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적 경제의 '반사회적(antisocial)'인 것에 대한 시론
The Theory on 'antisocial' of Social Econom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12, 2018년, pp.41 - 50  

홍성운 (광주대학교 경찰법행정학부)

초록

최근 우리나라의 사회영역에서는 주류 경제에 대한 대안으로 사회적 경제라는 개념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주목할 부분은 사회적 경제가 시민사회의 실천 영역이라는 본성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일자리 창출이라는 가시적 성과를 얻는 수단으로 적극 지원육성하려는 의지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우리나라에서 사회적 경제는 정부 주도로 육성되고 있으며, 사회적 약자 및 취약계층 일자리 제공이라는 매우 한정된 정책목표 속에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경제 조직들의 정책적 위상이 높아지는 동시에 정부의 재원에 의존하는 비중이 커지면서, 사회적 경제가 지향하는 사회적 가치와 공동체적 함의도 사라지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상황에 대한 문제의식을 견지하면서 사회적 경제에 대한 담론을 재구성할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ur society, recently, the concept of social economy stands out as an alternative to the mainstream economy in the market. It is noteworthy that although the social economy has the nature of practical field of civil society, the government has a willingness to actively support the social econom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두 기사 사이에는 열정과 냉정의 상당한 온도차가 느껴진다. 그 온도차를 학문적으로 풀어볼 필요가 있겠다고 생각한 것이 본 논문의 출발점이다.
  • 또한 사회적 경제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일자리 수의 양적 증가가 아니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인지, 생산성과 효율성의 논리에 지배되지 않는 다른 사회적 가치를 담아내고 있는지에 관한 것이다[17]. 요컨대 사회적이라는 표현은 문제의 해결사가 아니라 논란의 유발자가 될 수 있다.
  • 본 연구는 사회적 경제 본연의 사회적 가치와 사회적 경제가 정책과 결합되면서 의존하는 경제적 가치가 충돌하는 지점에 대한 본질적인 논의가 필요하겠다는 인식에서부터 출발하였다. 사회적 경제는 이제 보편화의 수준을 넘어 범용화의 단계로 진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를 ‘antisocial’이라는 개념 안으로 통섭시켜 다소 불편한 논의를 전개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 경제는 어디서부터 발원되었는가? 사회적 경제는 20세기 프랑스로부터 발원하였다. 사회적 경제는 1979년 오일쇼크 이후 전 지구적 경제위기에서 자본주의에 대한 대안으로 본격적으로 논의되었다.
EU의 유럽위원회(1989)가 정의한 사회적 경제란? EU의 유럽위원회(1989)는 사회적 경제를 ‘공동의 욕구를 가진 사람들에 의해, 그들을 위해 만들어진 기업들로 구성된 이해당사자 경제의 일부로서, 협동조합, 상호 공제조합, 민간단체, 재단을 포함한다’고 정의하였다 [8,11].
사회적 경제가 창출하는 사회적 가치의 세가지 특징은 무엇인가? 사회적 경제가 창출하는 사회적 가치는 다음의 세 가지 특징을 지닌다[13-15]. 첫째, 사회 서비스 전달이라는 측면에서, 사회적 경제는 취약계층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한다. 사회적 경제는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재화 및 서비스를 생산하고 판매한다. 사회적 경제는 이윤 극대화가 아닌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고, 경제활동을 통해 발생한 수익을 공동체의 사회적 목적에 재투자한다. 둘째, 사회적 경제는 사회적 문제를 기업가 정신, 시장원리, 전략적 사고 등의 원리로 해결하는 동시에, 정부 보조금과 기부금에 대한 의존을 줄여 선순환적 경제의 지속 가능성을 추구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경제는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적 속성과 공공성을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의 재분배라는 속성을 동시에 지닌 다. 경제적 성과는 재무제표에 의한 객관적 측정이 가능 하지만, 사회적 가치는 측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가능 하다 하더라도 다수의 동의를 얻기엔 역부족이다[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oney Today. (2018). W. S. Park, Mayor of GSEF, 'Addressing Urban Issues with Social Economy'. 2018.10.2. 

