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엘리트 핸드볼 선수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도핑 관련 정보가 도핑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Information, Knowledge of Doping and Education of Anti-doping on Attitude toward Doping among Elite Handball Player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3, 2018년, pp.553 - 560  

초철삼 (부경대학교 해양스포츠학과) ,  김용재 (부경대학교 해양스포츠학과) ,  김태규 (부경대학교 해양스포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엘리트 핸드볼 선수들을 대상으로 도핑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 도핑에 대한 정보 및 반도핑 교육 경험이 도핑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핸드볼 선수 358명 (청소년 선수 193명, 성인 선수 165명)을 대상으로 자가기입 설문지를 통해 나이, 성별, 운동경력 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도핑에 대한 정보 습득 여부 및 반도핑 교육 경험 여부를 조사하였고, 이와 함께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 (PEAS) 설문지를 사용하여 도핑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인구통계학적 특성, 도핑에 대한 정보 및 반도핑 교육 경험이 도핑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성인 선수가 청소년 선수보다 도핑에 대해 더 관대한 태도를 보였고, 청소년 선수는 성별과 나이가 도핑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성인 선수는 성별이 도핑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핸드볼 종목의 선수를 위한 반도핑 전략 마련에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quantify the attitude toward doping among handball players an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players' demographic information, knowledge of doping, education of anti-doping on the attitudes toward doping. 385 elite handball players (193 adolescent players, 165 adult players) were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엘리트 핸드볼 선수들을 대상으로 도핑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고, 성별, 나이, 경력 등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특성, 도핑에 대한 정보 및 반도핑 교육 경험이 도핑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반도핑 전략 개발에 있어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모든 정보는 훈련된 조사자의 감독에 의해 자가기입형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고, 응답자의 신분이 유추되지 않도록 철저하게 익명성을 유지하였다. 또한 조사자의 감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바람직성에 의한 편향 (social desirability bias)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모든 연구자가 정보수집과정을 관리감독하였다.
  • 본 연구는 횡단적 단면 설계 (cross-sectional design)를 통해 엘리트 핸드볼 선수들의 도핑에 대한 태도를 확인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과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연구대상 선수들의 연령, 성별, 경력 등의 인구통계학적 자료와 함께 도핑에 대한 정보 습득 여부와 반도핑 교육 경험 유무를 확인하였고, 이후 한국어로 변역된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 (PEAS)를 사용하여 연구대상자의 도핑에 대한 태도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엘리트 핸드볼 선수들을 대상으로 도핑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도핑에 대한 정보 및 반도핑 교육 경험이 도핑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193명의 청소년 선수와 165명의 성인 선수가 설문조사에 참여하였고, 성인 선수가 청소년 선수보다 도핑에 대해 더 관대한 태도를 보였다.
  • 팀 스포츠 종목의 선수들이 스피드 (speed) 및 파워 (power)를 요구하는 다른 스포츠 종목보다 도핑에 대해 엄격한 성향을 가진 것으로 보고되었지만[22], 팀 스포츠 종목에서도 이러한 위반사례가 발생함에 따라 팀 스포츠 선수 또한 도핑에 대한 태도를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생각된다[7]. 따라서 본 연구는 엘리트 핸드볼 선수들을 대상으로 청소년 선수와 성인 선수를 구분하여 도핑에 대한 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연구를 시행하였다. 그러나 자아 지향적인 (ego-oriented) 성향 또는 과업 지향적인 (task-oriented) 성향과 같은 개인적인 요소와 동기 분위기 (motivational climate)와 같은 환경적인 요인 또한 도핑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22,36,37], 이와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여 도핑에 대한 태도와의 연관성을 확인한다면 팀스포츠 종목의 선수들을 위한 효율적인 반도핑 전략 마련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핑 (doping)이란? 운동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물질 및 방법(performance-enhancing substances and methods)을 사용하는 행위, 즉 도핑 (doping)은 스포츠 현장에서 새롭게 나타난 현상은 아니다[1]. 2004년 이후 세계 반도핑 기구 (World Anti-Doping Agency, WADA)에서는 매년도핑에 대한 범위 등을 재설정하고 이를 제재하기 위한규약을 개정하고 있으며 반도핑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나[2], 도핑 규정위반은 매년 약 2%정도 꾸준히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3].
본 연구의 도핑에대한 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외에도 연구해야한다고 말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따라서 본 연구는 엘리트 핸드볼 선수들을대상으로 청소년 선수와 성인 선수를 구분하여 도핑에대한 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연구를 시행하였다. 그러나 자아 지향적인 (ego-oriented) 성향 또는 과업 지향적인 (task-oriented) 성향과 같은 개인적인 요소와 동기 분위기 (motivational climate)와 같은환경적인 요인 또한 도핑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22,36,37], 이와 관련된 요인을분석하여 도핑에 대한 태도와의 연관성을 확인한다면 팀스포츠 종목의 선수들을 위한 효율적인 반도핑 전략 마련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매년 일어나는 도핑 규정위반 평균 수치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물질 및 방법(performance-enhancing substances and methods)을 사용하는 행위, 즉 도핑 (doping)은 스포츠 현장에서 새롭게 나타난 현상은 아니다[1]. 2004년 이후 세계 반도핑 기구 (World Anti-Doping Agency, WADA)에서는 매년도핑에 대한 범위 등을 재설정하고 이를 제재하기 위한규약을 개정하고 있으며 반도핑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나[2], 도핑 규정위반은 매년 약 2%정도 꾸준히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3]. 이러한 도핑은 엘리트 선수와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선수 모두의 문제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loodworth, A. & McNamee, M. (2010). Clean Olympians? Doping and anti-doping: The views of talented young British athletes. International Journal of Drug Policy, 21(4), 276-282. 

