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뇌졸중 환자의 지팡이 높이에 따른 보행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ne Height on Walking and Balance for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3 no.4, 2018년, pp.250 - 257  

서태화 (광주여자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두영택 (광주여자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정대인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성인 뇌졸중 환자의 보행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보행보조기의 가장 이상적인 길이를 제시함으로써 뇌졸중 환자만을 위한 전문화된 맞춤형 보행보조기 길이의 사용을 독려하기 위하여 실시하게 되었다. 그 결과, 지팡이 높이에 따른 성인 뇌졸중 환자의 보행균형, 보행분석에서 보행의 속도 증가를 위해서 몸통 굴곡을 통한 무게 중심이 아래쪽에 위치하고, 하지근육의 활성도 증가를 위해서 몸통 신전을 통한 무게 중심이 위쪽으로 이동하여 척추 기립근의 수축으로 뇌졸중 환자의 지팡이 높이에 따른 균형과 보행 변화의 근거를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using customized walking aids individualized for stroke patients by measuring the effects of different cane lengths to determine the ideal length of walking aids for stroke patients. Methods: Cane lengths were determined from the greater trochanter...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보행변수와 하지근육의 활성도에 지팡이 높이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함으로서 뇌졸중 환자의 보행 훈련에 사용하는 효과적인 지팡이 길이를 결정하는데 있어 의미 있는 기초 지표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성인 뇌졸중 환자의 보행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보행보조기의 가장 이상적인 길이를 제시함으로써 뇌졸중 환자만을 위한 전문화된 맞춤형 보행보조기 길이의 사용을 독려하기 위하여 실시하게 되었다.
  • 본 연구는 실험에 동의한 뇌졸중 성인 환자 21명을 대상으로 Time Up & Go Test(TUGT), 10m 보행검사, OPTOgait, EMG를 이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보행속도와 균형능력, 마비측 하지근육 활성화의 변화를 지팡이 높이에 따라 넙다리뼈큰돌기 아래 5㎝ 높이,넙다리뼈큰돌기 높이, 넙다리뼈 큰돌기 위 5㎝ 높이로 비교 하여 보행변수 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은 허혈성과 출혈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심부전 등에 의해 뇌신경학적 장애가 24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뇌혈류의 급작스러운 결핍에 의해 사망에 이르게 되는 질병으로서, 뇌졸중으로 인한 장애는 장기적인 지속과 함께 성인 및 노인들에게 가장 빈번하게 장애를 유발하고 죽음에 이르게 하는 대표적인 질병 중 하나이다[1].
뇌졸중으로 인한 비대칭적인 자세나 비정상적인 신체의 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비대칭적인 자세나 비정상적인 신체의 균형은 뇌졸중 환자가 일상생활활동의 제한 및 참여의 제약이 발생하며, 이러한 문제점을 완화시켜주는 것은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뇌졸중 환자의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보행기능을 향상시켜 일상생활 활동의 수행을 촉진하고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행 지팡이와 같은 보조 장치를 처방하고 있다[7]. 지팡이는 보행 시 외부적인 지지를 제공하여 자신감과 안정성을 증가시켜줄 뿐 아니라[8-10] 뇌졸중 환자의 보행에 있어 속도를 빠르게 개선시켜준다[7].
뇌졸중으로 발생하는 증상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러한 뇌졸중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남기게 되는데 그 중 대표적인 증상은 비대칭적 자세, 비정상적인 신체의 균형, 체중 이동 능력의 결함, 섬세한 기능을 수행하는 특수한 운동 요소의 상실 등이 있다[2-6]. 비대칭적인 자세나 비정상적인 신체의 균형은 뇌졸중 환자가 일상생활활동의 제한 및 참여의 제약이 발생하며, 이러한 문제점을 완화시켜주는 것은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Fatahzadeh M, Glick M. Stroke: epidemiology, classification, risk factors, complications, diagnosis, prevention, and medical and dental management.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6;102(2):180-191 

  2. Lee DW, Kwak KH, Bae SS. Influence of standing balance with external rotation angle of the hemiplegia leg. J Kor Phys Ther 2003;15(3):173-188 (Korean) 

  3. Yoon JG, Kim MH, Yook DW. The effects of selfcontrolled learning on balance in hemiplegics. Phys Ther Korea 2005;12(1): 36-44 (Korean) 

  4. Holt RR, Simpson D, Jenner JR, Kirker SG, Wing AM. Ground reaction force after a sideways push as a measure of balance in recovery from stroke. Clin Rehabil 2000;14(1):88-95 

  5. Laufer Y, Dickstein R, Resnik S, Marcovitz E. Weightbearing shifts of hemiparetic and healthy adults upon ste pping on stairs of various heights. Clin Rehabil 2000;14(2):125-129 

