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층이 있는 구조물의 지진응답을 위한 원심모형실험
Centrifuge Test for Earthquake Response of Structures with Basements 원문보기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v.20 no.4, 2016년, pp.223 - 234  

김동관 (센구조연구소, 연구개발부) ,  박홍근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김동수 (한국과학기술원, 건설 및 환경공학과) ,  하정곤 (한국과학기술원, 건설 및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earthquake responses of structures with basements affected by soil deposits, centrifuge tests were performed using an in-flight earthquake simulator. The test specimen was composed of a single-degree-of-freedom structure model, a basement and sub-soil deposits in a centrifuge contain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축물의 지하층은 무엇으로 활용되고 있는가? 건축공간이 협소한 국내에서는 많은 건축물에 지하층이 설치되어 상업 시설 및 주차장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내진설계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지하층은 지반과 같이 거동하는 가정으로 지반분류의 기준면을 지표면으로 한 지반계수를 적용하여 상부구조물에 대한 내진설계를 하고, 지하층은 지진에 대한 구조해석 및 설계에 포함되지 않는다.
내진설계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지하층은 어떻게 하는가? 건축공간이 협소한 국내에서는 많은 건축물에 지하층이 설치되어 상업 시설 및 주차장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내진설계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지하층은 지반과 같이 거동하는 가정으로 지반분류의 기준면을 지표면으로 한 지반계수를 적용하여 상부구조물에 대한 내진설계를 하고, 지하층은 지진에 대한 구조해석 및 설계에 포함되지 않는다. 또는 많은 해석연구에서 질량이 없는 강체로 가정된 지하층에 의해 지반에 의한 구조물 응답의 증폭을 감소시키고 있다[1-3].
원심모형시험기를 사용하여 지반 및 구조물을 모사하여 지진응답실험을 수행한 이유는? 깊이가 깊은 지반조건에 대해 지구중력장(1 g gravity field)에서 지진응답실험을 수행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KAIST에서 운영하고 있는 원심모형시험기를 사용하여 지반 및 구조물을 모사하여 지진응답실험을 수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Seismic analysis of safety-related nuclear structures and commentary. ASCE 4-98. c2000. 

  2. FEMA 440. Improvement of Nonlinear static seismic analysis procedures.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Washington DC. c2004. 

  3. Elsabee F, Morray JP. Dynamic behavior of embedded foundations, Rpt. No. R77-33, Dept. of Civil Engrg., MIT. c1977. 

  4. Lee DG, Kim HS. Efficient seismic analysis of high-rise buildings considering the basements. Proceedings of NZSEE 2001. c2001. 

  5. AIK, Korea Building Cod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Korea. c2009. 

  6. Schofield AN. Cambridge geotechnical centrifuge operations, Geotechnique, 1980; 25:229-267. 

  7. Kim MK, Lee SH, Choo YW, Kim DS. Seismic behaviors of earth-core and concrete-faced rockfill dams by dynamic centrifuge tests. SOIL DYN EARTHQ ENG. 2011;31:1579-1593. 

  8. Schofield AN, Zeng X. Design and Performance of an Equivalent Shear Beam (ESB) Container for Earthquake Centrifuge Modeling. Technical Report TR245. Cambridge: Department of Engineering. c1992. 

  9. Lee SH, Choo YW, Kim DS. Performance of an equivalent shear beam (ESB) model container for dynamic geotechnical centrifuge tests. SOIL DYN EARTHQ ENG. 2013;44:102-114. 

  10. Kim DS, Yoon JK. Development of New Site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Regions of Shallow Bedrock in Korea. EESK J. Earthquake Eng. 2006; 10:331-358. 

  11. Lee SH, Sun CK, Yoon JG, Kim DS.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 new site classification system and site coefficients for regions of shallow bedrock in Korea. J EARTHQ ENG. 2012; 16(6):795-819. 

  12. Chopra AK. Dynamics of structures. PrenticeHall. c2007. 

  13. Pacitic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Internet]. Available from: http://peer.berkeley.edu/smcat/search.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