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를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연구를 할 때는 구조화된 자료수집 방법 대신 유아의 반응에 민감하고 개방적인 질적 접근을 통해 이들의 사고과정을 이해해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성인 연구자의 주도로 이루어진 연역적 논리의 양적방법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면서 유아가 죽음의 하위개념들을 어떻게 이해하고, 그 개념들 간의 관계를 어떠한 논리적 사고과정을 통해 형성하는지를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귀납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자료수집을 위해 Smilansky(1987)가 고안한 Death Concept Questionnaire 및 Corr와 Balk(2010)의 이론을 참고하여, 유아에게 죽음 하위개념 인식에 대한 일대일 면접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유아들이 죽음에 대한 이해를 획득해가는 과정 중에 있으며, 하위개념 별로 그 정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하위개념에 대한 완전 획득의 비율이 높은 순서는 비가역성, 비기능성, 예측불가능성, 포괄성, 인과성, 그리고 필연성이었다. 한편, 이러한 6개의 하위개념들이 인지적 발달 수준에 대한 평가적 속성을 띄었다면 사후연속성은 사회문화적 영향을 받는 신념적 특성을 지닌다. 죽음 개념에 대한 개방형 추적질문을 통해 나타난 질적 결과는 유아가 죽음 개념을 획득 또는 획득하지 못하는 데에는 나름의 논리적 근거가 있으며, 이는 인지발달 단계의 특성인 동시에 사회문화적 학습에 의한 것이라는 점이다. 죽음의 하위개념들은 서로 연관되어 유아의 인지적 조작에 영향을 미치며, 이로 인해 특정 하위개념의 획득과 미획득 여부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편성과 인과성, 그리고 종국성과 사후연속성이 논리적으로 연계되는 특징적 반응이 나타났다.
유아를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연구를 할 때는 구조화된 자료수집 방법 대신 유아의 반응에 민감하고 개방적인 질적 접근을 통해 이들의 사고과정을 이해해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성인 연구자의 주도로 이루어진 연역적 논리의 양적방법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면서 유아가 죽음의 하위개념들을 어떻게 이해하고, 그 개념들 간의 관계를 어떠한 논리적 사고과정을 통해 형성하는지를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귀납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자료수집을 위해 Smilansky(1987)가 고안한 Death Concept Questionnaire 및 Corr와 Balk(2010)의 이론을 참고하여, 유아에게 죽음 하위개념 인식에 대한 일대일 면접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유아들이 죽음에 대한 이해를 획득해가는 과정 중에 있으며, 하위개념 별로 그 정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하위개념에 대한 완전 획득의 비율이 높은 순서는 비가역성, 비기능성, 예측불가능성, 포괄성, 인과성, 그리고 필연성이었다. 한편, 이러한 6개의 하위개념들이 인지적 발달 수준에 대한 평가적 속성을 띄었다면 사후연속성은 사회문화적 영향을 받는 신념적 특성을 지닌다. 죽음 개념에 대한 개방형 추적질문을 통해 나타난 질적 결과는 유아가 죽음 개념을 획득 또는 획득하지 못하는 데에는 나름의 논리적 근거가 있으며, 이는 인지발달 단계의 특성인 동시에 사회문화적 학습에 의한 것이라는 점이다. 죽음의 하위개념들은 서로 연관되어 유아의 인지적 조작에 영향을 미치며, 이로 인해 특정 하위개념의 획득과 미획득 여부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편성과 인과성, 그리고 종국성과 사후연속성이 논리적으로 연계되는 특징적 반응이 나타났다.
Objective: Research on children's death concepts requires an approach considering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 qualitative method is necessary to explore children's cognitive process of understanding death. Thus, this stud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quantitative approach based on the ded...
Objective: Research on children's death concepts requires an approach considering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 qualitative method is necessary to explore children's cognitive process of understanding death. Thus, this stud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quantitative approach based on the deductive logic led by adult researchers, adopt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Methods: The data collection, referring to the theories of Corr and Balk (2010) and Smilansky (1987), used Death Concept Questionnaire. Each structured question was followed by open follow-up questions to explore how children understood each concept of death.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 children were still lacking in the acquisition of death sub-concepts. The qualitative result from open interview showed how children can and can not acquire the concepts of death. Conclusion/Implications: The study could be used in future development of death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for children's death education, which would help them coping with death related anxiety and loss experiences.
Objective: Research on children's death concepts requires an approach considering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 qualitative method is necessary to explore children's cognitive process of understanding death. Thus, this stud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quantitative approach based on the deductive logic led by adult researchers, adopt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Methods: The data collection, referring to the theories of Corr and Balk (2010) and Smilansky (1987), used Death Concept Questionnaire. Each structured question was followed by open follow-up questions to explore how children understood each concept of death.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 children were still lacking in the acquisition of death sub-concepts. The qualitative result from open interview showed how children can and can not acquire the concepts of death. Conclusion/Implications: The study could be used in future development of death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for children's death education, which would help them coping with death related anxiety and loss experiences.
죽음 개념의 대표적 이론가인 Speece와 Brent(1984, 1992, 1996)는 1970년대부터 발표된 아동 대상의 논문들을 고찰한 후, 연구자들이 주로 어떠한 4가지 하위개념을 중심으로 죽음 개념을 측정해왔다고 정리하였는가?
선행연구들은 죽음이 단일한 개념이 아니라 다양한 하위개념으로 구성된다는 것에 동의하고 있다. 죽음 개념의 대표적 이론가인 Speece와 Brent(1984, 1992, 1996)는 1970년대부터 발표된 아동 대상의 논문들을 고찰한 후, 연구자들이 주로 보편성 (universality), 비가역성(irreversibility), 비기능성(nonfunctionality), 인과성(causality)의 4가지 하위개념을 중심으로 죽음 개념을 측정해왔다고 정리하였다. 관련 변인들로는 연령, 인지발달 수준, 실제 죽음 및 사별 경험, 죽음 불안수준 등이 함께 분석되었다.
Corr와 Balk(2010)가 제시한 죽음의 하위개념은?
이후, Corr와 Balk(2010)는 보다 구체적인 하위변인들을 체계화하여 설명하였다. 이들은 죽음의 하위개념으로 종국성(finality), 보편성(universality), 인과성(causality), 그리고 사후연속성(noncorporeal continuition)을 제시했다. 첫 번째 하위개념인 종국성은 비기능성(nonfunctionality)과 비가역성 (irreversibility)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웰빙(well-being)이 시대의 화두가 되면서 역설적으로 무엇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는가?
죽음에 관한 언급은 한국 사회에서 전통적인 금기였다. 하지만, 웰빙(well-being)이 시대의 화두가 되면서 역설적으로 웰다잉(well-dying)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인간이 죽음에 어떻게 대처하는가는 실존적 문제이며, 이를 직시하는 성숙된 사회적 분위기는 긍정적이라고 하겠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