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물생장호르몬인 에틸렌의 전구체인 에테폰은 기체상의 에틸렌을 대신하여 가장 빈번히 사용되는 농약 중 하나로, 식물 이차 대사산물의 생산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 콩잎으로부터 식물 이차 대사산물인 이소플라본 생산에 에틸렌 및 에테폰 처리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었으나, 에테폰의 잔류안전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콩잎 생산시 에테폰을 경엽과 관주 처리하여 나타나는 잔류 변화를 연구하였다. 경엽 처리시 콩잎 중 에테폰의 잔류반감기는 1회와 2회 처리시 26.6 h과 21.1 h으로 확인되었고, 처리 3일 후 콩잎 중 에테폰은 최대 $60mg\;kg^{-1}$이었으나, 콩잎 건조 후 에테폰은 불검출 되었다. 관주 처리시 20.1 h 후 최대 잔류농도가 관찰되었으나, 관주처리에 의한 Total phenol 함량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thephon is useful pesticide as ethylene precursor, which is an efficient plant hormone to produce functional secondary metabolites. However, the residual safety of ethephon was not studied on various crops. In here, the dissipation pattern of ethephon residue in soybean leaf was investigated both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ethephon은 콩 잎에서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고, 콩 잎 재배 중 ethephon 잔류 감소에 관한 연구가 전혀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콩 잎 생산과정 중 ethephon을 경엽살포 혹은 관주 처리시 콩 잎 중 잔류 감소 변화를 조사하고, 수확 후 건조된 콩 잎 시료에서 ethephon 잔류 안전성을 평가하여, 기능성 polyphenol 생산을 위해 처리한 ethephon의 안전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Ethephon이란? Ethephon은 ethylene 전구체로 1965년 처음 개발되어 지금도 널리 사용되는 농약이며, 국내에는 단감, 귤, 레몬, 면 종자, 밀, 배, 보리, 사과, 오이, 커피원두, 토마토, 파인애플, 포도, 피칸, 호두, 호박에 사용될 수 있도록 허가되어 있다. 이들에 대한 최대잔류허용기준(MRL)은 0.
400배 희석 에테폰 액제의 경엽 살포에 따른 에테폰 잔류특성은?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동일한 시험 조건인 39% 에테폰 액제를 400배 희석하여 1회 처리와 24 h 간격 2회 처리로 구분하여 ethephon 잔류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Ethephon의 초기 잔류량은 1회와 2회 살포하였을 때 각각 395.8, 596.3 mg kg−1으로 나타났으며(Fig. 1), 생물학적 반감기는 각각 26.6 h 및 21.1 h로 나타났다(Table 2). Yuk 등(2016)은 최종 약제 처리 3일 후 isoflavone 생성량이 우수하다고 보고 하였으며, 여기서 제시한 수확 시점에 수확된 콩 잎 중 ethephon 잔류량은 1회 처리구와 2회 처리구에서 각각 54.
ethephon의 농식품 사용에 대한 상업화에 앞서 안전성 검증이 필요한 이유는? Ethephon은 ethylene 전구체로 1965년 처음 개발되어 지금도 널리 사용되는 농약이며, 국내에는 단감, 귤, 레몬, 면 종자, 밀, 배, 보리, 사과, 오이, 커피원두, 토마토, 파인애플, 포도, 피칸, 호두, 호박에 사용될 수 있도록 허가되어 있다. 이들에 대한 최대잔류허용기준(MRL)은 0.05-5.0 mg kg−1으로 설정되어 있지만(KFDA 2017), 콩 잎 등 다수의 작물에 대한 ethephon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아 ethephon을 농식품에 사용하는 상업화 연구는 안전성에 대한 검증이 우선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matori S, Mazzoni L, Alvarez-Suarez JM, Giampieri F, Gasparrini M, Forbes-Hernandez TY, Afrin S, Provenzano AE, Persico G, Mezzetti B, Amici A, Fanelli M, Battino M (2016) Polyphenol-rich strawberry extract (PRSE) shows in vitro and in vivo biological activity against invasive breast cancer cells. Sci Rep 6: 30917 

