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지유역의 지형위치 및 지형분석을 통한 재해 위험도 예측
Disaster risk predicted by the Topographic Position and Landforms Analysis of Mountainous Watersheds 원문보기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v.11 no.2, 2018년, pp.1 - 8  

오채연 (강원대학교 방재안전공학전공) ,  전계원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이상기후 현상이 일어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과거의 강우기록을 갱신하는 강우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국지성 집중호우의 경우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강우가 좁은 지역에 발생하고 있어 산지재해 발생 또한 증가 하고 있다. 강원도의 경우 지역적 특성상 대부분 산지로 이루어져 있어 경사가 가파르고 토심 또한 얕아 산사태에 의해 많은 피해를 입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산지유역에 지형분류기법과 산사태 위험성 예측기법을 적용하여 재해 위험도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지형분류기법은 지형위치지수를(TPI)를 계산하여 위험 지형을 분류하고 토석류 예측기법중 하나인 SINMAP 방법을 사용하여 산지재해 발생 가능지역을 예측하였다. 그 결과 지형분류기법에서는 전체 유역 중 약 63% 이상 완경사지와 급경사지로 분류되었으며 SINMAP 분석에서는 전체 유역 중 약 58%가 위험 지역으로 분석되었다. 최근 각종 개발로 인해 산지재해의 저감 대책이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며 재해 위험 구간에 대한 안정성 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treme climate phenomena are occurring around the world caused by global climate change. The heavy rains exceeds the previous record of highest rainfall. In particular, as flash floods generate heavy rainfall on the mountains over a relatively a short period of time, the likelihood of landslides in...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산지재해 위험도를 예측하기 위해서 수치 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을 활용하여 공간 데이터를 구축하고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기반으로 하는 지형분석 및 지형분류 모형인 TPI(Topographic Position Index)와 무한사면안정모델(SINMAP)을 활용하여 대상유역을 10개의 지형으로 분류하고 SINMAP분석을 통하여 산지재해 위험도 분석을 실시하고 산사태 발생가능지역을 예측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는 수리적 안정 상태를 무한평면사면 안정모델과 접합시켰다는 데에서 Montgomery and Dietrich (1994)가 제시한 방법과 유사하지만 Montgomery and Dietrich (1994)가 Contour기반의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사용한 반면에 SINMAP에서는 그리드 기반의 DEM을 사용하였으며, SINMAP의 경우 무한평면사면안정모델에서 토양과 식물뿌리에 의한 점착력을 고려하며, 점착력이 없는 경우를 원하는 경우 0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SINMAP에서 고려되는 변수들은 정확한 값이 아닌 범위로서 입력되며 상한선과 하한선 내에서 균등한 확률을 가지고 임의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Fig.
  • r값의 경우 하나의 값으로서 지정하여 입력해주지만, 나머지 세 변수 (C, tanϕ, R/T)는 상한선과 하한선을 정해주어 범위로서 입력한다. 이들 값은 공간적으로 균등한 확률을 가지고 임의적인 분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PI 지형분류 방법은 어떤 방식으로 평평하거나 경사진 지역을 분류하는가? 복잡한 지형에 대해 세밀한 지형분류가 가능한 TPI방법은 분석하고자 하는 셀의 고도와 인접한 셀의 평균고도와의 차이에 의해 값이 결정되며 이를 통해 특정 지역의 상대적 위치를 정량적으로 분류하는 방법이다. TPI 값이 양의 값을 나타내면 특정 셀이 주변보다 높은 능선과 같은 지형임을 의미하고, TPI 값이 음의 값을 나타내면 특정 셀이 주변보다 낮은 계곡과 같은 지형임을 의미한다. TPI 값이 0에 가깝다면 이 셀은 평평하거나 조금 경사진 지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강원도 영동지방의 어떤 지형적 특징으로 인해 무엇에 취약한가? 우리나라는 국토면적의 약 64%가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고서저의 지형을 이루고 있다. 특히, 강원도 영동지방의 경우는 고도가 높으며 경사가 급한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지형적 특징으로 태풍 및 집중호우 시, 산지재해에 취약한 환경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 현상에 의해 태풍 및 집중호우가 빈번해 산 지재해의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며, 그에 따라 발생하는 산사태는 고결되지 않은 빠른 흐름이 되어 토석류를 발생시키고 토석류는 도로나 민가에 큰 피해를 입힌다.
재해지도는 어떤 목적을 갖고 있는가? 산지재해 같은 경우, 예측이 어려우며 그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산지재해의 발생 예상 지역, 피해정도 및 규모에 대한 예측 자료가 필요하다. 재해지도는 그에 따른 예측 자료로써 대상 지역의 위험요인과 잠재적인 영향 등을 표시하여 재해를 예방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산지재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효율적으로 산지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산사태가 발생한 지점이나 발생이 예상되는 지점의 환경적인 원인들을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산사태 발생에 대한 사전 예방적 접근에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다(Sidl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Jun, K. W. and Chae, Y. O. (2011). Study on Risk Analysis of Debris Flow Occurrence Basin Using GIS. Jounal of the KOSOS, 26(2): 83-88. 

  2. Kasaia, M., Ikeda, M., Asahina, T., and Fujisawa, K. (2009). LiDAR-derived DEM evaluation of deep-seated landslides in a steep and rocky region of Japan. Geomorphology. 113, 57-69. 

  3. Kim, P. G., Kun, Y. H. (2017). Numerical Modeling for the Detection of Debris Flow Using Detailed Soil Map and G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7(1): 43-59. 

  4. Korea Forest Service. Landslide risk management system. http://sansatai.forest.go.kr. 

  5. Park, K. H., Kyung, T. K., Haeng, G. G., and Woo, S. L. (2007). A prediction of forest wetland distribution using Topographic Position Index.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1): 194-204. 

  6. Pack, R. T. (2001). Terratech Consulting Ltd. SINMAP User's Manual. Utah State University. http://www.crwr.utexas.edu/ gis/gishydro99/uwrl/sinmap/sinmap.pdf. 

  7. Park, S. J. (2014). Generality and Specificity of Landform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Sustain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9(5): 656-674. 

  8. Montgomery, D. R. and Dietrich, W. E. (1994) A Physically Based Model for the Topographic Control on Shallow Landsliding. Water Resources Research. 30: 1153-1171. 

  9. Sermin, T. (2008). GIS-based automated landforms classification and topographic, landcover and geologic attributes of landforms around the Yazoren Polje, Turkey. Journal of Applied Sciences 8(6): 910-921. 

  10. Sidle, R. C., Ziegler, A. D., Negishi, J. N., Nik, A. R., Siew, R., and Turkelboom, F., (2006). Erosion processes in steep terrain-Truths, myths, and uncertainties related to forest management in Southeast Asi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24, 199-225. 

  11. Song, B. G. and Kyungm H. P. (2010). An analysis of cold air generation area considering climate-ecological function.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1): 114-127. 

  12. Woo, C. S., Chang, W. L., and Yong, H. J. (2008). Study on Application of Topographic Position Index for Prediction of the Landslide Occurrence.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11(2): 1-9. 

  13. Weiss, A. D. (2001). Topographic Positions and Landforms Analysis (Conference Poster), San Diego, California: ESRI International User Conference, Indus Corpor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