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와이어 소잉 데미지 층이 단결정 실리콘 태양전지 셀 특성에 미치는 영향
Relation Between Wire Sawing-damage and Characteristics of Single Crystalline Silicon Solar-cells 원문보기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한국태양광발전학회논문지, v.6 no.1, 2018년, pp.27 - 30  

김일환 (전자컴퓨터통신공학과, 한양대학교) ,  박준성 (전자컴퓨터통신공학과, 한양대학교) ,  박재근 (전자컴퓨터통신공학과, 한양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pendency of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silicon solar-cells on the depth of damaged layer induced by wire-sawing process was investigated. To compare cell efficiency with residual sawing damage, silicon solar-cells were fabricated by using as-sawn wafers having different depth of saw d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와이어 소잉 공정으로 발생하는 데미지 층이 태양전지 셀의 전기적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와이어 소잉 데미지가 셀 효율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와이어 소잉 데미지 층의 깊이가 다른 3종류의 실리콘 웨이퍼들을 데미지 에칭을 하지 않고 태양전지 셀을 제작하여 개방 전압(open-circuit voltage, Voc ), 단락 전류(short-circuit current, Jsc ), 곡선인자(fill factor, FF), 전력변환효율(power conversion efficiency, PCE)과 같은 셀의 전기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 우리는 와이어 소잉 공정으로 인해 생성되는 실리콘 내 데미지 층에 대한 실리콘 태양전지 셀의 전기적 특성의 의존성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초기 와이어 소잉 데미지 층의 깊이가 깊을수록 와이어 소잉 데미지 층을 제거하지 않고 제조한 태양전지 셀의 JSC 및 FF 값이 감소하어 셀 효율의 저하를 야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양전지의 제조비용중 셀 제작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신재생 에너지가 각광받게 되면서 많은 연구자들은 태양전지의 셀 효율을 높이며 동시에 태양전지의 제조비용을 줄이기 위해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1,2) . 특히 태양전지의 제조비용중 셀 제작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이 실리콘 웨이퍼이다. 실리콘 웨이퍼 가격이 차지하는 비율은 셀 단위에서는 70% 이상, 모듈 단위에서도 40% 이상으로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3) .
태양광 웨이퍼를 제조할때 얇은 다이아몬드 와이어가 필수적인 이유는? 최근에는 하나의 잉곳에서 더 많은 웨이퍼를 생산하기 위하여 더욱 얇은 다이아몬드 와이어를 적용하고 있다. 얇은 다이아몬드 와이어는 웨이퍼의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키며 실리콘 절단 손실(Si kerf)을 줄일 수 있다 4-8) . 또한 현재 180 µm 수준인 웨이퍼 두께가 Si kerfloss를 줄이기 위하여 점차 감소되는 추세에서 얇은 다이아몬드 와이어가 필수적이다.
어떤 물질이 웨이퍼의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키며 실리콘 절단 손실을 줄일 수 있는가? 최근에는 하나의 잉곳에서 더 많은 웨이퍼를 생산하기 위하여 더욱 얇은 다이아몬드 와이어를 적용하고 있다. 얇은 다이아몬드 와이어는 웨이퍼의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키며 실리콘 절단 손실(Si kerf)을 줄일 수 있다 4-8) . 또한 현재 180 µm 수준인 웨이퍼 두께가 Si kerfloss를 줄이기 위하여 점차 감소되는 추세에서 얇은 다이아몬드 와이어가 필수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M. A. Green, Y. Hishikawa, W. Warta, E. D. Dunlop, D. H. Levi, J. Hohl-Ebinger, A. W. Y. Ho-Baillie, "Solar cell efficiency tables (version 50)", Progress in Photovoltaics: Research and Applications, Vol. 25, pp. 668-676, 2017. 

  2. H. J. Moller, C. Funke, M. Rinio, S. Scholz, "Multicrystalline silicon for solar cells", Thin Solid Films, Vol.487, pp. 179-187, 2005. 

  3. A. Louwen, W. van Sark, R. Schropp, A. Faaij, "A cost roadmap for silicon heterojunction solar cells", Sol. Energy Mater. Sol. Cells, Vol. 147, pp. 295-314, 2016. 

  4. B. Sopori, S. Devayajanam, S. Shet, D. Guhabiswas, P. Basnyat, H. Moutinho, L. Gedvilas, K. Jones, J. Binns, "Characterizing damage on si wafer surfaces cut by slurry and diamond wire sawing", J. Appel, Photovoltaic Specialists Conference (PVSC), pp. 0945-0950, 2013. 

  5. C. W. Hardin, J. Qu, J. Shih, "Fixed abrasive diamond wire saw slicing of single-crystal silicon carbide wafers", Mater. Manuf. Process. Vol. 19, No. 2, pp. 355-367, 2004. 

  6. K. Chen, Y. Liu, X. Wang, L. Zhang, X. Su, "Novel texturing process for diamond-wire-sawn single-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 Sol. Energy Mater. Sol. Cells Vol. 133, pp. 148-155, 2015. 

  7. N. Watanabe, Y. Kondo, D. Ide, T. Matsuki, H. Takato, I. Sakata, "Characterization of polycrystalline silicon wafers for solar cells sliced with novel fixed-abrasive wire", Prog. Photovolt: Res. Appl. Vol. 18, pp. 485-490, 2010. 

  8. X. Yu, P. Wang, X. Li, D. Yang, "Thin Czochralski silicon solar cells based on diamond wire sawing technology", Sol. Energy Mater. Sol. Cells Vol. 98, pp. 337-342, 2012. 

  9. A. Kumar, S. Kaminski, S. N. Melkote, C. Arcona, "Effect of wear of diamond wire on surface morphology, roughness and subsurface damage of silicon wafers", Wear, Vol. 364, pp. 163-168, 2016. 

  10. W. Chen, X. Liu, M. Li, C. Yin, L. Zhou, "On the nature and removal of saw marks on diamond wire sawn multicrystalline silicon wafers", Mater. Sci. Semicond. Process Vol. 27, pp. 220-227, 2014. 

  11. J. M. Kim, Y. K. Kim, "Saw-damage-induced structural defects on the surface of silicon crystals", J. Electrochem. Soc. Vol. 152, No. 3, pp. G189-G192, 2005. 

  12. B. Sopori, S. Devayajanam, P. Basnyat, "Surface characteristics and damage distributions of diamond wire sawn wafers for silicon solar cells", AIMS Materials Science Vol. 3, No. 2, pp. 669-685, 2016. 

  13. H. Seogneur, E. J. Schneller, N. S. Shiradkar, W. V. Schoenfeld, "Effect of diamond wire saw marks on solar cell performance", Energy Procedia Vol. 92, pp. 386-391, 2016. 

  14. P. Fath, G. Wileke, E. Bucher, J. Szlufcik, R. M. Murti, K. De Clercq, J. Nijs, R. Mertens, "Mechanical wafer engineering for high efficiency solar cells: an investigation of the induced surface damage", Proc. 24th IEEE Photovoltaic Specialists Conf., Vol. 2, pp. 1347-1350,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