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레몬밤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산화, 항염 및 티로시나제 저해활성 연구
Studies on Antioxidant, Anti-inflammation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Melissa officinalis Extracts and Their Fractions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4 no.4, 2018년, pp.465 - 475  

정용운 (건국대학교 의료생명대학 바이오융합과학부) ,  이환 (건국대학교 의료생명대학 바이오융합과학부) ,  박하늬 (건국대학교 의료생명대학 바이오융합과학부) ,  김경민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제주연구소) ,  김수영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제주연구소) ,  박영진 (건국대학교 의료생명대학 바이오융합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레몬밤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항염활성 및 미백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레몬밤의 용매별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33.02-302.76 mg GAE/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9.98-325.07 mg CE/g으로 확인되었다. 레몬밤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라디칼소거활성을 평가한 결과 전반적으로 레몬밤 용매별 추출물 및 물 분획물들이 대조구인 ascorbic acid ($30{\mu}M$)와 유사한 DPPH 라디칼소거능이 확인되었다. 또한 레몬밤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 중 클로로폼 분획물이 상대적으로 가장 우수한 RAW 264.7 세포의 NO생성 억제효과가 확인되었다. Tyrosinase 억제 활성은 100% 에탄올 환류 추출물의 $200{\mu}g/mL$ 농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arbutin 처리구 보다 우수한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레몬밤이 항산화, 항염 및 미백활성을 가지는 효과적인 화장품 소재로 활용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ti-inflammation,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Melissa officinalis extracts and their fraction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the extracts were 33.02-302.76 mg GAE/g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9.98-325.07 mg CE/g. In 1,1-di...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현재까지 다양한 연구결과에 의해 많은 식물유래 소재에는 비타민 C, 비타민 E 및 카로티노이드 및 페놀계 산화 방지제 등의 다양한 항산화 성분이 있다고 보고되었다[40-42]. 레몬밤에도 rosmarinic acid 페놀산, 테르펜 및caffeic acid 등의 플라보노이드가 많은 것으로 보고되어[19] 본 연구에서는 레몬밤을 대상으로 다양한 용매 추출물 및 이들의 분획물을 대상으로 항산화, 항염 및 미백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고, 또한 추출 방법을 달리하여 효과가 더욱 우수한 추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레몬밤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정치 추출에서 가장 높게 분석되었으며, 그중 100% 에탄올 및 50% 메탄올 추출물이 가장 많은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확인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레몬밤(M. officinalis)의 용매별 추출물 및 분획물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하고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기능성 화장품 개발을 모색하고자 수행하였다. 현재까지 다양한 연구결과에 의해 많은 식물유래 소재에는 비타민 C, 비타민 E 및 카로티노이드 및 페놀계 산화 방지제 등의 다양한 항산화 성분이 있다고 보고되었다[40-4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레몬밤은 무엇인가? 레몬밤(Labiate, Melissa officinalis)은 레몬 향과 맛을 지닌 향긋하고 다소 매운 맛을 지닌 식물이며, geranial (citral a), neral (citral b), citronellal, linalool, geraniol 및 β-caryophyllene oxide 등의 에센셜 오일과 rosmarinic acid, 페놀산, 테르펜 및 caffeic acid 등의 플라보노이드가 많은 것으로 보고되었다[19].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레몬밤은 항불안, 항우울, 인지 기능 향상, 알츠하이머 완화 및 면역 증진 효과도 보고되었다[19-23].
멜라닌 과다 생성은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가? 멜라닌세포의 melanosome에서 합성되는 멜라닌은 tyrosinase가 tyrosine을 L-DOPA (L-3,4-dihydroxyphenylalanine)로, 또는 L-DOPA를 L-DOPA quinone으로 전환하는 산화 및 중합 반응에 의해 합성이 유도된다[12,13]. 이러한 멜라닌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만 과도한 멜라닌의 생성은 기미, 주근깨, 검버섯과 같은 피부의 색소 침착을 일으키고 과도하게 생성된 피오멜라닌은 피부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되었다[14]. 따라서 건강한 피부와 미용적인 측면에서 피부 미백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며, tyrosinase 및 멜라닌 생합성 억제 활성을 가지는 새로운 소재를 발굴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5-18].
레몬밤 용매별 추출물 및 분획물에 대해 IL-6 및 TNF-α 생성 억제 영향을 평가한 이유는 무엇인가? 7 세포의 IL-6 및 TNF-α 생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는 NO생성 억제능이 가장 우수한 레몬밤 100% 에탄올 정치추출물의 클로로폼 분획물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Figure 4). 염증반응을 촉진하는 매개체 중 IL-6 및 TNF-α 등은 면역세포의 염증반응 조절 및 선천 면역반응과 만성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33]. 우선 LPS 처리에 의해 RAW 26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T. Xie, S. Song, S. Li, L. Ouyang, L. Xia, and J. Huang, Review of natural product databases, Cell Prolif., 48, 398 (2015). 