  2. Morente-Sanchez, J., & Zabala, M. (2013). Doping in sport: a review of elite athletes' attitudes, beliefs, and knowledge. Sports medicine, 43(6), 395-411. 

  3. Petroczi, A. & Aidman, E. (2008). Psychological drivers in doping: the life-cycle model of performance enhancement. Substance abuse treatment, prevention, and policy, 3(1), 7. 

  4. Elbe, A., M. & Brand, R. (2016). The effect of an ethical decision-making training on young athletes' attitudes toward doping. Ethics & Behavior, 26(1), 32-44. 

  5. Houlihan, B. (1999). Dying to win: Doping in sport and the development of anti-doping policy. Strasbourg, France : Manhattan Publishing Co. 

  6. Trout, G. J. & Kazlauskas, R. (2004). Sports drug testing -an analyst's perspective. Chemical society reviews, 33(1), 1-13. 

  7. Sekulic, D., Tahiraj, E., Zvan, M., Zenic, N., Uljevic, O. & Lesnik, B. (2016). Doping attitudes and covariates of potential doping behaviour in high-level team-sport athletes; gender specific analysis. Journal of sports science & medicine, 15(4), 606. 

  8. Erickson, K., McKenna, J., & Backhouse, S. H. (2015).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protect athletes against doping in sport.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16, 149-155. 

  9. Kisaalita, N. R. & Robinson, M. E. (2014). Attitudes and motivations of competitive cyclists regarding use of banned and legal performance enhancers. Journal of sports science & medicine, 13(1), 44. 

  10. Sekulic, D., Bjelanovic, L., Pehar, M., Pelivan, K., & Zenic, N. (2014). Substance use and misuse and potential doping behaviour in rugby union players. Research in sports medicine, 22(3), 226-239. 

  11. Alaranta, A., Alaranta, H., Holmila, J., Palmu, P., Pietila, K. & Helenius, I. (2006). Self-reported attitudes of elite athletes towards doping: differences between type of sport.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medicine, 27(10), 842-846. 

  12. Kondric, M., Sekulic, D., Petroczi, A., Ostojic, L., Rodek, J. & Ostojic, Z. (2011). Is there a danger for myopia in anti-doping education? Comparative analysis of substance use and misuse in Olympic racket sports calls for a broader approach. Substance abuse treatment, prevention, and policy, 6(1), 27. 

  13. Petroczi, A. & Aidman, E. (2009). Measuring explicit attitude toward doping: Review of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10(3), 390-396. 

  14. Ntoumanis, N., Ng, J. Y., Barkoukis, V. & Backhouse, S. (2014). Personal and psychosocial predictors of doping use in physical activity settings: a meta-analysis. Sports medicine, 44(11), 1603-1624. 

  15. Gorostiaga, E. M., Granados, C., Ibanez, J., Gonzalez-badillo, J. J. & Izquierdo, M. (2006). Effects of an entire season on physical fitness changes in elite male handball players.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38(2), 357-366. 

