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용담화 추출물의 미백 활성 연구
A Study on the Whitening Activities of Gentiana scabra Extract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4 no.1, 2018년, pp.9 - 14  

이현상 (매니아시아 알엔디센터) ,  석지현 (매니아시아 알엔디센터) ,  김윤정 (매니아시아 알엔디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및 미백 소재의 개발을 위해 다양한 추출법을 이용하여 용담화 추출물을 제조하고 항산화 효과 및 멜라닌 생합성 저해능을 평가하였다.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평가한 결과 용담화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용담화 추출물은 tyrosinase 활성을 저해시켰으며, B16F10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tyrosinase-related protein (TRP)-1 및 2 mRNA 발현을 확인한 결과 용담화 추출물에 의해 TRP-1 및 2의 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용담화 추출물은 항산화 및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find new functional materials for the cosmetics application,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anti-melanogenic properties of Gentiana scabra extracts (GSE), which were prepared by the various extraction methods. Results showed that GSE had high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a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한방과 민간에서는 용담을 달인 물로 종기, 습진 등을 씻어내면 시원한 느낌이 들면서 가라앉는 효과를 보게 되고 대장균, 백선균, 피부진균에 대하여 항균작용 및 소염 작용을 한다고 보고되어 있다[13].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하여 용담화의 피부 효능을 높이기 위해 추출 방법을 달리하여 다양한 용담화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본 연구는 용담화의 다양한 효능에 대한 연구에 이어 용담화 추출물에 의한 피부 미백 화장품의 원료로서 가능성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한 피부란 무엇인가? 건강한 피부는 피부에 질병이 없는 상태뿐 아니라 피부가 윤기 있고, 촉촉하며, 탄력이 있고, 색이 고른 것을 말한다. 현대 사회는 다양한 외부 자극으로 인해 피부 손상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피부 노화, 피부색의 변화, 색소 침착 등의 피부 질환이 증가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피부 손상도의 특징은 무엇인가? 건강한 피부는 피부에 질병이 없는 상태뿐 아니라 피부가 윤기 있고, 촉촉하며, 탄력이 있고, 색이 고른 것을 말한다. 현대 사회는 다양한 외부 자극으로 인해 피부 손상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피부 노화, 피부색의 변화, 색소 침착 등의 피부 질환이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외부 자극 중에서도 자외선은 피부 노화의 큰 요인으로 작용하며 자외선으로 유도된 활성산소는 피부 노화를 가속화 시키고 피부에서 멜라닌 합성을 증가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1,2].
용담화 추출물이 피부 미백 화장품의 원료로의 가능성이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 용담은 여러해살이 풀로 산지의 풀밭에서 자라며 그 뿌리가 동물의 쓸개처럼 쓰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한방과 민간에서는 용담을 달인 물로 종기, 습진 등을 씻어내면 시원한 느낌이 들면서 가라앉는 효과를 보게 되고 대장균, 백선균, 피부진균에 대하여 항균작용 및 소염 작용을 한다고 보고되어 있다[13].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하여 용담화의 피부 효능을 높이기 위해 추출 방법을 달리하여 다양한 용담화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본 연구는 용담화의 다양한 효능에 대한 연구에 이어 용담화 추출물에 의한 피부 미백 화장품의 원료로서 가능성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 A. Gilchrest and M. S. Eller, DNA photodamage stimulates melanogenesis and other photoprotective responses, J. Investiq. Dermatol. Symp. Proc., 4, 35 (1999). 

  2. A. L. Jeon, J. E. Kim, and N. H. Lee, Whitening and anti-inflammatory constituents from the extract of Citrullus lanatus vines, J. Soc. Cosmet. Sci. Korea, 43(1), 53 (2017). 

  3. C. E. Cross, B. Halliwell, E. T. Borish, W. A. Pryor, B. N. Ames, R. L. Saul, J. M. McCord, and D. Harman, Oxygen radicals and human disease, Ann. Intern. Med., 107, 526 (1987). 

  4. R. Adelman, L. R. Saul, and N. B. Ames, Oxidative damage to DNA: relation to species metabolic rate and life span, Proc. Natl. Acad. Sci. USA, 85, 2706 (1998). 

  5. E. J. Seo, E. S. Hong, M. H. Choi, K. S. Kim, and S. J. Lee, Antioxidant and skin whitening effects of Ramnus yoshinoi extracts, J. Food Sci. Technol., 42, 750 (2010). 

  6. A. A. Bell and M. H. Weeler, Biosynthesis and function of fungal melanin, Ann. Rev. Phtophathol., 24, 411 (1986). 

  7. C. A. Ferguson and S. H. Kidson, The regulation of tyrosinase gene transcription, Pigment Cell Res., 10(3), 127 (1997). 

  8. V. J. Hearing and K. Tsukamoto, Enzymatic control of pigmentation in mammals. FASEB J., 5(14), 2902 (1991). 

  9. N. J. Bentley, T. Eisen, and C. R. Goding, Melanocyte-specific expression of the human tyrosinase promoter: activation by the microphthalmia gene product and role of the initiator, Mol. Cell. Biol., 14, 7996 (1994). 

  10. K. Tsukamoto, I. J. Jackson, K. Urabe, P. M. Montague, and V. J. Hearing, A second tyrosinase-related protein, TRP-2, is a melanogenic enzyme termed DOPAchrome tautomerase, EMBO J., 11(2), 519 (1992). 

  11. R. E. Boissy, C. Sakai, H. Zhao, T. Kobayashi, and V. J. Hearing, Human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does not function as a DHICA oxidase activity in contrast to murine TRP-1, Exp. Dermatol., 7(4), 198 (1998). 

  12. H. J. Chun, W. H. Choi, S. H. Baek, and W. H. Woo, Effect of quercetin on melanogenesis in melan-a melanocyte cells, Korean J. Pharmacogn., 33, 245 (2002). 

  13. J. G. Lee, E. W. Kim, and J. H. Lee, Effect of gentianae radix on neurogenesis and apoptosis in hippocampus of ethanol-induced newborn rats, J. Oriental Neuropsychiatry., 21(2), 29 (2010). 

  14. J. H. Song and S. R. Lee, Anti-oxidant and inhibitory activity on no production of extract and its fractions from Rosa davurica pall. Leaves, Korean J. Med. Crop Sci., 23, 20 (2015). 

  15. H. W. Choi, M. H. In, S. H. Lee, E. J. Kim, K. S. Lim, and W. H. Woo, Study on anti-inflammatory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gentiana sin o-ornata,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8(4), 51 (2015). 

  16. H. J. Lee, M. Y. Jang, M. R. Kim, K. H. Bae, and D. E. Sok, Screening of inhibitor of thyroid peroxidase, and oxidative coupling enzyme from Natural Poducts,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43(3), 334 (1999). 

  17. M. S. Kim, S. C. Kim, S. Y. Jee, S. Y. Hwang, W. J. Cho, and J. R. Lee, Inhibitory effect of Gentianae radix MeOH extract on pro-inflammatory mediator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 activated Raw264.7 cell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1(1), 28 (2008). 

  18. H. W. Choi, M. H. In, Y. J. Mun, K. S. Lim, and W. H. Woo, Study on pharmacological activation as cosmetic material of Gentianae scabrae bunge Extract, J. Korean Med. Physiol. Pathol., 29(3), 223 (20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