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악성댓글 작성과 중재 의도에 대한 요인 연구
A study of factors on intention of intervention and posting malicious comm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12, 2018년, pp.197 - 206  

김한민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 ,  박경보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온라인 악성댓글에 대한 폐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많은 선행 연구들은 악성댓글에 대한 중화가 핵심적인 선행 요인임을 확인해왔다. 중화는 이론적으로 일곱개의 다차원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탈행위의 종류에 따라 중화요인의 유의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일탈행위 연구에서 다차원의 중화 기술 요인들을 실증한 것과는 다르게 악성 댓글 연구에서는 중화기술을 단일 차원으로 살펴보았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한편, 일탈행위에 대한 중재자의 역할은 일탈행위 억제에 기여할 수 있지만 악성댓글 연구에서의 중재 의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상호보완적인 두 개의 연구로 구성된 본 연구는 악성댓글 작성의도와 중재 의도에 대한 관련 요인들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악성댓글 작성자가 비난자에 대한 비난과 책임의 부정 중화기술을 활용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상대방과의 정서적 공감이 악성댓글 중재 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armful effects of online malicious comment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Many previous studies have confirmed that neutralization of malicious comments is a key predictor. Neutralization is theoretically composed of seven multidimensional concepts, and the significance of neutralization factors...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부 연구에서는 개인의 일탈 행위 유형에 따라 중화 기술들의 유의성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실증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한 문제라고 언급하고 있다[5]. 따라서 본 연구는 악성댓글 현상에 개인의 중화기술들을 실증하여 현상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이해와 예방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 일탈행위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가진 개인일수록 일탈행위에 대한 중재의도가 커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악성댓글에 대한 태도 변수를 악성댓글 작성의도와 중재의도에 실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악성댓글 중재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선행 요인들을 발견하여 향후 악성댓글 연구에서 필요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무적으로 악성댓글 예방 및 대응책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 하지만 아직까지 악성댓글 연구에서 제3자의 중재의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악성댓글에 대한 중재자의 중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발견하고 실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악성댓글에 대한 대응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 반면에 악성댓글 중재자에 대한 연구는 악성댓글을 예방하고 대응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악성댓글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일탈행위 연구에서 중재자의 중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공감능력에 주목하였다. 개인의 공감능력은 타인의 심정을 공유하고 느낀다는 점에서 악성 댓글을 중재하는데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
  • 본 연구는 악성댓글에 대한 중재자의 중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발견하고 실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악성댓글에 대한 대응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호보완적인 두 개의 연구로 구성된 본 연구는 악성댓글 가해자의 구체적인 심리와 악성댓글 중재자의 심리를 규명한다는 의의를 가진다.
  • 하지만 악성댓글 연구에서는 중재의도에 대한 이론적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악성댓글 중재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선행 요인들을 발견하여 향후 악성댓글 연구에서 필요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무적으로 악성댓글 예방 및 대응책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1a-c: 중화 기술은 악성댓글 작성의도에 정(+)의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2-a: 악성댓글에 대한 태도는 악성댓글 작성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2-b: 악성댓글에 대한 태도는 악성댓글 중재 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3-a: 인지적 공감은 악성댓글 작성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3-b: 정서적 공감은 악성댓글 작성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4-a: 인지적 공감은 악성댓글 중재의도에 정(+)의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4-b: 정서적 공감은 악성댓글 중재의도에 정(+)의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해자의 부정의 예시에는 무엇이 있는가? 마지막으로 피해자의 부정은 상대방이 일탈행위를 유발하였기 때문에 자신의 잘못은 크지 않다고 여기는 중화 기술이다. 예를 들어서, 차량절도범들이 차량의 주인은 차를 허술하게 방치했기 때문에 차량 절도를 당했을 뿐이라고 합리화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개인은 다양한 중화기술을 활용하여 자신의 일탈행위를 합리화한다.
중화기술 이론의 유형에는 무엇이 있는가? 중화 기술 이론은 일탈행위에 대한 가해자의 구체적인 심리를 설명하는 이론으로 일탈 행위자는 여러 합리화 기술을 사용하여 일탈행위에 대한 죄책감이나 책임감을 감소시킨다[12]. 일탈 행위 연구들은 다양한 상황에 중화 기술 이론을 적용하여 가해자의 동기요인을 규명하고 이에 따른 예방책을 수립해왔다[1, 5, 13] 중화기술 이론은 필요의 방어, 높은 가치에 대한 호소, 책임의 부정, 피해의 부정, 비난자에 대한 비난, 선행 정도, 피해자의 부정의 7개 중화기술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중화 기술들은 일탈행위의 종류에 따라 통계적 유의성이 상이하게 나타난다[5]. 필요의 방어는 가해자가 현재 어쩔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일탈행위를 저지른다고 합리화하는 것을 말한다.
중화 기술 이론이란 무엇인가? 중화 기술 이론은 일탈행위에 대한 가해자의 구체적인 심리를 설명하는 이론으로 일탈 행위자는 여러 합리화 기술을 사용하여 일탈행위에 대한 죄책감이나 책임감을 감소시킨다[12]. 일탈 행위 연구들은 다양한 상황에 중화 기술 이론을 적용하여 가해자의 동기요인을 규명하고 이에 따른 예방책을 수립해왔다[1, 5, 13] 중화기술 이론은 필요의 방어, 높은 가치에 대한 호소, 책임의 부정, 피해의 부정, 비난자에 대한 비난, 선행 정도, 피해자의 부정의 7개 중화기술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중화 기술들은 일탈행위의 종류에 따라 통계적 유의성이 상이하게 나타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P. B. Lowry, J. Zhang, C. Wang & M. Siponen. (2016). Why do adults engage in cyberbullying on social media? An integration of online disinhibition and deindividuation effects with the social structure and social learning mode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7(4), 962-986. DOI : 10.1287/isre.2016.0671 

