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산란 감소 물질에 의한 피부 각질층의 산란 감소 및 수화에 의한 각질세포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
Optical Clearing Agent Decreases Scattering of Stratum Corneum and Modulates Physical Properties of Corneocytes by Hydration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4 no.1, 2018년, pp.81 - 87  

전승현 ((주)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염준석 ((주)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안병준 ((주)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박선규 ((주)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이천구 ((주)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이설훈 (동덕여자대학교 응용화학과 화장품과학 전공) ,  강내규 ((주)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각질층의 산란에 대한 새로운 분석 방법을 제공하고 광학에 사용되는 광산란 감소 물질들의 피부 각질층에서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각질층과 피부 구성 성분에 의해 산란되어지는 빛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각질 테이프로 분리한 각질세포의 다크 필드 이미지 분석을 통해 다양한 광산란 감소 물질들의 각질층에서의 광산란 효과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광산란 감소 물질의 처리 후 각질층의 물리적 특성(수분 함량, 케라틴 구조 및 두께) 변화는 FT-IR, 3D 레이저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는데 화장품에서 보습제로 사용되는 단당류, 당 알코올, 환원당, 히알루론산 등은 광산란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광학에서의 탈수 현상과 달리 낮은 농도조건의 광산란 감소 물질은 각질층 케라틴 구조의 내부로 물의 침투를 향상시켜 각질층의 부피를 증가시키고 강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광산란 감소 물질에 의한 각질층 각질세포의 수화 현상은 각질층의 광산란을 감소시켜 피부를 보다 투명하게 보이게 해 줄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보습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각질층 타겟의 새로운 피부 개선 연구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analytical tools for the scattering of stratum corneum (SC) and to check whether the optical clearing agents (OCAs) could be applied in optics affecting the scattering reduction. Dark field images of tape striped corneocyte separates scattered light of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달리 화장품 영역에서는 피부의 수분 공급이 건강한 피부를 만드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OCAs를 저농도(약 10% 내외)로 사용했을 때, OCAs가 각질의 수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피부 각질층 각질세포를 채취한 각질 테이프의 가운데 영역을 각 물질로 도포 후 세척과 건조를 시킨 후 FT-IR을 이용해 물과 단백질 피크의 비율을 무처리 대조군 영역에서의 비율과 비교하였다(Figure 3).
  • 각질층의 두께는 약 10-30 µm로 표피와 진피층에 비해 피부에서 가장 얇은 층이지만 일반적으로 피부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투명도 측정기(translucency meter)에서 발생되는 빛은 진피층까지 침투하기 때문에 각질층의 성질을 구분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7]. 따라서 이번 연구는 각질층의 산란에 대한 분석 방법과 이의조절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질 테이프를 사용하여 피부로부터 각질층을 분리하고 분리된 각질 세포의 산란광을 다크 필드 영상 분석 시스템에서 직접 투과 된 빛과 분리시켜 각질층의 산란광 강도를 측정하여 산란에 대한 다양한 물질의 효과를 비교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광산란 감소 물질에 의한 각질층의 산란광 감소 효과를 확인하고, 수분 함량 및 케라틴 구조 변화 측면에서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Evaluation of scattering by corneocytes attached to atape. A) Optical microscope image of SC via bright field and dark field mode. B) Picture of SC on the SC tape treated with10% urea.
  • A) Optical microscope image of SC via bright field and dark field mode. B) Picture of SC on the SC tape treated with10% urea. C) Reduction of light scattering in a region of stratum corneum treated with OCA.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각질층의 역할은 무엇인가? 빛은 피부의 구성성분에 의해 다양한 방법으로 흡수, 산란, 반사되는데 이러한 빛과 피부의 상관관계가 사람의 눈에 피부가 어떻게 보이는지를 결정한다[1]. 피부의 최외각에 위치한 각질층은 실질적인 외부로부터의 방어막 및 내부로부터의 수분 방어막으로서의 기능을 제공하며, 표면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피부 상태에 대한 1차적인 외관을 제공한다[2-4]. 따라서 노화나 외부 환경으로 인한 각질층의 문제 개선은 화장품 분야의 주요 목적 중 하나이다
피부색 개선을 단계별로 분리하여 진행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야의 주요 목적 중 하나이다. 인간의 피부는 본래 불투명한 미디어이나, 각질층은 일반적으로 투명하고 색이 없다[5]. 각질층의 표면 거칠기와 미세 구조는 빛의 산란을 일으키며, 피부 표면 아래에 존재하는 각 피부 구성 요소의 다른 반사 지수는 투과된 빛을 산란시킨다. 또한, 투과된 빛의 흡수는 기존의 미백제의 표적이었던 멜라닌과 헤모글로빈과 같은 발색단에 의해 발생된다[6]. 따라서 피부색 개선은 피부의 각 표적별로 효능 소재와 적절한 치료를 위해 단계별로 분리해야 하는데 이번 연구는 각질층, 특히 산란의 광학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투명도 측정기를 각질층에 사용하기 힘든 이유는 무엇인가? 각질층의 두께는 약 10-30 µm로 표피와 진피층에 비해 피부에서 가장 얇은 층이지만 일반적으로 피부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투명도 측정기(translucency meter)에서 발생되는 빛은 진피층까지 침투하기 때문에 각질층의 성질을 구분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7]. 따라서 이번 연구는 각질층의 산란에 대한 분석 방법과 이의조절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T. Lister, P. A. Wright, and P. H. Chappell, Optical properties of human skin, J. Biomed. Opt., 17, 90901 (2012). 

