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 리듬구조에 미치는 L1의 영향: 일본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Native language Interference in producing the Korean rhythmic structure: Focusing on Japanese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10 no.4, 2018년, pp.45 - 52  

윤영숙 (경남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Japanese (L1) on the production of the Korean rhythmic structure. Korean and Japanese have typologically different rhythmic structure as a syllable-timed language and mora-timed language, respectively. This rhythmic difference comes from the different phonologi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듬이란? 리듬은 언어에 자연성을 부여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L2 학습에서도 리듬은 지각과 산출 모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른 운율요소와 마찬가지로 모국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음절박자언어로 알려진 한국어에서 음절인식은? 음절박자언어로 알려진 한국어에서 음절은 리듬의 최소단위가 되며 한 음절 내의 구성요소들은 시간 상 하나의 단위로 인식된다. 그 반면 모라박자 언어인 일본어에서는 하나의 음절이 1개 이상의 시간 단위, 즉 모라로 분리될 수 있다.
음성언어의 리듬은 물리적인 실체로 규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는 이유는? 하지만 음성언어의 리듬은 물리적인 실체로 규정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청지각적으로 강세박자 또는 음절박자 언어로 명확히 구분되는 두 언어에서 음보의 길이나 음절의 길이가 항상 물리적인 등간격으로 실현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유로 일부 학자들은 언어의 리듬을 물리적 실체가 아닌 청각적 인상(심리적 실체)으로 간주하기도 했다(Beckman, 199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bercrombie, D. (1967). Elements of general phonetics.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2. Beckman, M. A. (1992). Evidence for speech rhythm across language. In Y. Tohura, E. Vatikiotis-Bateson, & Y. Sagisaka (Eds.), Speech perception, production and linguistic structure (pp. 457-463). Tokyo: Omsha/Amsterdam: IOS Press. 

  3. Dauer, R. M. (1983). Stress-timing and syllable-timing reanalyzed, Journal of Phonetics, 11, 51-62. 

  4. Dellwo, V. (2006). Rhythm and speech rate: A variation coefficient for ${\Delta}C$ . In P. Karnowski, & I. Szigeti (Eds.), Language and language-processing (pp. 231-241). Frankfurt: Peter Lang. 

  5. Grenon, I., & White, L. (2008). Acquiring rhythm: A comparison of L1 and L2 speakers of Canadian English and Japanese. Proceedings of the 32nd Boston University Conference on Language Development. 

  6. Gut, U. (2003). Non-native speech rhythm in German. Proceedings of the ICPhS conference. 

  7. Gut, U. (2012). Rhythm in L2 speech. In Gibbon, D., Hirst, D., & Campbell, N. (Eds.), Speech and language technology (vol. 14-15, pp. 83-94). Poznan, Poland: Polskie Towarzystwo Fonetyczne. 

  8. Han, M. S. (1964). Studies in the phonology of Asian languages. II. Duration of Korean vowels.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Los Angeles. 

  9. Ji, M. J. (1993). The duration of sounds. New Korean Language, 3, 39-57. 

  10. Jung, Y. (2009). A study on the mora recognition by Korean learners of Japanese: Of the special mora. M.A. Thesis, Dangook University. 

  11. Kim, T. (2017). Korean prosody correction method study through the acoustic analysis of Japanese-narrative speakesrs. M.A. Thesis, Kyunghee Cyber University. 

  12. Kim, Y. (2007). Pronunciation education of Japanese: Focusing on the special phoneme and rhythm. M.A. Thesis, Ulsan University. 

  13. Ladefoged, P. (1975). A course in phonetics.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14. Lloyd, J. A. (1940). Speech signals in telephony. London: Pitman & Sons. 

  15. Mok, P., & Lee, S. I. (2008). Korean speech rhythm using rhythmic measures. 18th International Congress of Linguists (CIL18). Seoul, Korea. 

  16. Nespor, M., Shukla, M., & Mehler, J. (2011). Stress-timed vs syllable-timed languages. In M. Oostendorp, C. J. Ewen, E. Hume, & K. Rice (Eds.), The blackwell companion to phonology. Malden : MA : Wiley-Blackwell. 

  17. Pike, K. L. (1945). The intonation of American English.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8. Ramus, F., Nespor, M., & Mehler, J. (1999). Correlates of linguistic rhythm in speech signal. Cognition, 73(3), 265-292. 

  19. Seong, C. (1995). The experimental phonetic study of the standard current Korean speech rhythm: With respect to its temporal structure.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 Shin, J. (2008). Phoneme and syllable frequencies of Korean based on the analysis of spontaneous speech data.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13(2), 193-215. 

  21. Tortel, A., & Hirst, D. (2010). Rhythm metrics and the production of English L1/L2. Speech Prosody 2010 -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Chicago, IL, USA. 

  22. White, L., Mattys, S. L. (2007). Calibrating rhythm: First language and second language studies, Journal of Phonetics, 35(4), 501-52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