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의 죽음인식 및 죽음 관련 경험 -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
Perception and Experiences of Death by Sixth Grade Children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0 no.4, 2009년, pp.241 - 256  

윤현민 (성균관대학교) ,  박현경 (성균관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urvey of children'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death was conducted with 118 6th-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ul. Data consisted of responses to questionnaires in three categories : (1) perceptions of death, (2) views of afterlife, and (3) death-related experiences (life, educ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우리는 아동들이 죽음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은 어떠하며, 실제 아동들이 죽음과 관련되어 경험하고 있는 죽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아동의 개인적 경험, 죽음 교육 경험, 사회 문화적 경험으로 나누어 살펴보도록 하겠다. 그리고 한 발 더 나아가 이러한 아동의 죽음에 대한 경험들이 실제 아동의 죽음 인식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 기존의 죽음관련 연구가 아동의 발달에 따른 어린 아동들의 죽음개념 획득이나 청소년의 자살관련 요인 연구에 치우친 반면 본 연구는 청소년기로 접어들기 직전인 아동기 후기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의 죽음관 및 내세관, 그리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종교적 사회적 요인을 밝히고 있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죽음 교육 계획과 이후 죽음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따라서 우리는 아동들이 죽음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은 어떠하며, 실제 아동들이 죽음과 관련되어 경험하고 있는 죽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아동의 개인적 경험, 죽음 교육 경험, 사회 문화적 경험으로 나누어 살펴보도록 하겠다. 그리고 한 발 더 나아가 이러한 아동의 죽음에 대한 경험들이 실제 아동의 죽음 인식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들이 가지고 있는 죽음인식과 내세관 그리고 이와 관련이 있는 아동들의 실제 죽음경험을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사회에서 집단 자살이 자주 일어나는 이유는? 최근 세계적인 경제 불황 속에 우리나라 또한 고환율, 실업난 등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많은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이로 인한 잇단 집단 자살이 자주 일어나 사회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연합뉴스, 2009). 이들 중에는 십대청소년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고, 학업성적을 비관한 초등학생 들의 자살도 이제 새로운 일이 아니다.
우리나라 사회에서 자살 문제가 대두된 계기는? 이들 중에는 십대청소년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고, 학업성적을 비관한 초등학생 들의 자살도 이제 새로운 일이 아니다. 우리나라 사회에서 자살의 문제는 1998년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중 자살률 세계 1위라는 통계가 나오면서 대두되었다. 이후 2008년 6월 건강 자료(Health Data)에 의하면, 여전히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자살률이 십만 명당 21.
죽음에 대한 미디어의 영향이 자살사건에 대해 영향력이 큼을 보여주는 연구는? 아동들이 가장 기억에 남는 죽음으로 떠올린 것이 연예인의 죽음이었다. 이는 최근 몇 년간 급증한 연예인 자살과 그로 이한 각종 매체를 통한 보도에 가장 큰 원인이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연구자들이 설문을 실시한 시기인 2008년 9월과 10월은 탤런트 안재환과 최진실의 연이은 자살이 크게 사회문제화 되던 시점이었다. 실제 9월에 설문을 실시한 K초등학교 아동들의 경우 안재환의 죽음을 거론한 반면 10월에 설문을 실시한 L초등학교 아동들의 경우 최진실의 자살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응답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경제협력개발기구(2008). OECD 건강자료 2008. 보건복지가족부 http://start.mw.go.kr 

  2. 권성자(1984) 어린이들의 죽음에 대한 이해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남주(1984) 아동의 죽음 개념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상균 (1998) 제 1부 형사학 분야 : 범죄보도 실태와 선정성에 관한 내용분석-주요 4대 일간지를 대상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7, 133-156 

  5. 김양남(1993) 아동의 죽음 개념 발달에 관한 연구 : 사람, 동물, 식물의 죽음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은영 (2004) 국어감정동사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정현(2007) 한국어 감정헝용사의 유의어 교육 연구 : 고빈도 감정 어휘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남은영 (1998) 아동의 죽음불안 감소를 위한 죽음대비교육의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메디컬투데이 (2009) 연예인부터 의사 등 전문직까지 자살 '일파만파'. 4월 30일 보도자료 http://www.mdtoday.co.kr 

  10. 문화방송(2009) 사이코패스 범죄, 대책은 없나? 2월4일 방송 http://imnews.imbc.com 

  11. 박아청. 정경숙(2001) 아동의 보존개념 발달수준과 죽음에 대한 정서경험수준이 죽음의 개념발달에 미치는 효과. 아동심리연구. 15(4), 177- 196. 

