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2 억양에 나타나는 L1억양의 긍정적 전이와 부정적 전이 양상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중심으로 -
Positive and negative transfer of first language in producing second language - Focusing on Japanese learners of Korean -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8 no.4, 2016년, pp.71 - 78  

윤영숙 (경남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apanese(L1) on the production of Korean accentual phrases(L2). Korean and Japanese have a similar prosodic structure. But different from Korean, Japanese is a pitch accent language. So each word has its own pitch accent. And pitch accents 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런 맥락에서 볼 때 한국어와 일본어의 강세구는 형태적으로 유사점과 차이점을 모두 내포하고 있으며 이는 일본어 피치 악센트 유형과 강세구 내 음절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유사점과 차이점을 바탕으로 한국어 강세구 발화에 나타나는 일본어 악센트의 전이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L2 억양에 미치는 L1 억양의 전이 양상을 고찰하는 것으로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문장 낭독에서 생성된 강세구에 나타나는 모국어 피치악센트의 긍정적 전이와 부정적 전이 양상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더불어 한국어 원어민화자들이 실현한 강세구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음운론적·음성학적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피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를 학습하는 일본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강세구 실현에서 나타나는 모국어인 일본어 피치 악센트의 긍정적 전이와 부정적 전이 양상을 음운론적·음성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음운론적 측면에서 KS와 JS가 발화한 강세구의피치형태와 첫 음절 성조를 중심으로 잠재적인 모국어의 전이양상을 조사하였다.
  • Jun & Oh(2000)에서도 L2 화자들은 일부 운율현상의 음운론적 속성을 음성적 속성보다 더 빨리 습득한다고 함으로서 두 층위를 구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일본어 피치악센트의 전이 양상을 음운론적 층위와 음성적 층위로 나누어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장에서는 한·일 동형 한자어가 아니거나 비 한자어인 표적 단어의 강세구 시작 성조는 어떤 양상으로 실현되는지 살펴보았다.
  • 그러나 본 연구는 매우 제한된 자료와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강세구 실현의 다각적인 면이 분석되지 못했기에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많다. 이러한 점을 후속연구를 통해 보완하고 연구 결과를 실제 억양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또한 모색해 보고자한다.
  • 이런 면에서 한국어와 일본어 강세구 실현에서 나타나는 차이점은 부정적 전이를, 유사점은 긍정적 전이를 유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두 언어의 강세구 실현에서 나타나는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모국어의 긍정적 전이와 부정적 전이가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음운론적 측면과 음성학적 측면에서 살피고자 한다.
  • 이와 더불어 한국어 원어민화자들이 실현한 강세구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음운론적·음성학적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피고자 한다.
  • 일본어의 어휘 피치악센트 유형이 한국어 강세구의 첫 음절 성조형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관찰하기 위해 악센트 유형과 강세구 첫 음절 성조형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와 본어에서 동일 한자어를 사용하는 단어를 선별하여 강세구 초성 분절음의 성질에 따라 분류한 뒤 일본어 악센트 규칙에 의거하여 두고형, 중고형, 평판형 단어로 나누어 강세구 초성 성조형 실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1의 간섭현상은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가? Purschel(1975)과 White(1981)도 L2 학습자들의 발화에서 생성된 목표어와 상이한 반복적인 음성패턴을 모국어의 간섭(interference) 내지 부정적 전이(negative transfer)로 간주했다(Chun 2002:86 재인용). 이러한 L1의 간섭현상은 그 범위와 결과도 다양해 의사소통 장애를 초래하지 않는 경우부터의미 추출이 불가능한 경우까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대조분석 가설에 의한 한국어와 일본어의 유사점과 차이점은 무엇을 유발시키는가? , 2012). 이런 면에서 한국어와 일본어 강세구 실현에서 나타나는 차이점은 부정적 전이를, 유사점은 긍정적 전이를 유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두 언어의 강세구 실현에서 나타나는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모국어의 긍정적 전이와 부정적 전이가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음운론적 측면과 음성학적 측면에서 살피고자 한다.
L2의 억양 오류나 부자연스러운 억양의 원인은 무엇인가? L2 억양에서 나타나는 대부분의 억양오류는 L1 억양의 부정적 전이 현상으로 간주되며 이는 이미 여러 선행 연구에서 지적되었다. Jun & Oh(2000)는 L2에서의 억양 오류나 부자연스러운 억양의 가장 큰 원인은 학습자 모국어의 운율체계와 발화습관의 간섭 때문으로 보았다. Purschel(1975)과 White(1981)도 L2 학습자들의 발화에서 생성된 목표어와 상이한 반복적인 음성패턴을 모국어의 간섭(interference) 내지 부정적 전이(negative transfer)로 간주했다(Chun 2002:86 재인용).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artkova, K., Bonneau, A., Colotte, V., & Dargnat, M. (2012). Production of continuation contours by French speakers in L1(French) and L2(English). Retrieved from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66344815_Productions_of_continuation_contours_by_French_speakers_in_L1_French_and_L2_English on June 1, 2016. 

