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탈북민들이 경험하는 컴페션이 직무성과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심층행동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Compassion experienced by defectors on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Mediating Effect of Deep Acting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11, 2018년, pp.177 - 183  

고성훈 (경북대학교 경상대학 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조직 내에서 탈북민들이 경험하는 컴페션이 심층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고, 둘째는 컴페션을 통하여 형성한 심층행동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는 것이다. 셋째, 본 연구의 목적은 심층행동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며 넷째, 컴페션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심층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컴페션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심층행동의 매개효과를 실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 탈북민들이 경험하는 컴페션이 심층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증되었고, 심층행동이 직무성과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컴페션과 직무성과, 그리고 컴페션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심층행동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결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어 모든 가설이 지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 내에서 컴페션을 필요로 하는 탈북민들이 진정성 있는 심층행동을 통하여 직무성과를 향상시키고 조직시민행동을 증가시킨다는 의의를 지니게 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passion experienced by defectors on deep acting in organization and secondly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deep acting through compassion on job performance. Thi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deep acting on organiz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기업 내에서 탈북민들이 경험하게 되는 컴페션적인 행위와 심층행동, 그리고 성과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실증하였다는데 이론적 시사점이 있을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탈북민들이 경험하는 컴페션이 심층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는 것이고 둘째, 심층행동이 직무성과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는 것이다. 셋째, 컴페션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심층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고 넷째, 컴페션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심층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탈북민들은 아픔과 상처를 안고 대한민국에서 살아가는 사회구성원이자 조직 내에서 컴페션을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조직 구성원이기도 한다. 본 연구는 컴페션을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기업 내 탈북민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하는 컴페션이 긍정심리자본과 잡 크래프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될지 실증적 연구를 시행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탈북민들이 경험하는 컴페션이 심층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는 것이고 둘째, 심층행동이 직무성과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는 것이다. 셋째, 컴페션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심층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고 넷째, 컴페션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심층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가설 설정

  • 가설3. 탈북민들의 심층행동은 조직시민행동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컴페션이란? 컴페션이란 감정은 동정이나 연민과는 달리 다른 이의 고통을 내 자신의 고통처럼 함께 느끼고 함께 아파하며 함께 경험하는 감정이며 반드시 고통당하는 타인을 위한 행위를 수반한다고 주장한다[1]. 또한 조직 내에서 경험하는 컴페션은 긍정적인 감정을 갖게 하여 조직 내에서 자신의 업무를 능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되기 때문에 조직 내에서 경험하는 컴페션과 긍정적 감정은 서로 강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
컴페션적인 조직 문화를 형성해야 하는 실천적 시사점은 무엇인가? 넷째, 본 연구의 결과의 실천적 시사점은 컴페션을 경험한 탈북민들의 감정과 행동이 일치하는 심층행동이 향상된다는 것이며, 더 나아가 탈북민들이 조직 내에서 이질적인 조직구성원들과 협동하고 높은 관계의 질(HQC) 의 인간관계를 할 수 있는 동기부여를 제공해주고 있다.
조직 내에서 경험하는 컴페션의 장점은? 컴페션이란 감정은 동정이나 연민과는 달리 다른 이의 고통을 내 자신의 고통처럼 함께 느끼고 함께 아파하며 함께 경험하는 감정이며 반드시 고통당하는 타인을 위한 행위를 수반한다고 주장한다[1]. 또한 조직 내에서 경험하는 컴페션은 긍정적인 감정을 갖게 하여 조직 내에서 자신의 업무를 능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되기 때문에 조직 내에서 경험하는 컴페션과 긍정적 감정은 서로 강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 또한 Lilius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J. M. Lilius, M. C. Worline, S. Maitlis, J. Kanov, J. E. Dutton & P. Frost. (2008). The contours and consequences of compassion at work,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9(2), 193-218. 

  2. W. A. Kahn. (1993). Caring for the care givers: Patterns of organizational care giving,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8, 539-563. 

  3. J. M. Kanov, S. Maitlis, M. C. Worline, J. E. Dutton, P. J. Frost & J. M. Lilius. (2004). Compassion in organizational life,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7(6), 808-827. 

  4. A. A. Grandey. (2003).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as determinant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peer-rated service deliver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6(1), 86-96. 

  5. D. K. John, L. R. Alex, M. L. David, A. O, Michael, R. B. Brooke, Y. Zang & D. K. Marie. (2013). A meta-analytic structural model of dispositional affectivity and emotional labor, Personnel Psychology, 66(1), 47-90. 

  6. A. Grandey. (2000). Emotion regulation in the workplace: A new way to conceptualized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1), 95-110. 

  7. C. B. Brotheridge & R. T. Lee. (200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labor scal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6(3), 365-379. 

  8. C. M. Brotheridge & A. A. Grandy. (2002). Emotional labou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at work,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0(1), 17-39. 

  9. B. E. Ashforth & R. H. Humphrey. (1993).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The influence of ident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1), 88-115. 

  10. J. E. Dutton, J. M. Dukerich & C. V. Harquail. (1994). Organizational images and member identific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9(2), 239-263. 

  11. P. J. Frost. (1999). Why compassion counts, Journal of Management Inquiry, 8(2), 127-133. 

  12. J. E. Dutton, M. C. Worline, P. J. Frost & J. M. Lilius. (2006). Explaining compassion organizing,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51(1), 59-96. 

  13. J. M. Richards & J. J.Gross. (2000). Emotion regulation and memory: the cognitive costs of keeping on1e's coo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9(3), 410-424. 

  14. J. M. Diefendorff, M. H. Croyle & R. H. Gosser. (2005). The dimensionality and antecedents of emotional labor strategi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6(2), 339-357. 

  15. L. J. Williams & S. E. Anderson. (1991).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and in-role behaviors, Journal of management, 17(3), 601-617. 

  16. D. W. Organ. (1988).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good soldier syndrome, Lexington, MA: Lxington. 

  17. K. J. Preacher & A. F. Hayes. (2004). SPSS and SAS procedures for estimating indirect effects in simple mediation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and Computers, 36(4), 717.731. 

  18. S. H. Ko & T. W. Moon. (2014).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virtue perceived by organizational members and job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35(5), 81-108. 

  19. S. H. Ko & T. W. Moon. (2015).The Influence of Internal And External Virtuous Behaviors on Job Performance: Focusing on the creating research model for the virtuous behavior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34(4), 31-66. 

  20. S. H. Ko & T. W. Moon. (2012). The Effect of Compassion within Organizations on Intention to Leave:Focusing on the Double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Ident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20(3), 29-76. 

  21. J. E. Dutton, L. M. Roberts & J. Bednar. (2010). Pathways for positive identity construction at work: Four types of positive identity and the building of social resourc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5(2), 265-293. 

  22. C. K. Lee, Y. S. Park, H. K.Lee & K. J. Lee. (2015). The Effect of a Convergence Multi-cultural Nursing Education Program on Cultural Competence and Empathy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2), 337-346. 

  23. J. H. Kim, K. J. Kwon & S. H. Lee. (2017). Factors Influencing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4), 295-3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