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불 훼손 복원지 내 토양개량제 처리가 Wood stakes의 탄소 및 질소 동태에 미치는 영향
Carbon and Nitrogen Dynamics of Wood Stakes as Affected by Soil Amendment Treatments in a Post-Fire Restoration Area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20 no.4, 2018년, pp.357 - 365  

박성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백경원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변희섭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환경재료과학과) ,  김용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보전복원연구과) ,  김춘식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 봉대산 산불 훼손 복원지를 대상으로 토양개량제 처리가 토양층에 매설된 wood stakes의 분해율과 유기 탄소 및 질소 동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산불 훼손 복원지에 식재된 튤립나무, 상수리나무, 왕벚나무, 곰솔 조림지와 미복원지를 대상으로 2015년 3월 토양 0~15cm 깊이에 wood stakes를 매설한 후, 2년 동안 각 1회씩 토양개량제(CLB: 복합비료 + 석회 + 목탄 처리구; LB: 석회 + 목탄 처리구)를 처리하고, 2015년 10월, 2016년 3월, 2016년 10월 채취하여 분해율과 유기탄소 및 질소 농도를 조사하였다. Wood stakes 분해율의 경우 토양개량제 처리구와 대조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유기 탄소 잔존율의 경우 대조구(43.7%), CLB처리구(71.3%), LB처리구(71.6%) 순으로 토양개량제 처리구의 탄소 무기화가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Wood stakes 내 질소 잔존율의 경우도 대조구가 29.7%로 LB처리구 52.6%에 비해 낮아 탄소 무기화율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산불 훼손 복원지에 토양개량제 처리는 wood stakes의 탄소 및 질소 무기화를 지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weight loss rates, carbon and nitrogen dynamics of wood stakes following soil amendment treatments (CLB: compound fertilizer + lime + biochar; LB: lime + biochar) in a post-fire restoration area, Ulsan Metropolitan city, southern Korea. Soil amendments in 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토양개량제가 산불 훼손지의 토양층 내 유기물 분해 및 양분 동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산불 훼손지 내 식생복원지를 대상으로, 토양개량제가 토양층에 매설된 wood stakes의 분해율과 분해과정 동안 탄소 및 질소 동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 봉대산 산불 훼손 복원지를 대상으로 토양개량제 처리가 토양층에 매설된 wood stakes의 분해율과 유기 탄소 및 질소 동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산불 훼손 복원지에 식재된 튤립나무, 상수리나무, 왕벚나무, 곰솔 조림지와 미복원지를 대상으로 2015년 3월 토양 0∼15cm 깊이에 wood stakes를 매설한 후, 2년 동안 각 1회씩 토양개량제(CLB: 복합비료 + 석회 + 목탄 처리구; LB: 석회 + 목탄 처리구)를 처리하고, 2015년 10월, 2016년 3월, 2016년 10월 채취하여 분해율과 유기 탄소 및 질소 농도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개량제 처리가 토양층에 매설된 wood stakes의 분해율과 유기 탄소 및 질소 동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어떠한가? 산불 훼손 복원지에 식재된 튤립나무, 상수리나무, 왕벚나무, 곰솔 조림지와 미복원지를 대상으로 2015년 3월 토양 0~15cm 깊이에 wood stakes를 매설한 후, 2년 동안 각 1회씩 토양개량제(CLB: 복합비료 + 석회 + 목탄 처리구; LB: 석회 + 목탄 처리구)를 처리하고, 2015년 10월, 2016년 3월, 2016년 10월 채취하여 분해율과 유기탄소 및 질소 농도를 조사하였다. Wood stakes 분해율의 경우 토양개량제 처리구와 대조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유기 탄소 잔존율의 경우 대조구(43.7%), CLB처리구(71.3%), LB처리구(71.6%) 순으로 토양개량제 처리구의 탄소 무기화가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Wood stakes 내 질소 잔존율의 경우도 대조구가 29.7%로 LB처리구 52.6%에 비해 낮아 탄소 무기화율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산불 훼손 복원지에 토양개량제 처리는 wood stakes의 탄소 및 질소 무기화를 지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유기물은 산림 토양에서 무엇을 결정하는 요인인가? , 2017). 이러한 토양 유기물은 산림 토양의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성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Horodecki and Jagodziński, 2017; Ulyshen et al., 2017).
낙엽, 낙지, 고사목 등의 분해과정은 무엇의 영향을 받는가? 낙엽, 낙지, 고사목 등의 분해과정은 솎아 베기, 모두 베기, 시비 같은 산림작업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솎아 베기나 모두 베기 같은 상층 임목 제거는 낙엽이나 고사목의 분해를 촉진하거나 지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토양 수분이나 광요인의 변화가 분해 정도를 결정하는 원인으로 제시된 바 있다(Bravo-Ovied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ravo-Oviedo, A., R. Ruiz-Peinado, R. Onrubia, and M. del Rio, 2017: Thinning alters the earlydecomposition rate and nutrient immobilizationrelease pattern of foliar litter in Mediterranean oak-pine mixed stand.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391, 309-320. 

