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악 템포와 병행한 몸통안정화운동이 척주앞기울임각, 근활성도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Combine in the Musical Tempo on Lumbar Lordosis Angle, Muscle Activity and pai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6 no.1, 2018년, pp.83 - 89  

이동진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이연섭 (대원대학교 물리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in the musical tempo on lumbar lordosis angle, muscle activity and pain. Methods : For the 30 people with lumbar lordosis angle legion and back pain, a random selection was made with MLSE (15) and LS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음악은 시상하부 뇌하수체 부신피질 축을 조절하여 운동과 같은 스트레스를 제어하고,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활성에 영향을 미쳐 생리적 반응을 유발한다(Tumuluri 등, 2017). 본 연구는 기존의 몸통안정화 기법과 낮은 음악 템포를 융합하여 척주앞기울임각 및 근활성도, 주관적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 몸통안정화운동의 효과는 다양한 분야 연구들을 통해 입증되어 임상에서 다각도로 이용되고 있으나 환자가 운동량에 따라 좀 더 편안하고 부작용이 없고 회복이 빠른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음악과 병행한 몸통안정화운동 프로그램의 동시 효과를 연구한 논문은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음악을 병행한 몸통안정화운동 프로그램의 척주앞기울임각과 근활성도, 주관적 통증 정도(VAS)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척주앞기울임각의 이상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척주앞기울임각의 이상은 근육의 불균형으로 인한 자세유지근의 근력약화와 움직이는 기능을 담당하는 근육의 약화로 기능적인 움직임에서 팔다리의 움직임과 골반의 임상운동학적 불일치에서 발생한다(Gatti 등, 2011). 일반적으로 불균형이 일어나는 근육으로 엉덩관절 굽힘근, 엉덩허리근, 넙다리곧은근, 몸통의 척추세움근은 단축되고 배곧은근과 볼기근은 약화되어 척주앞기울임각은 증가되고, L5∼S1에 운동학적 스트레스와 감각과민이 발생한다.
요통의 원인은 무엇인가? 요통은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인종과 지역을 구분하지 않고 인간을 괴롭혀 왔다. 과거의 요통은 과사용과 외상이 주요한 원인이었다면 현재의 요통은 무용성 근력약화 및 자세 불균형이 주원인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현재의 이러한 원인은 척주앞기울임각 이상을 만들어 연령에 관계없이 특발성 요통 및 기능장애의 원인이 되고 있다(Kendall 등, 2001; 이경미와 권봉안, 2016). 무용성 근력약화 및 지속된 자세 불균형으로 발생한 요통과 다리로 방사되는 신경학적 통증은 조절할 수 있으나 통증 조절 이후에도 척주앞기울임각의 정상화는 이루어지지 않아 재발률이 높고 만성허리통증 환자로 발전하는 양상을 나타낸다(Nakipoglu 등, 2008).
운동 중 음악적용이 스트레스 조절 및 관리에 도움이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에는 운동중이나 후에 음악을 적용함으로써 효과적인 운동과 통증을 개선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음악은 많은 연구들에 의해 코티졸(cortisol)과 카테콜라민(catecholamine)과 같은 스트레스호르몬 조절, 통증조절, 신경인지와 자율신경계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스트레스 조절 및 관리에 도움이 된다(Yamasaki 등, 2012). 운동 중 음악적용은 비약물적인 치료법으로서, 빠른고 큰소리의 음악은 사람의 교감신경을 자극해 운동 수행능력 및 심박수의 증가를 자져온다(Edworthy & Waring, 2006) 반면, 느린 음악은 사람의 부교감신경을 자극해서 편안하고 안정된 상태로 유도한다고 하였다(전인혜와 장인현, 2012, Iwanaga 등,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김선엽, 김택연, 박성진(2003). 슬링운동치료에서 Hanging Point의 원리와 임상적 적용. 대한정형도수치료학회지, 9(2), 25-45. 

  2. 김은옥, 김택훈, 노정석 등(2009). 교각운동 시 복부 드로잉-인 방법이 요부 전만과 체간 및 하지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6(1), 1-9. 

  3. 한상완, 이동진, 이은상(2014). 슬링운동과 스위스 볼 운동이 요통환자의 근력과 협응력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16(3), 123-132. 