  2. E. C. Milam and A. R. Evan, An approach to cosmeceuticals, J. Drugs Dermatol., 15, 452 (2016). 

  3. H. Sies, Oxidative stress: a concept in redox biology and medicine, Redox biology, 4, 180 (2015). 

  4. G. Bjorklund and S. Chirumbolo, Role of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s in daily nutrition and human health, Nutrition, 33, 311 (2017). 

  5. E. D. Lephart, Skin aging and oxidative stress: Equol's anti-aging effects via biochemical and molecular mechanisms, Ageing Res. Rev., 31, 36 (2016). 

  6. K. Kandola, A. Bowman, and M. A. Birch-Machin, Oxidative stress-a key emerging impact factor in health, ageing, lifestyle and aesthetics, Int. J. Cosmet. Sci., 37, 1 (2015). 

  7. R. Medzhitov, Origin and physiological roles of inflammation, Nature, 454, 428 (2008). 

  8. S. Pillai, C. Oresajo, and J. Hayward, Ultraviolet radiation and skin aging: roles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flammation and protease activation, and strategies for prevention of inflammation-induced matrix degradation-a review, Int. J. Cosmet. Sci., 27, 17 (2005). 

  9. U. Panich, T. Onkoksoong, K. Kongtaphan, K. Kasetsinsombat, P. Akarasereenont, and A. Wongkajornsilp, Inhibition of UVA-mediated melanogenesis by ascorbic acid through modulation of antioxidant defense and nitric oxide system, Arch. Pharm. Res., 34, 811 (2011). 

  10. S. Ito and K. Wakamatsu, Quantitative analysis of eumelanin and pheomelanin in humans, mice, and other animals: a comparative review, Pigment cell res., 16, 523 (2003). 

  11. Y. M. Yoon, S. H. Bae, S. K. An, Y. B. Choe, K. J. Ahn, and I. S. An, Effects of ultraviolet radiation on the skin and skin cell signaling pathways, Kor. J. Aesthet. Cosmetol., 11, 417 (2013). 

  12. J. W. Kim, H. I. Kim, J. H. Kim, O. C. Kwon, E. S. Son, C. S. Lee, and Y. J. Park, Effects of ganodermanondiol, a new melanogenesis inhibitor from the medicinal mushroom Ganoderma lucidum, Int. J. Mol. Sci., 17, 1798 (2016). 

  13. Y. U. Jeong and Y. J. Park, Studies on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ies of Salix gracilistyla extracts, J. Soc. Cosmet. Sci. Korea, 44, 317 (2018). 

  14. M. Brenner and V. J. Hearing, The protective role of melanin against UV damage in human skin, Photochem. Photobiol., 84, 539 (2008). 

  15. S. Parvez, M. Kang, H. S. Chung, C. Cho, M. C. Hong, M. K. Shin, and H. Bae, Survey and mechanism of skin depigmenting and lightening agents, Phytother. Res., 20, 921 (2006). 

  16. N. Baurin, E. Arnoult, T. Scior, Q. T. Do, and P. Bernard, Preliminary screening of some tropical plants for anti-tyrosinase activity, J. Ethnopham., 82, 155 (2002). 

  17. V. J. Hearing and K. Tsukamoto, Enzymatic control of pigmentation in mammals, FASEB J., 5, 2902 (1991). 

  18. G. Prota, The chemistry of melanins and melanogenesis, Prog. Chem. Org. Nat. Prod., 64, 93 (1995). 

  19. P. N. Ravindran, M. Divakaran, and G. S. Pillai, Other herbs and spices: achiote to Szechuan pepper, ed. K. V. Peter, Handbook of herbs and spices, 583, Woodhead Publishing, Sawston, Cambridge (2012). 

  20. D. O. Kennedy, W. Little, C. F. Haskell, and A. B. Scholey, Anxiolytic effects of a combination of Melissa ofcinalis and Valeriana ofcinalis during laboratory induced stress, Phytother. Res., 20, 96 (2006). 

  21. M. Emamghoreishi and M. S. Talebianpour, Antidepressant effect of Melissa officinalis in the forced swimming test, DARU J. Pharm. Sci., 17, 42 (2009). 

