smartphone programs. Communication Science & Disorders, 19(4), 486-500. 

  24. Lee, H. J., Kang, M. K.,, & Kim, Y. T. (2013). Current practice and support needs in smart media perceived by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fficulties. Communication Science & Disorders, 18(2), 163-1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