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지역 정보통신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Influencing on Job Stress of Regional Information Communication Employe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12, 2018년, pp.351 - 358  

유승희 (전주비전대학교 간호학부) ,  최혜경 (원광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일개 지역 정보통신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도 및 건강행태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J시에 소재한 K회사에 종사하는 138명 근로자이며, 자료 수집은 2017년 4월 17일부터 4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SPSS 20.0을 이용하였다.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는 유의미한 역 상관관계가 나타났고(r=-.69, p<.001), 직무스트레스와 수면장애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상관계수가 적었다(r=.23, p<.001). 개인의 건강행태 중 흡연, 음주정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만족도였으며(${\beta}=-.69$, p<.001), 47%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121.8, p<.001).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보통신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개인적 건강행태의 변화보다는 조직적 차원의 직무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health behaviors of worker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 from 138 workers who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in the J city.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개 지역 정보통신업에 종사하는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도 및 건강행태를 파악하고 관계를 규명하며 직무스트레스의 영향요인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 본 연구는 일개 지역의 정보통신업에 근무하는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도 및 건강행태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정보통신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건강행태 정도를 확인하고 각 변수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며,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새로운 시장 수요 및 고 부가가치를 창출해야하는데 있어 많은 적응이 필요한 정보 통신부문 직장인을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도 및 건강행태를 파악하고 변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며 직무 스트레스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결과는 직장인들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하는 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4차 산업혁명 시기에 정보통신 산업 종사자들이 받는 부담은 무엇이 있는가? 정보통신 산업 종사자들은 디지털, 물리적, 생물학적 영역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모든 것이 연결되는 4차 산업혁명 시기에 다른 산업과 융합하여 새로운 시장을 도출해야 하는 등의 부담을 안고 있다[1]. 4차 산업혁명시기를 맞이하는 국내 통신시장은 현재 정체기이며[2], 4차 산업의 핵심기술들은 통신 사업자에게 새로운 시장수요와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기회인 동시에 기존의 사업모델에서 벗어나 변화를 시도해야 하는 부담이기도 하다[3].
직무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직무 스트레스란 업무상의 요구사항이 근로자의 능력이나 자원, 요구와 일치하지 않을 때 생기는 해로운 신체적, 정서적 반응을 말한다[4]. 직장인들의 직무 스트레스는 일반적인 스트레스와 마찬가지로 질병발생에 직접적,간접적 영향을 주는 상황으로 추후 발생될 수 있는 많은 건강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 관리할 필요가 있는 중요한 부분이다.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부정적 영향에는 무엇이 있는가? 직장인들의 직무 스트레스는 신체적·심리적 증상들로 연결되어 나타난다. 무기력증, 소화기질환 등 신체적 증상을 경험하고 있는 직장인은 87.8%였고, 심리적 증상으로 우울증을 경험한 직장인은 74.4%[9], 우울이나 불안 등 자신의 감정이 부정적 상태인 경우는 31%였다[10]. 정신적· 신체적 질환의 촉발요인으로 작용하는 직무 스트레스는 심혈관 질환의 원인이기도 하고[11], 습관성 음주, 흡연 및 운동 등 건강행태를 부정적인 방향으로 초래함으로써 개인과 조직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12-15]. 또한 업무능력을 저하하고 지각이나 금전적 손해 등으로 이어지는 또 다른 스트레스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16]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피해는 분명하게 본인에게는 물론이고 조직 내·외에 영향을 미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K. Schwab.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eoul : Song. K. J. 

  2. J. E. Park, H. S. Kwon & S. C. Kim. (2017). Telco Strategies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A Scenario-based Approach.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97, 37-59. http://www.dbpia.co.kr/Article/NODE07091276 

  3. J. E. Lee & H. J. Lim. (2018). The effect of job stress of system maintenance staff on emotion exhaus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rofessional ident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7), 97-105. DOI : http://dx.doi.org/10.14400/JDC.2018.16.7.097 

  4. R. S. Schuler. (1980). Definition & Conceptualization of stress in organizations. Organizational Behavior & Human Performance, 187. 

  5. T. M. Matteson & M. J. Ivancevich. (1987). Controlling work stress effective human resource and management strategies. New York: Jossey Bass Business and Management Series. 

  6. J. E. Ye, H. Jin, E. J. Seo, M. J. Kim & J. S. Ryoo. (2013). A Study on Happiness of Workers. SERI Report, 1-89. http://www.newswire.co.kr/newsRead.php?no493178 

  7. J. K. Tak. (2002). Comparisons of job stressors and job stress among the white collar workers, the blue collar workers, and the professional research worker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7(1), 125-141. 

  8. D. Y. Jeong, M. J. Noh & H. G. Jang. (2014).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Exhausti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s in IT departments: The Role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Social Support. Korean management review, 43(1), 145-167. 