  2. Beckman, M. E., & Pierrehumbert, J. (1986). Intonational structure in English and Japanese. Phonology Yearbook, 3, 255-310. 

  3. Chun, D. M. (2002). Discourse intonation in L2 from theory and research to practice. Amsterdam, Philadelphia: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4. Inoue, Y. (2004). Measure of the education of the accentual phrasesfor Japanese Korean Learners. M.A. Thesis, Korea University.(이노우에 야쓰코 (2004). 일본어권 학습자를 위한 강세구 억양 교육 방안: 고급단계 학습자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Jun, S.-A. (2000). Korean ToBI labeling convention. UCLA Working Papers in Phonetics, 149-173. 

  6. Jun, S.-A., & Oh, M. (2000). Acquisition of Second Language Intonation. Inter-speech 2000, 211-214. 

  7. Kim, J. Y. (2006). A study of intonation in Korean interrogativesentences uttered by Japa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M.A.Thesis, Yonsei University. (김주연 (2006).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의문문 억양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Kim, Y. (2002). A study on the mother tongue accent interferencearising from the pronunciation of Japanese learners of the Koreanlanguage. M.A. Thesis, Yonsei University. (김윤경 (2002). 일본인 의 한국어 발음에 나타난 모어 악센트의 간섭현상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Lee, H., & Sohn, N. (2007). Perception of phrasal tones in Korean. Hanguel, Vol. 277, 5-45. (이호영.손남호 (2007). 한국어 말토막 억양 패턴의 인지. 한글, 277, 5-45.) 

  10. Mennen, J. (2004). Bi-directional interference in the intonation of Dutch speakers of Greek. Journal of Phonetics, 32, 543-563. 

  11. Sinno, T. (2007). Measure of the education of the intonation forJapa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focused on conjunctionphrase boundary prosodic structure. M.A. Thesis, YonseiUniversity. (신노 토모코. (2007).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억양교육 방안: 접속구 경계 운율 구조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Ueyama, M., & Jun, S.-A. (1998). Focus realization in Japanese English and Korean English intonation. Japanese and Korean Linguistics, 7, 629-645. Retrieved from http://citeseerx.ist.psu.edu/viewdoc/summary?doi10.1.1.530.46 48 on March 12, 2016. 

  13. Venditti, J. J. (2007). The J-ToBI model of Japanese intonation. Retrieved form http://www1.cs.columbia.edu/-jjv/pubs/ on September 10, 2016. 

  14. Yune, Y. (2015). Prosodic aspects of structural ambiguous sentences in Korean produced by Japanese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 7(3), 89-97.(윤영숙 (2015). 한국어 구조적 중의성 문장에 대한 일본인 중급 학습자들의 발화 양상. 말소리와 음성과학, 7(3), 89-9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