  22. C. Ulbricht, T. Brendler, J. Gruenwald, B. Kligler, D. Keifer, T. Abrams, J. Woods, H. Boon, C. Kirkwood, and D. Hackman, Lemon balm (Melissa officinalis L.): an evidence-based systematic review by the natural standard research collaboration, J. Herb. Pharmacother., 5, 71 (2004). 

  23. D. O. Kennedy, G. Wake, S. Savelev, N. Tildesley, E. K. Perry, K. A. Wesnes, and A. B. Scholey, Modulation of mood and cognitive performance following acute administration of single doses of Melissa officinalis (Lemon balm) with human CNS nicotinic and muscarinic receptorbinding properties, Neuropsychopharmacology, 28, 1871 (2003). 

  24. V. Dewanto, X. Wu, K. K. Adom, and R. H. Liu, Thermal processing enhances the nutritional value of tomatoes by increasing total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3010 (2002). 

  25. M. S. Stankovic, N. Niciforovic, M. Topuzovic, and S. Solujic, Total phenolic content, flavonoid concentration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whole plant and plant parts extracts from Teucrium montanum L. var. montanum, f. supinum (L.) Reichenb, Biotechnol. Biotechnol. Equip., 25, 2222 (2011). 

  26. P. J. Tsai, T. H. Tsai, C. H. Yu, and S. C. Ho, Comparison of NO-scavenging and NO-suppressing activities of different herbal teas with those of green tea, Food Chem., 103, 181 (2007). 

  27. C. C. Wei, C. W. Yu, P. L. Yen, H. Y. Lin, S. T. Chang F. L. Hsu, and V. H. Liao, Antioxidant activity, delayed aging, and reduced amyloid- ${\beta}$ toxicity of methanol extracts of tea seed pomace from Camellia tenuifolia, J. Agric. Food Chem., 62, 10701 (2014). 

  28. Y. S. Velioglu, G. Mazza, L. Gao, and B. D. Oomah,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s,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 4113 (1998). 

  29. N. Nakatani, Recent advances in the study on natural antioxidants,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7, 569 (1990). 

  30. K. Nozaki, Current aspect and future condition of phytogenic antioxidants, Fragrance Journal, 6, 99 (1986). 

  31. O. Arrigoni and M. C. De Tullio, Ascorbic acid: much more than just an antioxidant, Biochim. Biophys. Acta, 1569, 1 (2002). 

  32. F. Perez-Vizcaino and J. Duarte, Flavonols and cardiovascular disease, Mol. Aspects Med., 31, 478 (2010). 

  33. K. Ishihara and T. Hirano, IL-6 in autoimmune disease and chronic inflammatory proliferative disease, Cytokine Growth Factor Rev., 13, 357 (2002). 

  34. A. Bounihi, G. Hajjaj, Y. Cherrah, and A. Zellou, Chemical components and neurobehavioral effects of essential oil of Melissa officinalis L. from Morocco, World J. Pharm. Sci., 2, 1206 (2013). 

  35. J. M. Sforcin, J. T. Amaral, A. Fernandes Jr, J. P. B. Sousa, and J. K. Bastos, Lemongrass effects on IL-1 ${\beta}$ and IL-6 production by macrophages, Nat. Prod. Res., 23, 1151 (2009). 

  36. S. Abe, N. Maruyama, K. Hayama, H. Ishibashi, S. Inoue, H. Oshima, and H. Yamaguchi, Suppression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induced neutrophil adherence responses by essential oils, Mediators Inflamm., 12, 323 (2003). 

  37. C. T. Lin, C. J. Chen, T. Y. Lin, J. C. Tung, and S. Y. Wang, Anti-inflammation activity of fruit essential oil from Cinnamomum insularimontanum Hayata, Bioresour. Technol., 99, 8783 (2008). 

  38. A. Slominski, D. J. Tobin, S. Shibahara, and J. Wortsman, Melanin pigmentation in mammalian skin and its hormonal regulation, Physiol. Rev., 84, 1155 (2004). 

  39. K. Maeda and M. Fukuda, Arbutin: mechanism of its depigmenting action in human melanocyte culture, J. Pharmacol. Exp. Ther., 276, 765 (1995). 

  40. Y. H. Cao and R. H. Cao, Angiogenesis inhibited by drinking tea, Nature, 398, 381 (1999). 

  41. H. L. Madsen and G. Bertelsen, Spices as antioxidants, Trends Food Sci. Technol., 6, 271 (1995). 

  42. F. Shahidi, P. K. Janitha, and P. D. Wanasundara, Phenolic antioxidants, Crit. Rev. Food Sci. Nutr., 32, 67 (19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