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삼의 예쁜꼬마선충 내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Salvia miltiorrhiza Bunge in Caenorhabditis elegans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9 no.4, 2018년, pp.322 - 327  

김영지 (우석대학교 약학대학) ,  김준형 (우석대학교 약학대학) ,  노윤정 (우석대학교 약학대학) ,  김수진 (우석대학교 약학대학) ,  황인현 (우석대학교 약학대학) ,  김대근 (우석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thanol extract of Salvia miltiorrhiza Bunge (Labiatae) root was investigated to research the anti-oxidative activity, by using a Caenorhabditis elegans model system. The methanol extract of this plant showed significant DPPH radical scavenging and superoxide quenching activities. Ethyl acetate sol...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활혈거어(活血祛瘀), 양혈소종(凉血消腫),청심안신(淸心安神)의 효능이 있어 월경부조(月經不調), 혈어경폐(血瘀經閉), 옹종창독(癕腫瘡毒), 심계실면(心悸失眠) 등을 치료하는데 이용되어11) 온 단삼(Salvia miltiorrhizaBunge, Labiatae) m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예쁜꼬마선충(Caenorhabditis elegans)을 이용하여 확인해 보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단삼 추출물의 용매분획으로부터 DPPH free radical 및 superoxide 소거능을 측정하여 가장 강한 항산화능을 나타낸 ethyl acetate 분획에 대하여 선충 내의 항산화 효소인 SOD와 catalase의 활성과 세포 내의 활성산소종의 축적 억제 능력을 측정하였다.
  • 형질 전환 선충 내 SOD-3의 발현 증가 효능 − 단삼 ethyl acetate 분획이 선충 내에서 oxidative stress에 저항하기 위한 단백질의 생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SOD 발현 유전자의 증가 여부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ree radical이 인체에서 발병이나 노화를 유발하는 기전은 무엇인가? 노화와 관련된 연구들은 꾸준히 지속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많은 연구 중에 free radical 이론은 다양한 이론 중에 비교적 많은 부분에서 설득력을 가지고 있다.1-3) Free radical은 인체 내의 다양한 물리화학적 조건이나 병리학적 상태에서 생성되어 많은 질병의 발병 기전에 관여되고, 세포에서 일어나는 산소가 관련된 생화학적 반응의 부산물로 생성되어 적은 양에서는 문제가 없으나 과도한 양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세포의 구성 성분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가하여 세포에 악영향을 끼쳐 세포 손상을 일으키고 노화를 촉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여기에는 hydroxyl radical(·OH), superoxide radical(·O2-), peroxyl radical(·RO2), 및 peroxynitrile(ONOO-)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과도히 생성되어 산화적 손상을 일으키는 물질들을 방어하는데 항산화제들이 필요하다.
단삼ethyl acetate 분획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무엇인가? 23) 단삼과 관련된 연구 중에 tanshinone I의 Parkinson’s disease mouse model에서의 oxidative stress 억제효능과, tanshinone IIA의 간경화를 유도한 rat model에서의 oxidative stress를 억제한다는 보고들은 위와 같은 연구 결과와 상당한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24,25) 단삼ethyl acetate 분획이 SOD나 catalase 등의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oxidative stress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주는 효능은 암, 염증성 질환 등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노화를 억제하여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후에 이어지는 연구로 단일 물질 수준에서의 항산화 활성 및 기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산화적 스트레스에는 대표적으로 어떤 성분들이 있는가? 1-3) Free radical은 인체 내의 다양한 물리화학적 조건이나 병리학적 상태에서 생성되어 많은 질병의 발병 기전에 관여되고, 세포에서 일어나는 산소가 관련된 생화학적 반응의 부산물로 생성되어 적은 양에서는 문제가 없으나 과도한 양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세포의 구성 성분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가하여 세포에 악영향을 끼쳐 세포 손상을 일으키고 노화를 촉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여기에는 hydroxyl radical(·OH), superoxide radical(·O2-), peroxyl radical(·RO2), 및 peroxynitrile(ONOO-)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과도히 생성되어 산화적 손상을 일으키는 물질들을 방어하는데 항산화제들이 필요하다.4,5) 인체는 나이가 들어갈수록 활성산소종에 의한 세포 내의 핵산, DNA, 단백질, 지질 등의 손상이 증가하고 이는 세포의 손상과 함께 미토콘드리아 등의 조직의 기능장애를 일으키고 노화를 비롯한 암, 심장질환 및 퇴행성 질환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Davalli, P., Mitic, T., Caporali, A., Lauriola, A. and D'Arca, D. (2016) ROS, cell senescence, and novel molecular mechanisms in aging and age-related diseases. Oxid. Med. Cell Longev. doi: 10.1155/2016/3565127. 

  2. Luceri, C., Bigagli, E., Femia, A. P., Caderni, G., Giovannelli, L. and Lodovici, M. (2017) Aging related changes in circulating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protein carbonyls are indicative of liver oxidative injury. Toxicol. Rep. doi: 10.1016/j.toxrep.2017.12.017 

  3. Merksamer, P. I., Liu, Y., He, W., Hirschey, M. D., Chen, D. and Verdin, E. (2013) The sirtuins, oxidative stress and aging: an emerging link. Aging (Albany NY) 5: 144-150. 

  4. Cedikova, M., Pitule, P., Kripnerova, M., Markova, M. and Kuncova, J. (2016) Multiple roles of mitochondria in aging processes. Physiol. Res. 65(Supplementum 5): S519-S531. 