  16. Ronglan, L., Raastad, T. & Borgesen, A. (2006). Neuromuscular fatigue and recovery in elite female handball players. Scandinavian journal of medicine & science in sports, 16(4), 267-273. 

  17. Kim, E. & Kim, T. (2014). Attitudes and Dispositions toward Doping in Korean National Players.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3(1), 215-224. 

  18. Petroczi, A. (2006). Measuring attitude toward doping: Further evidence for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 Paper presented at the 14th Congress of the European Association for Sport Management. Nicosia, Cyprus. 

  19. Kim, T. & Kim, Y. H. (2017). Korean national athletes' knowledge, practices, and attitudes of doping: a cross-sectional study. Substance abuse treatment, prevention, and policy, 12(1), 7. 

  20. Manouchehri, J., & Tojari, F. (201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nstruments to measure doping attitudes and doping beliefs. Euro J Exp Bio, 3(2), 183-186. 

  21. Petroczi, A. (2007). Attitudes and doping: 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thletes' attitudes, sport orientation and doping behaviour. Substance abuse treatment, prevention, and policy, 2(1), 34. 

  22. Kim, T. & Kim, E. (2013). Attitudes and Dispositions toward Doping in Adolescent Elite Athletes. The Kore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31(2), 99-106. 

  23. Wiefferink, C., Detmar, S., Coumans, B., Vogels, T., & Paulussen, T. (2007). Social psychological determinants of the use of performance-enhancing drugs by gym users. Health education research, 23(1), 70-80. 

  24. Hauw, D., & Mohamed, S. (2015). Patterns in the situated activity of substance use in the careers of elite doping athletes.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16, 156-163. 

  25. Barkoukis, V., Lazuras, L. & Tsorbatzoudis, H. (2014). Beliefs about the causes of success in sports and susceptibility for doping use in adolescent athletes. Journal of sports sciences, 32(3), 212-219. 

  26. Barkoukis, V., Kartali, K., Lazuras, L. & Tsorbatzoudis, H. (2016). Evaluation of an anti-doping intervention for adolescents: Findings from a school-based study. Sport management review, 19(1), 23-34. 

  27. Bloodworth, A., Petroczi, A., Bailey, R., Pearce, G. & McNamee, M. (2012). Doping and supplementation: the attitudes of talented young athletes. Scandinavian journal of medicine & science in sports, 22(2), 293-301. 

  28. Nicholls, A. R., Madigan, D. J. & Levy, A. R. (2017).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 for adult and adolescent athletes.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28, 100-104. 

  29. Gucciardi, D. F., Jalleh, G. & Donovan, R. J. (2010). Does social desirability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doping attitudes and doping susceptibility in athletes?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11(6), 479-486. 

  30. Zucchetti, G., Candela, F., & Villosio, C. (2015). Psychological and social correlates of doping attitudes among Italian athletes. International Journal of Drug Policy, 26(2), 162-168. 

  31. Blank, C., Kopp, M., Niedermeier, M., Schnitzer, M. & Schobersberger, W. (2016). Predictors of doping intentions, susceptibility, and behaviour of elite athletes: a meta-analytic review. Springer Plus, 5(1), 1333. 

  32. Rodek, J., Sekulic, D., & Kondric, M. (2012). Dietary supplementation and doping-related factors in high-level sailing.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Sports Nutrition, 9(1), 51. 

  33. Kondric, M., Sekulic, D. & Mandic, G. F. (2010). Substance use and misuse among Slovenian table tennis players. Substance use & misuse, 45(4), 543-553. 

  34. Bae, M., Yoon, J., Kang, H. & Kim, T. (2017). Influences of perfectionism and motivational climate on attitudes towards doping among Korean national athletes: a cross sectional study. Substance abuse treatment, prevention, and policy, 12(1), 52. 

  35. Korea Anti-Doping Agency Home Page. http://www.kada-ad.or.kr/ Retrieved Mar. 1, 2018. 

  36. Kim, T., Cha, J., H., Cha, K., S. & Kim, K., H. (2016).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the Attitudes and Dispositions of Doping in Elite Golf Play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8), 527-536. 

  37. Bum, C., H., Yoo, C., K. & Jung, C., K. (2017). A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Stress, and Burnout among College Golf Athlet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2), 243-2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