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주민들의 보건교육(흡연, 음주, 영양)경험 유무에 따른 주관적 건강인식수준과 주관적 행복감
Local Residents' Levels of Perception of Health and Happines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Have Experienced Public Health Education(Smoking, Drinking, Nutri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6 no.4, 2018년, pp.101 - 110  

윤현서 (동의대학교 치위생학과) ,  박충무 (동의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전진호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residents' experience of public health education on smoking, drinking, and nutrition and their perceptions of health and happiness, thereby providing data for improving the levels of residents' perceptions of health and happiness t...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건강조사 문항 중 금연교육, 음주교육, 영양교육 경험에 따른 건강인식의 차이를 비교하고 이들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보건교육의 확대를 통한 주관적 건강인식수준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흡연예방프로그램의 역할은 무엇인가? 흡연예방프로그램에서 금연교육 실시로 흡연을 막고, 금연을 유도하였으며(An & Park, 2016; Ha & Choi, 2012), 절주교육을 통하여 대상자들의 지식수준을 높여 인식을 개선하고 태도 변화를 유도하였다(Park & Choi, 2015). 또한 식품안전·영양교육프로그램에서 교육 전후를 비교하였을 때 지식과 실천률 향상 뿐 만 아니라 건강신념의 변화를 가져왔다(Choi 등, 2016).
소득수준 향상과 의학의 발달로 건강에 대한 인식 수준은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가? 최근 우리사회는 소득수준 향상과 의학의 발달 등으로 건강에 대한 인식수준이 변화되고 있다(Kim 등,2010). 급격한 경제성장과 의학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한 양극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건강과 관련된 보건 의료분야의 양극화는 심화되어지고 있다(Jung & Lee,2015).
만성질환 부분의 사회요인별 격차는 어느 계층이 취약한가? 2017년 발표한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동향보고서에서는 만성질환 부분의 사회요인별 격차를 분석한 결과 지역, 소득간의 격차가 악화되고 있으며, 건강식생활, 비만, 영구치우식경험,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여성에서 더 취약한 것으로 보고되었다(KHPI,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n HS, Park IH(2016). The effect of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activities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ir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smoking and smoking refusal self-efficac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5), 465-486. 

  2. Busan Metropolitan City(2018). Explanation session and education for the village health center project in Busan. http://www.busan.go.kr/nbtnews/1310191. 

  3. Chang IS, Kim HS(2016). Regional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health and wellbeing: Spatial analysis for the case of seoul.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6(3), 85-118. 

  4. Choi JW, Lee ES, Lee YJ, et al(2016). Food safety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elderly and assessment of program effectiveness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5(9), 1366-1374. 

  5. Cung HT, Lee KS(2015). An analysis on health-related difference based on the socio-economic class of farming and fishing village residences-Centered on the socio-economic hierarchy difference-. Journal of Korean Island, 27(2), 127-140. 

  6. Ha YS, Choi YH(2012). Effectiveness of a motivational interviewing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cessation change in adolescents. J Korean Acad Nurs, 42(1), 19-27. 

  7. Jang SN, Lee HJ, Kim CO, et al(2017). Developing key indicators of health equity and strategies for reducing health disparity in National Health Plan.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4(4), 41-57. 

  8. Kim CY(2018). A study on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and implementation of the right to know health care service consumer. Korean J Health Educ, 4(1), 30-58. 

  9. Kim DJ(2012).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health status, life satisfactio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physical activity participants in middle age.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47(1), 503-518. 

  10. Kim DJ, Chae SM, Choi JH, et al(2016).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health in Korea: Magnitude of Its challenges and strategy for alleviation. KIHASA Repository, pp.1-548. 

  11. Kim JG(2012). An analysis on income-related health inequality of the aged applied to EQ-5. J Korean Gerontol Soc, 32(3), 759-776. 

  12. Kim MH, Moon JH, Seong KO(2014). A study on subjective well-being and influential factors across different life cycles in adulthood: Application of Alderfer's ERG theory. J Korean Gerontol Soc, 34(4), 857-875. 

  13. Kim MK, Chung WJ, Lim SJ, et al(2010). Socioeconomic inequity in self-rated health status and contribution of health behavioral factors in Korea.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3(1), 50-61. 

  14. Kim YH, Kang SH, Kim YS, et al(2016).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training smoking cessation counsellor.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12), 199-228. 

  15.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2017). The 4th health plan 2020 trend report 2017. 

  16.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2018). Evaluative report of the 3rd health plan(2011-2020). 

  17.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2017). National health promotion act, 2017.12.30. session. 

  18. Lee HJ, Lee KH, Kim EK, et al(2012). The related factors influencing on self-rated health level of middle-aged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17(3), 290-301. 

  19. Lee SH, Kim HL(2018). Comparision of health behaviors, diabetes mellitus (DM) managemen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between DM groups with and without diabetic education experience.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43(2), 85-96. 

  20. Moon MJ, Lee MS, Jang YS, et al(2004). A survey on the needs of residents' health education in a community. J Korean Community Nurs, 15(1), 44-55. 

  21. Park G, Choi SH(2015).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ng reducing alcohol program on drinking related knowledge, drinking outcome expectancy and problematic drinking behavior of women college students. Korea Contents Soc, 15(9), 364-373. 

  22. Park YJ, Park HH, Ryu SY(2010). Factors associated with active participation in health promotion programs at a public health center. J Agr Med Commun Health, 35(3), 287-300. 

  23. Seo HY, Baek JI(2013). Mediating role of subjective stress levels betwee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EQ-VA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6), 3053-3065. 

  24. Yoon HS, Chun JH, Chae YJ(2017). The relevance of subjective health recognition and happiness index of local community residents (Using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2014).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41(3), 194-200. 

  25. http://www.khealth.or.kr/board/view?linkId998676&menuIdMENU008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