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거기반 임상실무지침: 장루간호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 Ostomy Care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6 no.2, 2020년, pp.154 - 163  

이윤진 (세브란스병원) ,  박현숙 (세브란스병원) ,  김민경 (서울삼성병원) ,  서희원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  이미주 (서울아산병원) ,  원은애 (강남세브란스병원) ,  조가나 (한양대학교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vidence-based guideline for stoma management providing institutional policy, assessment, complications and follow-up care. Methods: The guideline adaptation manual consisting of 23 steps developed by the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최신의 근거를 기반으로 한 정보제공 및 적절한 합병증 관리에 대한 치료법을 제공하기 위해 근거기반 간호실무지침의 개발이 필요하다. 근거기반 실무지침은 다양한 분야에서의 축적된 지식을 갖춘 전문가들의 노력과 시간을 통해 개발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어 본 연구는 국내 의료 환경의 현실과 정책 변화에 맞추어 지침서 개발을 하기 위해 이미 개발된 근거기반 실무지침서를 참고로 하여, 대상자와 돌봄 제공자,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관련 의료인들에게 최신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였으며, 빠른 확산을 통한 표준화된 장루간호의 용이성 증진을 꾀하기 위해 수용개작 방법을 선택하여 진행하였다. 따라서 임상현장에서 장루조성술을 시행 받은 환자교육 및 치료를 위한 보다 과학적이고, 국내 실무에 적합한 지침서 개발을 통해 수술 전후 관리와 합병증 치료, 대상자와 보호자, 의료진의 표준화된 교육뿐만 아니라 의료진과 대상자 개개인이 처해있는 상황과 이용 가능한 자원이 고려된 근거기반의 장루간호 임상실무지침서를 개발하였다.
  • 본 연구는 장루간호에 대한 양질의 국외 근거기반 실무지침서를 확인하고, 한국보건의료원 임상진료지침정보센터에서 발간한 임상실무지침 수용개작 매뉴얼[25]에 따른 수용개작 방법을 통해 국내 의료기관에서의 의료진을 교육하고 장루간호에 대한 근거기반의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근거기반의 장루간호 임상실무지침서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장루조성술과 관련하여 장루의 위치와 높이에 국한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장루와 요루조성술의 수술적 방법이나 기술에 관해 서술하고 있지 않다. 대부분의 권고안 내용이 조성술 전 · 후 간호로 교육과 상담, 수술 전 장루 위치선정에 초점을 두고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장루간호를 위한 장루 위치 선정을 포함한 수술 전·후 간호, 합병증 관리와 이를 사정하는 방법, 교육, 퇴원 후 관리에 대한 근거기반 장루간호 임상실무지침서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으로 장루조성술을 시행받을 경우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은? 특히 응급으로 장루조성술을 시행 받은 환자의 경우 장루 주위 피부 문제가 더욱 흔하게 발생하여 이로 인한 장루관리의 어려움으로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밖에도 장루를 통한 잦은 배변, 항문 분비물, 가스조절의 어려움, 직업 복귀 및 성생활의 어려움, 여행 및 여가활동의 제한 등으로 인하여 장루보유자는 삶의 질의 저하를 경험한다[10,14]. 선행연구에서도, 수술방법, 방사선 치료 시기 및 활동 정도, 성생활 만족도, 희망, 건강증진 행위 등의 요인들이 대장 직장암을 가진 장루보유자의 삶의 질 정도와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제시하였고[15-19], 대상자의 암에 대한 적응은 물론 장루 보유에 따른 신체적, 정신적 어려움을 경험하면서 삶의 질에 심각한 위협을 받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0].
장루조성술로 인한 합볍증 발생률은? 장루조성술을 시행 받은 환자의 교육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합병증 관리는 대상자의 삶의 질 향상에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다루어지고 있다[5]. 국외 장루 관련 합병증 발생률은 10.0~67.0%, 국내 장루 관련 합병증 발생률은 5.0~51.3%로 매우 다양한 분포를 보인다[6-9]. 이중 장루 및 요루 주위 피부 합병증은 수술 후 21~40일 이내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합병증이며 대표적으로 배설물 누출과 관련된 피부의 화학적 손상과 피부감염을 들 수 있다[10-15].
2017년 기준 영구적 장루 및 요루 보유자 현황은? 우리나라 전국 장애인 15가지 유형별 등록 현황 중 장루조성술을 시행 받거나 방광암으로 인한 방광 제거술 시행 후 요루조성술을 시행 받은 복원이 불가능한 영구적 장루 및 요루 보유자 현황을 살펴보면, 2017년 기준 총 14,309명으로 전체 등록 장애인 2,668,411명의 0.03%를 차지하고 있고 장루 및 요루 보유자는 국내에 등록된 약 260만명의 15가지 유형별 장애 인구 중 그 비율이 1.0%에 미치지 못하는 소수 장애 유형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hanges in the incidence of disabled people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cited 2018 Dec 10].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32S0102&conn_pathI2. 

  2. National Cancer Center.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15.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Apr. Report No 11-1352000-000145-10. 