  4. 박수진, 김지현, 하수민 등(2017). 음악 템포가 조정선수의 로윙 에르고미터 2,000 m 수행 후 회복기 심박수, 카테콜라민 및 코티졸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1(4), 187-200. 

  5. 이경미, 권봉안(2016). 슬링운동과 스포츠마사지가 중년 여성 만성요통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4(2), 271-282. 

  6. 전인혜, 장인현(2012). 걷기운동 시 음악 템포가 남자중학생의 운동동속도, 심박수, 운동강도 및 코티졸 농도에 미치는 영향. 체육연구, 8(2), 41-50. 

  7. 조혜영(2006). 치료용 볼과 고정된 지면에서의 중심안정성 운동에 따른 요통환자 요부근육의 근활성도 비교.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황현정(2011). 슬링(sling)을 이용한 푸쉬업플러스(Push-up Plus) 운동이 요부안정화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Akuthota V, Ferreiro A, Moore T, et al(2008). Core stability exercise principles. Curr Sports Med Rep, 7(1), 39-44. 

  10. Edworthy J, Waring H(2006). The effects of music tempo and loudness level on treadmill exercise. Ergonomics, 49(15), 1597-1610. 

  11. Gatti R, Faccendini S, Tettamanti A, et al(2011). Efficacy of trunk balance exercises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low back pain: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 Orthop Sports Phys Ther, 41(8), 542-552. 

  12. Hoppes CW, Sperier AD, Hopkins CF(2016). The efficacy of an 8-weeks core stabilization program on core muscle function and endurance: a randomized trial. Int J Sports Phys Ther, 11(4), 507-519. 

  13. Iwanaga M, Kobayashi A, Kawasaki C(2005). Heart rate variability with repetitive exposure to music. Biol Psychol, 70, 61-66. 

  14. Jensen MP, Chen C, Brugger AM(2003). Interpretation of visual analog scale ratings and change scores: a reanalysis of two clinical trials of postoperative pain. J Pain, 4(7), 407-414. 

  15. Kendall FP, Mccreay EK, Provance PG(2001).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 Seoul, Pulunsol, pp100-187. 

  16. Maeo S, Takahashi T, Takai Y, et al(2013). Trunk muscle activities during abdominal bracing: comparison among muscles and exercises. J Sports Sci Med, 12(3), 467-474. 

  17. Nakipoglu GF, Karagoz A, Ozgirgin N(2008). The biomechanics of the lumbosacral region in acute and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Pain Physician, 11(4), 505-511. 

  18. O'Sulivan PB, Burnett A, Floyd AN, et al(2003). Lumbar repositioning deficit in a specific low back pain population. Spine, 28(10), 1074-1079. 

  19. Park JH(2002). A study on strength and rate of the flexor-extensor of knee and hip joint of the high school boys who have low back pain. Kookmin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 Petrone MR, Guinn J, Reddin A, et al(2003). The accuracy of the palpation meter(PALM) for measuring pelvic crest height difference and leg length discrepancy. J Orthop Sports Phys Ther, 33(6), 319-325. 

  21. Savitha D, Mallikarjuna RN, Rao C(2010). Effect of different musical tempo on post-exercise recovery in young adults. Indian J Physiol Pharmacol, 54(1), 32-36. 

  22. Shacklock M(2005). Improving application of neurodynamic (neural tension) testing and treatments: a message to researchers and clinicians. Man Ther, 10(3), 175-179. 

  23. Stuge B, Veierod MB, Laerum E, et al(2004). The efficacy of a treatment program focusing on specific stabilizing exercises for pelvic girdle pain after pregnancy: a two-year follow-up of a randomized clinical trial. Spine, 29(10), 197-203. 

  24. Styns F, Van Noorden L, Moelants D, et al(2007). Walking on music. Human Movement Science, 26, 769-785. 

  25. Talebi GA, Taghipour-Darzi M, Norouzi-Fashkhami A(2010). Treatment of chronic radiculopathy of the first sacral nerve root using neuromobilization techniques: A case study. J Back Musculoskelet Rehabil, 23(3), 151-159. 

  26. Tumuluri I, Hegde S, Nagendra HR(2017). Effectiveness of music therapy on focused attention, working memory and stress in type 2 diabetes: An exploratory study. Int J Yoga, 10(3), 167-170. 

  27. Yamasaki A, Booker A, Kapur V, et al(2012). The impact of music on metabolism. Nutrition, 28(11-12), 1075-108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