  2. Supreme prosecutor's office. (16, April 2015). The official blog of the supreme prosecutors' office. Official Blog of Supreme Prosecutors' Office. http://spogood.tistory.com/263 

  3. J. Hwang, H. Lee, K. Kim, H. Zo & A. P. Ciganek. (2016). Cyber neutralisation and flaming. Behaviour & Information Technology, 35(3), 210-224. DOI : 10.1080/0144929X.2015.1135191 

  4. S. S. Lee & J. S. Park. (2009). Neutralization and Its Effect on Internet Malicious Messages: Testing Three Theories of Delinquency. Korean Journal of Criminoloy, 21(2), 245-266. 

  5. M. Siponen. A. Vance & R. Willison. (2012). New insights into the problem of software piracy: The effects of neutralization, shame, and moral beliefs. Information & Management, 49(7-8), 334-341. DOI : 10.1016/j.im.2012.06.004 

  6. L. Lazuras. V. Barkoukis. D. Ourda & H. Tsorbatzoudis. (2013). A process model of cyberbullying in adolescenc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9(3), 881-887. DOI : 10.1016/j.chb.2012.12.015 

  7. S. C. Caravita. P. Di Blasio & C. Salmivalli. (2009). Unique and interactive effects of empathy and social status on involvement in bullying. Social development, 18(1), 140-163. DOI : 10.1111/j.1467-9507.2008.00465.x 

  8. M. L. Ybarra & K. J. Mitchell. (2004). Online aggressor/targets, aggressors, and targets: A comparison of associated youth characteristic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5(7), 1308-1316. DOI : 10.1111/j.1469-7610.2004.00328.x 

  9. M. Alonzo & M. Aiken. (2004). Flaming in electronic communication. Decision Support Systems, 36, 205-213. 

  10. D. Cho & K. H. Kwon. (2015). The impacts of identity verification and disclosure of social cues on flaming in online user commen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51, 363-372. DOI : 10.1016/j.chb.2015.04.046 

  11. T. H. Van Noorden. G. J. Haselager. A. H. Cillessen & W. M. Bukowski. (2015). Empathy and involvement in bully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44(3), 637-657. DOI : 10.1007/s10964-014-0135-6 

  12. G. M. Sykes & D. Matza. (1957). Techniques of neutralization: A theory of delinquency.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22(6), 664-670. DOI : 10.2307/2089195 

  13. M. Siponen & A. Vance. (2010). Neutralization: New Insights into the Problem of Employee Information Systems Security Policy Violations, MIS Quarterly, 34(3), 487-502. DOI : 10.2307/25750688 

  14. H. Copes. (2003). Streetlife and the rewards of auto theft. Deviant Behavior, 24(4), 309-332. DOI : 10.1080/713840224 

  15. P. Cromwell & Q. Thurman. (2003). The devil made me do it: Use of neutralizations by shoplifters. Deviant Behavior, 24(6), 535-550. DOI : 10.1080/713840271 

  16. A. N. Doane. M. Pearson & M. L. Kelley. (2014). Predictors of cyberbullying perpetration among college students: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6, 154-162. DOI : 10.1016/j.chb.2014.03.051 

  17. I. Ajzen. (1985). From intentions to actions: A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Action control (pp. 11-39). Springer, Berlin, Heidelberg. 

  18. D. Olweus. (1993). Bullying at school: What we know and what we can do. Blackwell Publishers. 

  19. A. N. Doane. M. L. Kelley, E. S. Chiang & M. A. Padilla. (2013). Development of the cyberbullying experiences survey. Emerging Adulthood, 1(3), 207-218. DOI : 10.1177/2167696813479584 

  20. C. Salmivalli & M. Voeten. (2004). Connections between attitudes, group norms, and behaviour in bullying situ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8(3), 246-258. DOI : 10.1080/01650250344000488 

  21. G. Steffgen. A. Konig. J. Pfetsch & A. Melzer. (2011). Are cyberbullies less empathic? Adolescents' cyberbullying behavior and empathic responsiveness.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4(11), 643-648. DOI : 10.1089/cyber.2010.0445 

  22. P. M. Podsakoff, S. B. MacKenzie, J. Y. Lee & N. P. Podsakoff. (2003). Common method biases in behavioral research: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ed remedi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8(5), 879. 

  23. C. Fornell & D. F. Larcker. (1981).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Algebra and statistic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3), 382-388. DOI : 10.2307/3150980 

  24. J. J. Woo, E, M. Kwak & H. J. Lee. (2018). The convergence study of smartphone overuse on cyberbullying: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aggress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5), 61-67. 

  25. W. H. Moon, M. J. Kown & Y. H. Kim. (2016). Converging Influence of Empathy and Prejudice against Mental Illness on Discriminatory Behavior toward the Mentally Illness Patients in th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6), 81-88. 

  26. S. Y. Park. (2017). Convergence study on the influence of dental hygiene student supporting awareness in their empathy about elderl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5), 25-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