  6. Rodriguez GM, Aruin AS. The effect of shoe wedges and lifts on symmetry of stance and weight bearing in hemiparetic individuals. Arch Phys Med Rehabil 2002;83(4):478-482 

  7. Kuan TS, Tsou JY, Su FC. Hemiplegic gait of stroke patients: the effect of using a cane. Arch Phys Med Rehabil 1999;80(7):777-784 

  8. Aminzadeh F, Edwards N. Exploring seniors' views on the use of assistive devices in fall prevention. Public Health Nurs 1998;15(4):297-304 

  9. Tinetti ME, Powell L. Fear of falling and low selfefficacy: a case of dependence in elderly persons. J Gerontol 1993;48:35-38 

  10. Dean E, Ross J. Relationships among cane fitting, function, and falls. Phys Ther 1993;73(8):494-500 

  11. Hass U, Persson J, Brodin H, Freden-Karlsson I, Olsson JE, Berg I. Assessment of rehabilitation technologies in stroke. Outcomes and costs. Int J Technol Assess Health Care 1995;11(2):245-261 

  12. Park KJ. The effects of methods of using assist devices on weight bearing, balance, ambulation in hemiplegic patients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13 (Korean) 

  13. Allet L, Leemann B, Guyen E, Murphy L, Monnin D, Herrmann FR, Schnider A. Effect of different walking aids on walking capacity of patients with post stroke hemiparesis. Arch Phys Med Rehabil 2009;90(8):1408-1413 

  14. Cha YJ. The effect of cane height on foot pressure of affected side in adult hemiplegia [dissertation]. Daegu, Daegu University, 2009 (Korean) 

  15. Ok JY, Kim JW, Han WS, Han JD,And DH. Influence of cane length on the weight distribution. Phys Ther Korea 2000;7(1):91-100 (Korean) 

  16. Kumar R, Roe MC, Scremin OU. Methods for estimating the proper length of a cane. Arch Phys Med Rehabil 1995;76:1173-1175 

  17. Yi CH, ,Kim JM.(1996). A Comparison of methods for estimating the proper cane length for hemiplegic patients. Physical Therapy Korea 1996;3(2):1-7 (Korean) 

  18. Jang JH, Kim KY, Kim HD, et al. Principles & techniques of patient care. 4th ed, Korea, E PUBLIC, 2008, pp.215-273 (Korean) 

  19. Yi CH, Kim JM. A comparison of methods estimating the proper cane lenth for hemiplegic patients. Phys Ther Korea 1996;3(2):1-7 (Korean) 

  20. Kim JH, Park SC, Jang MH, Kim CJ. A study on anthropometric survey in korea. J Ergon Soc Korea 1989;8(1):19-29 (Korean) 

  21. Park SC, Kim JH, Kim CJ. A study on the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 of korean based on the '92 national anthropometric survey. Korean J Phys Anthropol 1993;6(2):177-189 (Korean) 

  22.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and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2):142-148 

  23. Dean CM, Richards CL, Malouin F. Walking speed over 10meter overestimates locomotor capacity after stroke. Clin Rehabil 2001;15(4):415-421 

  24. Lienhard K, Schneider D, Maffiuletti NA. Validity of the Optogait photoelectric system for the assessment of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Med Eng Phys 2013;35(4):500-504 

  25. Hermens HJ, Freriks B, Disselhorst-Klug C, Rau G. Development of recommendations for SEMG sensors and sensor placment procedures. J Electomyogr Kinesiol 2000;10(5):361-374 

  26. Cowan SM, Bennell KL, Hodges PW, Crossley KM, McConnell J. Delayed onset of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vastus medialis obliquus relative to vastus lateralis in subjec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Arch Phys Med Rehabil 2001;82(2):183-189 

  27. DeVita P, Stribling J. Lower extremity joint kinetics and energetics during backward running. Med Sci Sports Exerc 1991;23(5):602-610 

  28. Ok JY, Kim JW, Han WS, Han JD, Ahn DH. Influence of cane length on the weight distribution. Phys Ther Korea 2000;7(1):91-100 (Korean) 

  29. Kumar R, Roe MC, Scremin OU. Methods for estimating the proper length of a cane. Arch Phys Med Rehabil 1995;76(12):1173-1175 

  30. Cha YJ. Kinetic analysis of adult hemiplegia walking at different walking aid lengths [dissertation]. Daegu, Daegu University, 2011 (Korean) 

  31. Buurke JH, Hermens HJ, Erren-Wolers CV, Nene AV. The effect of walking aid on muscle activation patterns during walking in stroke patients. Gait & Posture 2005;22:164-170 

  32. Choi YW, Jeong DG, Han JT, Lee MH, Kweon OH, Bae SS. A review of falls in the elderly and exercise intervention. J Korean Soc Phys Med 2007;2(2):125-134(Korean) 

  33. Choi YW. The effect of cane-shape on gait in stroke patients [dissertation]. Daegu, Daegu University, 2007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