  2. Chao, K. J., Y. S. Chen, G. M. Song, Y. M. Chang, C. R. Sheue, O. L. Phillips, and C. F. Hsieh, 2017: Carbon concentration declines with decay class in tropical forest woody debri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391, 75-85. 

  3. Drewnik, M., 2006: The effec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n the decomposition rate of cellulose in mountain soils. Geoderma 132, 116-130. 

  4. Finer, L., M. F. Jurgensen, M. Palviainen, S. Piirainen, and D. S. Page-Dumroese, 2016: Does clear-cut harvesting accelerate initial wood decomposition? A five-year study with standard wood material.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372, 10-18. 

  5. Horodecki, P., and A. M. Jagodzinski, 2017: Tree species effects on litter decomposition in pure stands on afforested post-mining site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406, 1-11. 

  6. Jeong, J., N. Bolan, and C. Kim, 2016: Heterotrophic soil respiration affected by compound fertilizer types in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stands of Korea. Forests 7, 309pp. 

  7. Jeong, J., C. G. Jo, G. W. Baek, J. H. Park, H. S. Ma, B. O. Yoo, and C. Kim, 2017: Soil and the foliage nutrient status following soil amendment applications in a Japanese cypress (Chamaecyparis obtusa Endlicher) plantation. Journal of Sustainable Forestry 36(3), 289-303. 

  8. Jurgensen, M., D. Reed, D. S. Page-Dumroese, P. Laks, A. Collins, G. Mroz, and M. Degorski, 2006: Wood strength loss as a measure of decomposition in northern forest mineral soil. European Journal of Soil Biology 42(1), 23-31. 

  9. Kim, C., 2000: Canopy cover effects on cellulose decomposition in oak and pine stands. Journal of Forest Research 5, 145-149. 

  10. Kim, Y. S., J. K. Byun, C. Kim, B. B. Park, Y. K. Kim, and S. W. Bae, 2014: Growth response of Pinus densiflora seedlings to different fertilizer compound ratios in a recently burned area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Landscape Ecological and Engineering 10, 241-247. 

  11. Kim, C., J. Jeong, J. H. Park, and H. S. Ma, 2015: Growth and nutrient status of foliage as affected by tree species and fertilization in a fire-disturbed urban forest. Forests 6(6), 2199-2213. 

  12.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679pp. 

  13. Risch, A. C., M. F. Jurgensen, D. S. Page-Dumroese, and M. Schutz, 2013: Initial turnover rates of two standard wood substrates following land-use change in subalpine ecosystem in the Swiss Alps.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43(10), 901-910. 

  14. Tu, L., L. Hu, G. Chen, Y. Peng, Y. Xiao, T. Hu, J. Zhang, X. Li, and Y. Tang, 2014: Nitrogen addition significantly affects forest litter decomposition under high levels of ambient nitrogen deposition. PlosOne 9, e88752. 

  15. Ulyshen, M. D., R. Shefferson, S. Horn, M. K. Taylor, B. Bush, C. Brownie, S. Seibold, and M. S. Strickland, 2017: Below-and above-ground effects of deadwood and termites in plantation forests. Ecosphere 8(8), e01910. 

  16. Wambsganss, J., K. P. Stutz, and F. Lang, 2017: European beech deadwood can increase soil organic carbon sequestration in forest topsoil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405, 200-209. 

  17. Wang, X., D. S. Page-Dumroese, M. F. Jurgensen, and R. J. Ross, 2007: Field assessment of wood stake decomposition in forest soil. Holzforschung 61(5), 605-610. 

  18. Weedon, J. T., W. K. Cornwell, J. H. C. Cornelissen, A. E. Zanne, C. Wirth, and D. A. Coomes, 2009: Global meta-analysis of wood decomposition rates: a role for trait variation among tree species? Ecology Letters 12(1), 45-56. 

  19. Weil, R. R., and N. C. Brady. 2017: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Soils. Pearson, USA. 

  20. Wu, C., Z. Zhang, H. Wang, C. Li, Q. Mo, and Y. Liu, 2018: Photodegradation accelerates coarse woody debris decomposition in subtropical Chinese forest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409, 225-232. 

  21. Yatskov, M., M. E. Harmon, and O. N. Krankina, 2003: A chronosequence of wood decomposition in the boreal forests of Russia.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33(7), 1211-1226. 

  22. Yoo, J. H., J. K. Byun, C. Kim, C. H. Lee, Y. K. Kim, and W. K. Lee, 1998: Effects of lime, magnesium sulfate, and compound fertilizers on soil chemical properties of acidified forest soil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87(3), 341-346. 

  23. Yoo, J. H., M. J. Yi, Y. K. Kim, C. H. lee, J. K. Byun, S. W. Lee, and C. Kim, 2002: Throughfall and stemflow chemistry of coniferous and deciduous stands in Seoul, Ulsan and Hongcheon region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1(1), 102-1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