  2. Daegu Newspaper. (2018) 'The good social economy that can not get sympathy'. 2018.10.15. 

  3. H. S. Um. (2010). Present and implication of social enterprise in rural areas in Europ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4. Y. C. Kim. (2011). Social Economy and Endogenous Local Development. Journal of regional studies, 19(2), 25-49. http://uci.or.kr/G704-001492.2011.19.2.004. 

  5. H. S. Jin & J. R. Song. (2013). A Study on Karl Polanyi's 'Transformational' Social Economic Idea-Focusing on the Social Values in the Market Economy. Journal of Social Thoughts and Culture, (28), 267-315. 

  6. J. M. Na, G. R. Kim, S. Lee, Y. S. Yun & C. M. Oh. (2013).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7. J. W. Kim. (2014). Social Economy and Reciprocity : Reconstruction of Society by Economic Activity. Journal of regional studies, 22(2), 285-308. 

  8. K. H. Kim. (2013). The Local Innovation through the Activation of Social Economy, and Its Expectation and Limitation : centered on Community Businesses and Cooperatives, Journal of Public Society, 3(2), 126-150. 

  9. E. S. Lee & H. J. Lee. (2017). The Concept, Development and Institutionalization of Social Economy: Focusing on Polanyi's Double Movement. Korean Social and Administrative Studies, 28(1), 100-138. 

  10. J. W. Kim. (2016). Social Enterprise and Neoliberal Governmentality in South Korea - Focusing on Governing the Social. Economy and Society, (110), 164-200. 

  11. M. H. Shin. (2009). A study of conceptualizing 'social economy'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Journal of Korean Social Trend and Perspective, (75), 11-46. 

  12. N. Y. Sun & N. H. Park. (2011).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n Socio-Economic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 Local Government Research, 15(2), 141-164. 

  13. J. I. Kim. (2012). Growth model for social enterprises in local government : Focused on practices of social enterprises in Jeju.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16(1), 67-88. 

  14. H. S. Kim. (2012). Analysing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Enterprises in the Community.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16(1), 259-277. 

  15. S. K. Rhee & J. Y. Rha. (2010). Measuring the Socioeconomic Value of Social Enterprises : Social Return on Investment Revisited. Journal of Entrepreneurship and Venture Studies, 13(3), 41-56. 

  16. J. H. Kim & J. K. Lee. (2012). An Analysis on the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of the Social Enterprises in Korea : Focusing on the Effects of Governmental Subsidies.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24(4), 1037-1064. 

  17. G. G. Kim & Y. S. Yun. (2015). Possibilities and Limits of Community Movement in Relation to the Social Economy : Focused on social enterprises, community businesses and cooperative associations in Gwangju. Journal of regional studies, 23(2), 1-25. 

  18. S. W. Hong & C. M. Oh. (2017). Final Report on the study of social funding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ecosystem. Gwangju Support Center for Social Economy. 

  19. J. W. Bae. (2011). A Study on the Expansion of Social Enterprises from the Marketization of Social Services. Social Economy & Policy Studies, 1(1), 31-58. 

  20. S. K. Nam. (2015). A Study on Social Economy and Endogenous Local Development. The Journal of Incheon Studies, 1(23), 85-124. 

  21. S. Y. Kim. (2013). Association and cultural independence - The problem of social in the social economy -. The Journal of Culture and Science, (73), 110-128. 

  22. M. H. Ryu. (2012). The development of regional and market formation of Social enterprise : focused on socio-economic cooperation framework in Won-ju. Journal of Critical Social Policy, (36), 76-104. 

  23. J. Y. Choi, B. H. Lee, Y. K. Kim., J. S. Kim & S. E. Yoon. (2015). A Case Study on Local Community and Social Economy for the DDABOK Community Promotion.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4. H. S. Jin & J. R. Song. (2013). A Study on Karl Polanyi's 'Transformational' Social Economic Idea- Focusing on the Social Values in the Market Economy. Journal of Social Thoughts and Culture, (28), 267-315. 

  25. H. S. Kim. (2016). Trends and Issues in Social Economics Research: Centering on Domestic Journal Articles, 2001-2015. Democracy and Human Rights, 16(1), 51-8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