  9. D. J. Yeo et al. (2015).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Related to Work in Hospital Employee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3(4), 197-204. DOI : http://dx.doi.org/10.17547/kjsr2015.23.4.197 

  10. B. S. Cho & J. K. Jeon. (2012.). The workers themselves the psychological health. LGERI Report, 1186, 17-34. 

  11. M. Kivimaki & I. Kawachi. (2015). Work Stress as a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Cardiology Reports, 17(9), 74. DOI : https://doi.org/110.1007/s11886-015-0630-8 

  12. J. J. Cho. (2013). Job stress and Cardiovascular Diseas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6(6), 462-470. 

  13. Y. J. Kim, J. H. Kim & G. S. Shim. (2017). The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Emotional labor, Resilience and Mental Health in Fire fighte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2), 379-389. DOI : https://doi.org/10.15207/JKCS.2017.8.12.379 

  14. E. K. Lee & J. H. Park. (2016). Converged Study of Influencing Factors on Occupational Stress in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3), 15-24. DOI : https://doi.org/10.15207/JKCS.2016.7.3.015 

  15. S. Braun & R. B. hollander. (1988). Work and depression among women in federal Republic of Germany. Women & Health, 14(2), 3-26. 

  16. K. H. Cho, D. B. Lee & Y. C. Cho. (2007). Psycho social Distres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Clerical Public Offic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9(1), 26-37. 

  17. H. Annika & T. P. G. Theotell. (1988). Work Conditions and Urinary Excretion of catecholamines-a Study of Prison Staff in Sweden.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 Health, 14(4), 257-264. 

  18. E. J. Kim. (2015). Occupational Stress, Depression, Drinking of Heavy Industrial Male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7), 4758-4767. DOI : http://dx.doi.org/10.5762/KAIS.2015.16.7.4758 

  19. E. J. Kim & J. Y. Lim. (2010). A Correlational Study of Job Stress, Drinking and Smoking of Local Government Staff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6(1), 61-69. 

  20. S. D. Nam. (2007). A study of Job stress,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ng Life Style among the Community Health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6(1), 89-97. 

  21. S. H. Chon, J. Y. Kim, J. J. Cho & J. K. Ryoo. (2010). Job Characteristics and Occupational Stress on Health Behavior in Korean Workers.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1(6), 444-452. 

  22. S. H. Yoon, J. L. Bae, S. W. Lee, K. A. Ahn & S. E. Kim. (2006).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Depression, Drinking and Smoking among Korean Men. Health and Social Science, 19, 31-50. 

  23. J. Y. Cho & I. B. Oho. (2011).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job burnout of IT human resources. Korean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Review, 10(2), 175-200. 

  24. S. J. Chang et al. (2005).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97-317. 

  25. W. H. Kim, S. G. Nam & J. C. Lee. (2007).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Hakjisa. 512p. 

  26. T. F. Heatherton, L. T. Kozlowski, R. C. Frecker & K. O. Fagerstroom. (1991). The Fagerstroo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a revision of the Fagerstroom Tolerance Questionnaire. British Journal of Addiction, 86, 1119-1127. 

  27. K. B. Kim, K. S. Hahn, J. K. Lee, M. K. Rhee, Y. K. Kim & C. K. Kim. (1991). The Preliminary Study of the Korean Alcoholism Screening Test (III)-Alcoholism Screening Test of Seoul National Mental Hospital (I) : NAST (I).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0(3), 569-581. 

  28. J. J. Oh, M. S. Song & S. M. Kim. (199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Sleep Scale 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3), 563-572. 

  29. D. J. Kim et al. (2016). The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Health Behaviors in a Hospital Employee. The Korean Society of Stress Medicine, 24(2), 95-102. DOI : http://dx.doi.org/10.17547/kjsr.2016.24.2.95 

  30. S. K. Park & C. K. Lee. (2014).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on-regular Worker's Job stress, Problem Drinking, and Mental Health.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10(12), 57-76. 

  31. H. Y. Min & M. J. Yoon. (2011). According to the Age a Study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for Child care Teacher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8(3), 147-168. 

  32. S. H. Yoon. (2016). The Impact of Local Public Officials' Occupational Stress on Occupational Satisfaction. Doctoral dissertation. Dague Hanny University, Dague. 

  33. H. S. Kim & E. H. Park. (2017). Factors Affecting on Sleep Quality among Middle-aged Male Work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2), 615-623. DOI : http://dx.doi.org/10.14400/JDC.2017.15.12.615 

  34. S. Y. Lim & H. J. Lee. (2017). Influence of the Quality of Sleep on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Emergency Medical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9), 322-333. DOI : http://dx.doi.org/10.5762/KAIS.2017.18.9.322 

  35. I. S. Han. (2002). A Comparison of Job Satisfaction Between Employees of Local Government and Local Public Enterprises. Korean society and administration, 12(4), 27-41. 

  36. J. W. Moon. (2014).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Drinking on Interpersonal Relation, Stress, and Depression.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40(1), 65-79. 

  37. K. H. Lee et al. (2015). Anxiety symptoms and occupational stress among young Korean female manufacturing workers. Ann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 27(24). DOI : http://dx.doi.org/10.1186/s40557-015-0075-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