  12. 배봉기 (2006) 죽음에 대한 문화적 이해. 서울 : 한국학술정보원 

  13. 양진희 (2006) 유아의 죽음개념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아동학회지 27(3), 1-27 

  14. 양진희 (2007) 문학적 접근을 통한 죽음개념 교육이 유아의 죽음에 대한 인식 및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49-74 

  15. 연합뉴스(2008) 다시 고개든 지구촌 테러 공포. 11월 28일 보도자료 http://www.yonhapnews.co.kr 

  16. 연합뉴스(2009) 동반자살한 A씨 쪽지함 들여다보니. 4월 24일 보도자료 http://www.yonhapnews.co.kr 

  17. 오승혜 (2001) 초등학교 아동의 죽음개념과 죽음불안.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오진탁(2008) 자살, 세상에서 가장 불행한 죽음. 서울 : 세종서점 

  19. 이경주. 황경혜. 라정란. 홍정아. 박재순(2006). 좋은 죽음의 개념 분석. 호스피스 교육연구소지. 10, 23-39. 

  20. 이성은(2003). 아동문학교육. 서울 : 교육과학사 

  21. 이영숙(2006)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죽음준비교육의 접근 가능성.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이은봉(2000) 한국인의 죽음관.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23. 이은해 (1990). 아동연구방법. 서울 : 교문사 

  24. 이준숙(1993) 아동의 죽음 하위개념 발달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장연집 (1998) 아동기 죽음개념의 발달과 충격 완화를 위한 비탄치료의 기초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논총. 4, 127-147 

  26. 전영란(2007) 학령기 아동의 죽음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정경숙(2001) 아동의 보존개념 발달수준과 죽음에 대한 정서경험수준이 죽음의 개념발달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정은미 (1999) 종교와 죽음경험 유무에 따른 유아의 죽음 개념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조미은(2008) 자살보도지침 권고안 시행 전후의 국내 자살보도연구(2008. 8- 2005. 7).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조선일보(2009) 재난영화처럼... "한반도, 생존을 위협받고 있다.". 4월 27일 보도자료 http://news.chosun.com 

  31. 최용준(2003) 방송프로그램의 사회 문화적 역할,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문서유형동향분석 

  32. 최은미 (2001) 아동의 죽음개념과 죽음대비교육의 접근가능성. 한세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현명호(2006) 우울경향성과 자살보도메시지가 자살 태도에 미치는 영향-단순자살동기보도와 주변인의 애도보도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Buckingham, D. (2000). After the Death of Childhood : Growing Up in the Age of Electronic Media. 전 자매체 시대의 이이들, 정현선 역, 서울 : 우리 교육 

  35. Corr, C. A. (2004), Bereaverment, grief and mourning in death related literature for children Omega : The Journal of Death and Dying, 48, 337-363 

  36. Essa, E. I., & Murray. C. I. (1994).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with death. Young Children. 5. 74-81 

  37. Ferrel B. R., & Coyle N. (2001). Textbook of Palliative Nursing, London : Oxford University Press 

  38. Gould, M. S. (2001). Suicide and the media. In H. Hendin & J. J. Mann(Eds.), Suicide prevention : Clinical and scientific aspects(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 pp.200-224). New York :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39. Kastenbaum, R. (1977).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Death, Annual Review of psychology 3, 225 

  40. Kastenbaum, R., & Aisenberg. R. (1972). The psychology of death, New York : Springer Publishing Company, Inc., 4-26 

  41. Ku"bler-Ross. E. (1969). On death and Dying. The MacMillan Company 

  42. Lockard, B. E. (1986) "How to Deal with the Subject of Death with students in Grade K-12"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Mid-South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Memphis. 1-33 

  43. Mercurio. M., & McNamee, A. (2006). Healing words, healing hearts : using children's literature to cope with the loss of a pet. Childhood Education Spring. 82(3), 153-160 

  44. Nagy, M. (1948) The child's theories concerning death. The Journal of Genetics Psychology, 73, 3-27 

  45. Nelson, M. (1979). Children's concepts of death. The Journal of Genetics psychology, 134. 137-139 

  46. Sagara- Rosemeyer, M., & Davies, B. (2007). The Integration of Religious Traditions in Japanese Children's View of Death and Afterlife. Death Studies, 31, 223-247 

  47. Smilansky, S. (1987). On death : Helping children understand and cope. NY : Peter Lang 

  48. Speece, M. W., & Brent, S. B. (1984). Children's Understanding of death : A review of three components of a death concept. Child Development, 55, 1671-1686 

  49. Speece, M. W., & Brent, S. B. (1996)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understanding of death, In A. C. Charles & M.C. Donna(Eds.), Death and Breavement(pp.29-50). New York : Springer Publishing Company 

  50. Stack S. (2000). Media impacts on Suicide : A Quantitative Review of 293 findings. Social Science Quarterly, 81, 957-971 

  51. Stack S. (2003). Media coverage as a risk factor in suicide.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7, 238-240 

  52. Strasburger, V. C., & Wilson, B. J. (2002). Children, Adolescents and Media. 어린이, 청소년 미디어. 김유정, 조수선 옮김,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53. Wass, H. (1983). Death Education in the Home and at School. Eric NO. ED233253, Apr. 1-17 

  54. 국가통계포털 www.kosis.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