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바나나잎 추출물의 미백 개선 효과
Whitening Effect of Banana Leaf Extract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2 no.1, 2016년, pp.37 - 43  

황형서 (세명대학교 한방화장품과학과) ,  유대성 ((주)에이씨티 R&D Center) ,  심중현 (세명대학교 한방화장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바나나잎의 기능성화장품 소재로써 응용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바나나잎 추출물이 피부 미백에 미치는 효과를 B16F10 세포주를 활용하여 cell viability, mRNA 발현 및 tyrosinase (Tyr) 활성 저해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10%의 바나나잎 추출물은 tyrosinase 활성을 저해하고, 멜라닌 합성을 65%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정량적 real-time RT-PCR을 수행한 결과 바나나잎 추출물이 tyrosinase related protein 1 (TRP1) / tyrosinase related protein 2 (TRP2) / tyrosinase mRNA 발현을 각각 20 / 40 / 60% 가량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바나나잎 추출물이 함유된 크림제형의 임상시험을 수행하여 자외선 조사 직후 바나나잎 추출물이 함유된 크림의 육안평가 결과 유의한 미백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바나나잎 추출물이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 뿐 아니라 향후 기전 연구 수행을 통해 다양한 산업화 소재로 개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whitening effect of Banana leaf extract. B16F10 cells were used to measure cell viability, mRNA expression, and tyrosinase activity inhibition assay from B16F10 cell. We also carried out clinical test of the cream product containing banana leaf extrac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바나나는 주로 과실이 이용되어 왔으며 줄기, 잎은 수확과 함께 폐기 혹은 퇴비로 쓰이고 있다. 이에 과실이 아닌 잎의 피부미용 기능성 소재로서 피부노화를 예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부색은 무엇에 의해 결졍되는가? 피부색은 표피에 존재하는 멜라닌(melanin), 혈관 속에 함유된 헤모글로빈과 피하조직에 존재하는 β카로틴 등의 색소에 의해 결정된다. 그중에서도 멜라닌 색소의 양과 분포에 의해 외관상의 피부색이 거의 결정된다.
미백용 소재인 알부틴과 코직산은 어떤 원리로 tyrosinase의 활성을 억제하는가? 이 중 tyrosinase는 멜라닌생성반응을 조절하는 가장 중요한 효소이므로 대표적인 미백용 소재인 알부틴, 코직산, 감초추출물, 닥나무추출물은 tyrosinase의 활성 억제를 주요 효능으로 하고 있다[6,7]. 알부틴은 멜라닌 전구체인 L-tyrosine과 경쟁적으로 작용하는 저해제 역할을 하며, 코직산은 tyrosinase의 활성부위를 chelating하여 L-DOPA와 DOPA quinone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한다. 알부틴과 코직산은 강력한 미백효과가 있으나 피부자극이나 안전성 문제 등 일부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천연유래 신소재 개발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8,9].
바나나는 어디에 속하는가? 바나나(Musa sapientum L.)는 다년생초본으로 파초과에 속한다. 제일 높이 자라면 최대 5 m 안팎이고 6월 ∼ 9월 중에 꽃이 피고 10월에 바나나 열매가 성숙되는 것으로 알려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S. Gonzalez, M. Fernandez-Lorente, and Y. Gilaberte-Calzada, The latest on skin photoprotection, Clin. Dermatol., 26, 614 (2008). 

  2. P. J. Matts, Solar ultraviolet radiation: definitions and terminology, Clin. Dermatol., 24, 1 (2006). 

  3. G. A. Imokawa, Possible mechanism underlying the ceramide deficiency in atopic dermatitis: expression of a deacylase enzyme that cleaves the N-acyl linkage of sphingomyelin and glucosylceramide, J. Dermatol. Sci., 55, 1 (2009). 

  4. S. Ito and K. Wakamatsu, Quantitative analysis of eumelanin and pheomelanin in humans, mice, and other animals: a comparative review, Pigment cell res., 16, 523 (2003). 

  5. Y. M. Yoon, S. H. Bae, S. K. An, Y. B. Choe, K. J. Ahn, and I. S. An, Effects of ultraviolet radiation on the skin and skin cell signaling pathways, Kor. J. Aesthet. Cosmetol., 11, 417 (2013). 

  6. Y. S. Baek, Y. B. Ryu, M. J. Curtis-Long, T. J. Ha, R. Rengasamy, M. S. Yang, and K. H. Park,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of 1,3-diphenylpropanes from Broussonetia kazinoki, Bioorg. Med. Chem., 17, 35 (2009). 

  7. H. J. Kim, S. H. Seo, B. G. Lee, and Y. S. Lee, Identification of tyrosinase inhibitors from Glycyrrhiza uralensis, Planta. Med., 71, 785 (2005). 

  8. N. K. Han, C. M. Park, J. C. Kwon, M. S. Joung, and J. W. Choi, Whitening effect of Fagopyrum tataricum extrac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40(2), 179 (2014). 

  9. B. Y. Kim, S. H. Park, B. J. Park, and J. J. Kim, Whitening effect of Androsace umbellate extrac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41(1), 21 (2015). 

  10. M. Z. Imam and S. Akter, Musa paradisiaca L. and Musa sapientum L.: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review, Journal of Applied Pharmaceutical Science, 01(05), 14 (2011). 

  11. T. H. Lee, J. O. Seo, M. H. Do, E. Ji, S. H. Baek, and S. Y. Kim, Resveratrol-enriched rice down-regulates melanin synthesis in UVB-induced guinea pigs epidermal skin tissue, Biomol. Ther., 22, 431 (2014). 

  12. H. S. Talwar, C. E. Griffiths, G. J. Fisher, T. A. Hamilton, and J. J. Voorhees, Reduced type I and type III procollagens in photodamaged adult human skin, J. Invest. Dermatol., 105, 285 (1995). 

  13. J. Kim, C. W. Lee, E. K. Kim, S. J. Lee, N. H. Park, H. S. Kim, H. K. Kim, K. Char, Y. P. Jang, and J. W. Kim, Inhibition effect of Gynura procumbens extract on UV-B-induced matrix-metalloproteinase expression in human dermal fibroblasts, J. Enthnopharmacol., 137, 427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