  2. de la Parra C, Castillo-Pichardo L, Cruz-Collazo A, Cubano L, Redis R, Calin GA, Dharmawardhane S (2016) Soy Isoflavone Genistein-Mediated Downregulation of miR-155 Contributes to the Anticancer Effects of Genistein. Nutr Cancer 68: 154-164 

  3. Das S, Stark L, Musgrave IF, Pukala T, Smid SD (2016) Bioactive polyphenol interactions with beta amyloid: a comparison of binding modelling, effects on fibril and aggregate formation and neuroprotective capacity. Food Funct 7: 1138-1146 

  4. Duan W, Kuo IC, Selvarajan S, Chua KY, Bay BH, Wong WS (2003)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enistein, a tyrosine kinase inhibitor, on a guinea pig model of asthma. Am J Respir Crit Care Med 167: 185-192 

  5. Gabbay Alves TV, Silva da Costa R, Aliakbarian B, Casazza AA, Perego P, Pinheiro Arruda MS, Carrera Silva Junior JO, Converti A, Ribeiro Costa RM (2017)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potential for polyphenol-rich cocoa extract obtained by agroindustrial residue. Nat Prod Res 1-4 

  6. KFDA (2017) Ethephon in Pesticides and veterinary drugs information,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Cheongju, Republic of Korea. Website available: http://www.foodsafetykorea.go.kr/residue/search/list.do? currentPageNo1&searchType&searchValueethephon&searchFlagA LL (accessed on Dec. 05, 2017) 

  7. Kim MJ, Kim JH, Kim JH, Kim YJ (2015) Comparative studies on the antioxidant capacities and catechin profiles of conventional and organic green tea. J Kor Soc Appl Biol Chem 58: 475-480 

  8. Mathey J, Mardon J, Fokialakis N, Puel C, Kati-Coulibaly S, Mitakou S, Bennetau-Pelissero C, Lamothe V, Davicco MJ, Lebecque P, Horcajada MN, Coxam V (2007) Modulation of soy isoflavones bioavailability and subsequent effects on bone health in ovariectomized rats: the case for equol. Osteoporos Int 18: 671-679 

  9. Miao Q, Li JG, Miao S, Hu N, Zhang J, Zhang S, Xie YH, Wang JB, Wang SW (2012) The bone-protective effect of genistein in the animal model of bilateral ovariectomy: roles of phytoestrogens and PTH/PTHR1 against post-menopausal osteoporosis. Int J Mol Sci 13: 56-70 

  10. Rasheed Z (2016) Green Tea Bioactive Polyphenol Epigallocatechin-3-OGallate in Osteoarthritis: 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Int J Health Sci (Qassim) 10: V-VIII 

  11. Singh S, Jarret R, Russo V, Majetich G, Shimkus J, Bushway R, Perkins B (2009) Determination of capsinoids by HPLC-DAD in capsicum species. J Agric Food Chem 57: 3452-3457 

  12. Takenaka S (2002) New method for ethephon ((2-chloroethyl)phosphonic acid) residue analysis, and detection of residual levels in the fruit and vegetables of Western Japan. J Agric Food Chem 50: 7515-7519 

  13. Teng H, Lee WY (2013) Optimization of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of polyphenols from mulberry fruits (Morus alba L.)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 Soc Appl Biol Chem 56: 317-324 

  14. Yuk HJ, Song YH, Curtis-Long MJ, Kim DW, Woo SG, Lee YB, Uddin Z, Kim CY, Park KH (2016) Ethylene Induced a High Accumulation of Dietary Isoflavones and Expression of Isoflavonoid Biosynthetic Genes in Soybean (Glycine max) Leaves. J Agric Food Chem 64: 7315-73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