  3. Klink CD, Lioupis K, Binnebosel M, Kaemmer D, Kozubek I, Grommes J, et al. Diversion stoma after colorectal surgery: Loop colostomy or ileostomy? International Journal of Colorectal Disease. 2011;26(4):431-436. https://doi.org/10.1007/s00384-010-1123-2 

  4. Mueller MH, Geis M, Glatzle J, Kasparek M, Meile T, Jehle EC, et al. Risk of fecal diversion in complicated perianal Crohn's disease. Journal of Gastrointestinal Surgery. 2007;11(4):529-537. https://doi.org/10.1007/s11605-006-0029-3 

  5. Park SU, Cho KS. Functional outcomes and quality of life after orthotopic bladder substitution in bladder cancer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Urological Oncology. 2015;13(1):11-16. 

  6.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Details and examination guidelines on the application cirteria and methods of medical care benefits. Wonju: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7. 

  7. Bass EM, Del Pino A, Tan A, Pearl RK, Orsay CP, Abcarian H. Does preoperative stoma marking and education by the enterostomal therapist affect outcome? Diseases of the Colon & Rectum. 1997;40(4):440-442. https://doi.org/10.1007/bf02258389 

  8. Chaudhri S, Brown L, Hassan I, Horgan AF. Preoperative intensive, community-based vs. traditional stoma educ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iseases of the Colon & Rectum. 2005;48(3):504-509. https://doi.org/10.1007/s10350-004-0897-0 

  9. Karadag A, Mentes BB, Uner A, Irkorucu O, Ayaz S, Ozkan S. Impact of stoma therapy o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permanent colostomies or ileostomies. International Journal of Colorectal Disease. 2003;18(3):234-238. https://doi.org/10.1007/s00384-002-0462-z 

  10. Sung YH, Kwon I, Jo S, Park S. Factors affecting ostomy-related complications in Korea. Journal of Wound Ostomy & Continence Nursing. 2010;37(2):166-172. https://doi.org/10.1097/won.0b013e3181cf7b76 

  11. Salvadalena GD. The incidence of stoma and peristomal complications during the first 3 months after ostomy creation. Journal of Wound Ostomy & Continence Nursing. 2013;40(4):400-406. https://doi.org/10.1097/won.0b013e318295a12b 

  12. Colton B, McKenzie F, Sheldon J, Smith A, Tappe AT, Woolley D. Global stoma care challenges: A united approach. World Council of Enterostomal Therapists Journal. 2005;25(4):15-21. 

  13. St-Cyr D. An evaluation of the Canadian ostomy assessment guide. Ostomy wound management. 2002;48(8):26-32. 

  14. Stott C, Graaf L, Morgan P, Fairbrother G. Complications, coping and subjective feedback among patients following stoma surgery: A predictive study. World Council of Enterostomal Therapist Journal. 2002;22(4):16-22. 

  15. Krouse R, Grant M, Ferrell B, Dean G, Nelson R, Chu D. Quality of life outcomes in 599 cancer and non-cancer patients with colostomies. Journal of Surgical Research. 2007;138(1):79-87. https://doi.org/10.1016/j.jss.2006.04.033 

  16. Kim HK.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its 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rectal cancer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3. p. 1-59. 

  17. Kim SM, Oh PJ. A study on the hope,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996;8(1):169-179. 

  18. Engel J, Kerr J, Schlesinger-Raab A, Eckel R, Sauer H, Holzel D. Quality of life in rectal cancer patients: A four-year prospective study. Annals of Surgery. 2003;238(2):203-213. https://doi.org/10.1097/01.sla.0000080823.38569.b0 

  19. Sprangers MA, te Velde A, Aaronson NK. The construction and testing of the EORTC colorectal cancer-specifi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module(QLQ-CR38). Europrean Journal of Cancer. 1999;35(2):238-247. https://doi.org/10.1016/s0959-8049(98)00357-8 

  20. Lee YJ. Coping and quality of life in ostomates with rectal cancer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6. p. 1-89. 

  21. Registered Nurses' Association of Ontario. Ostomy care and management. Toronto(ON): Registered Nurses' Association of Ontario; 2009. 

  22. World Council of Enterostomal Therapists. WCET international ostomy guidelines. Perth: World Council of Enterostomal Therapists; 2014. 

  23.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es Society. Clinical guideline: Management of the adult patient with a fecal or urinary ostomy. Mount Laurel(NJ):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es Society; 2017. 

  24. Ewing G. The nursing preparation of stoma patients for selfcare. Journal of Advanced Nursing.1989;14(5):411-420. https://doi.org/10.1111/j.1365-2648.1989.tb01549.x 

  25. Kim SY, Kim NS, Shin SS, Gi SM, Lee SJ, Kim SH, et al. Manual for guideline adaptation(Version 2.0).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1. 

  26. Choi BR. RAM(RAND/UCLA appropriateness method) applied to decision making method. HIRA Policy Trends. 2010;4(1):58-62. 

  27. Gu MO, Cho YA, Cho MS, Eun Y, Jeong JS, Jung IS, et al. Adaptation of intravenous infusion nursing practice guidelin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3;19(1):128-142. https://doi.org/10.22650/JKCNR.2013.19.1.128 

  28. Mermel LA, Allon M, Bouza E, Craven DE, Flynn P, O'Grady NP,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intravascular catheter-related infection: 2009 Update by the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2009;49(1):1-45. https://doi.org/10.1086%2F599376 

  29. Cho SE, Seo WY. Wellfare Needs and Policy Direction in Ostomymates. Seoul: Korean Disabled people's Developement Institute; 2018 Jun. Report No.: Policy 18-0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