  5. Vera Saltos, M. B., Naranjo Puente, B. F., Milella, L., De Tommasi, N., Dal Piaz, F. and Braca, A. (2015)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henolics from Bidens humilis. Planta Med. 81: 1056-1064. 

  6. Saidi Merzouk, A., Hafida, M., Medjdoub, A., Loukidi, B., Cherrak, S., Merzouk, S. A. and Elhabiri, M. (2017) Alterations of hepatocyte function with free radical generators and reparation or prevention with coffee polyphenols. Free Radic. Res. 51: 294-305. 

  7. Niki, E. (2016) Antioxidant capacity of foods for scavenging reactive oxidants and inhibition of plasma lipid oxidation induced by multiple oxidants. Food Funct. 7: 2156-2168. 

  8. Gomathi, D., Ravikumar, G., Kalaiselvi, M., Vidya, B. and Uma, C. (2015) In vitro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 of the whole plant of Evolvulus alsinoides (L.) L. Chin. J. Integr. Med. 21: 453-458. 

  9. Waqas, M. K., Saqib, N. U., Rashid, S. U., Shah, P. A., Akhtar, N. and Murtaza, G. (2013) Screening of various botanical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y using DPPH free radical method. Afr. J. Tradit. Complement Altern. Med. 10: 452-455. 

  10. Sharma, S. K. and Singh, A. P. (2012) In vitro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Nardostachys jatamansi DC. J. Acupunct. Meridian Stud. 5: 112-118. 

  11. Lee, K.-I., Kim, S.-H. and Seong, R.-K. (1996) Study on antitumor effect of Salviae Miltorrhizae Radix and isolation of active compound. Korean J. Oriental Medical Pathology 10: 76-91. 

  12. Yoshida, T., Mori, K., Hatano, T., Okumura, T., Uehara, I., Komagoe, K., Fujita, Y. and Okuda, T. (1989) Studies on inhibition mechanism of autooxidation by tannins and flavonoids. V: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s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Chem. Pharm. Bull. 37: 1919-1921. 

  13. Thuong, P. T., Kang, H. J., Na, M., Jin, W., Youn, U. J., Seong, Y. H., Song, K. S., Min, B. S. and Bae, K. (2007) Anti-oxidant constituents from Sedum takesimense. Phytochemistry 68: 2432-2438. 

  14. Brenner, S. (1974) The genetics of Caenorhabditis elegans. Genetics 77: 71-94. 

  15. Mekheimer, R. A., Sayed, A. A. and Ahmed, E. A. (2012) Novel 1,2,4-triazolo[1,5-a]pyridines and their fused ring systems attenuate oxidative stress and prolong lifespan of Caenorhabditis elegans. J. Med. Chem. 55: 4169-4177. 

  16. Aebi, H. (1984) Catalase in vitro. Method. Enzymol. 105: 121-126. 

  17. Kim, H. N., Seo, H. W., Kim, B. S., Lim H. J., Lee, H, N., Park, J. S., Yoon, Y. J., Oh, J. W., Oh, M. J., Kwon, J., Oh, C. H., Cha, D. S. and Jeon, H. (2015) Lindera obtusiloba extends lifespan of Caenorhabditis elegans. Nat. Prod. Sci. 21: 128-133. 

  18. Lee, E. Y., Shim, Y. H., Chitwood, D. J., Hwang, S. B., Lee, J. and Paik, Y. K. (2005) Cholesterol-producing transgenic Caenorhabditis elegans lives longer due to newly acquired enhanced stress resistance. Biochem. Biophys. Res. Commun. 328: 929-936. 

  19. Wu, C. F., Hong, C., Klauck, S. M., Lin, Y. L. and Efferth, T. (2015) Molecular mechanisms of rosmarinic acid from Salvia miltiorrhiza in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cells. J. Ethnopharmacol. 176: 55-68. 

  20. Cao, E. H., Liu, X. Q., Wang, J. J. and Xu, N. F. (1996) Effect of natural antioxidant tanshinone II-A on DNA damage by lipid peroxidation in liver cells. Free Radic. Biol. Med. 20: 801-806. 

  21. Matkowski, A., Zielinska, S., Oszmianski, J. and Lamer-Zarawska, E.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leaves and roots of Salvia miltiorrhiza Bunge, S. przewalskii Maxim., and S. verticillata L. Bioresour. Technol. 99: 7892-7896. 

  22. Liu, L., Zuo, Z., Lu, S., Liu, A. and Liu, X. (2017) Naringin attenuates diabetic retinopathy by inhibiting inflammation, oxidative stress and NF- ${\kappa}B$ activation in vivo and in vitro. Iran J. Basic Med. Sci. 20: 813-821. 

  23. Farias, J. G., Molina, V. M., Carrasco, R. A., Zepeda, A. B., Figueroa, E., Letelier, P. and Castillo, R. L. (2017) Antioxidant therapeutic strategies for cardiovascular conditions associated with oxidative stress. Nutrients doi: 10.3390/nu9090966. 

  24. Jing, X., Wei, X., Ren, M., Wang, L., Zhang, X. and Lou, H. (2016) Neuroprotective effects of tanshinone I against 6-OHDA-induced oxidative stress in cellular and mouse model of Parkinson's disease through upregulating Nrf2. Neurochem. Res. 41: 779-786. 

  25. Shu, M., Hu, X. R., Hung, Z. A., Huang, D. D. and Zhang, S. (2016) Effects of tanshinone IIA on fibrosis in a rat model of cirrhosis through heme oxygenase-1, inflammation, oxidative stress and apoptosis. Mol. Med. Rep. 13: 3036-304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