  2. G. K. Menon, New insights into skin structure: scratching the surface, Adv. Drug Deliv. Rev., 54, S3 (2002). 

  3. S.-H. Lee, N. G. Kang, and S. Lee, Selection of skin-penetrating peptide using phage display, Yakhak Hoeiji, 57, 125 (2013). 

  4. A. Baroni, E. Buommino, V. De Gregorio, E. Ruocco, V. Ruocco, and R. Wolf,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epidermis related to barrier properties, Clin. Dermatol., 30, 257 (2012). 

  5. Z.-X. Jiang and J. DeLaCruz, Appearance benefits of skin moisturization. Ski. Res. Technol., 17, 51 (2011). 

  6. N. Kollias, G. Zonios, and G. N. Stamatas, Fluorescence spectroscopy of skin. Vib. Spectrosc., 28, 17 (2002). 

  7. Z. Jiang and P. D. Kaplan, Point-spread imaging for measurement of skin translucency and scattering, Ski. Res. Technol., 14, 293 (2008). 

  8. S. G. Proskurin and I. V. Meglinski,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maging depth enhancement by superficial skin optical clearing, Laser Phys. Lett., 4, 824 (2007). 

  9. W. Feng, R. Shi , N. Ma , D. K. Tuchina, V. V. Tuchin, and D. Zhu, Skin optical clearing potential of disaccharides. J. Biomed. Opt., 21, 81207 (2016). 

  10. C. G. Rylander, O. F. Stumpp, T. E. Milner, N. J. Kemp, J. M. Mendenhall, K. R. Diller, and A. J. Welch, Dehydration mechanism of optical clearing in tissue. J. Biomed. Opt., 11, 411 (2006). 

  11. L. Kreplak, J. Doucet, P. Dumas, and F. Briki, New aspects of the alpha-helix to beta-sheet transition in stretched hard alpha-keratin fibers, Biophys. J., 87, 640 (2004). 

  12. Harding, Watkinson, Rawlings, and Scott. Dry skin, moisturization and corneodesmolysis, Int. J. Cosmet. Sci., 22, 21 (2000). 

  13. Y. Jokura, S. Ishikawa, H. Tokuda, H, and G. okawa, Molecular analysis of elastic properties of the stratum corneum by solid-state 13C-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J. Invest. Dermatol., 104, 806 (1995). 

  14. B. J. Bennion and V. Daggett, The molecular basis for the chemical denaturation of proteins by urea, Proc. Natl. Acad. Sci., 100, 5142 (2003). 

  15. R. Vyumvuhore, A. Tfayli, H. Duplan, A. Delalleau, M. Manfait, and A. Baillet-Guffroy, Effects of atmospheric relative humidity on stratum corneum structure at the molecular level: ex vivo raman spectroscopy analysis, Analyst, 138, 4103 (2013). 

  16. S. Yadav, R. R. Wickett, N. G. Pinto, G. B. Kasting, and S. W. Thiel, Comparative thermodynamic and spectroscopic properties of water interaction with human stratum corneum, Skin Res. Tech. 15, 172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