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물반응 인공습지 내 DOM 변동 및 저감효과 평가
Evaluation of DOM Variations and Reduction Effects in Bioreation Artificial Wetland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7 no.6, 2018년, pp.582 - 594  

주광진 (경희대학교 환경응용과학과) ,  이종준 (경희대학교 환경응용과학과) ,  김태경 (경희대학교 환경응용과학과) ,  최이송 (경희대학교 환경응용과학과) ,  장광현 (경희대학교 환경학 및 환경공학과) ,  주진철 (한밭대학교 환경공학과) ,  오종민 (경희대학교 환경학 및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생물반응 인공습지용존유기물질의 변동 및 저감특성을 모니터링할 목적으로 수직 수평 흐름 습지를 직렬로 복합 적용하여 호기, 혐기상태의 흐름조건을 만들어 주었고 기능성 여재를 충진한 인공습지를 고안하여 아크릴 반응조로 제작 후 성능평가를 진행하였다. 수직 수평의 인공습지의 경우 호기 및 혐기조건을 평가하기 위해 반응조 내 용존산소(DO) 농도를 측정해본 결과 호기상태의 수직흐름인공습지에서는 2.7 mg/L, 혐기상태의 수평 흐름인공습지에서는 N.D.로 측정되어 운전조건에 부합하였다. 운전시간은 140 min, 80 min, 60 min으로 변경하며 실험을 진행을 하였으며, 운전시간에 따른 자연폭기시간 20 min을 동일하게 설정해 주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운전시간 모두 미생물의 활동으로 인한 결과를 보였으며, 3D-EEM에서는 운전시간을 길게 가져갈수록 난분해성 휴믹계물질구역인 III, V구역의 유기물에서 높은 저감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저감효과에 대한 메커니즘 분석에 대한 연구는 추가로 진행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지만, 본 연구결과는 향후 인공습지를 활용한 난분해성 물질의 저감을 위한 기술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vertical and horizontal flow wetlands were combined in series to create conditions for flow in the exhalation and anaerobic state with the aim of monitoring the variability and reduction of dissolved organic matterin the bio-reactive artificial wetlands, and the performance assess...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하천 및 호소 오염물질 처리 기술인 인공습지의 흐름을 변형한 공법을 설계하여 DOM물질의 제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고 새로운 습지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반응조를 구성하고 각 운전 cycle별 시간에 따른 형광분석을 통해 비교·평가함으로써 기존의 인공습지 보다 높은 처리효율을 갖고 효율성 높은 수질오염 억제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용존유기물질은 무엇인가? 용존유기물질(dissolved organic matter, DOM)은 하천, 호소, 지하수, 해수, 침출수, 하폐수 등 어디에나 존재하는 물질로써 자연유기물(natural organic matter, NOM)로 부터 유래한다. 자연유기물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되는데 토양 서식 동식물의 잔재와 부식물 등 휴믹화작용을 거쳐 형성되는 난분해성물질과 미생물 생리작용 및 자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단백질, 탄수화물, 유기산등의 생분해성 물질로 구분된다(Hur 2006).
인공습지의 단점은 무엇인가? 하천의 오염물질을 저감·관리하는 기술 중 인공습지는 습지가 보유하고 있는 능력과 침전, 미생물 분해, 식생을 이용하여 정화능력을 극대화 시켜 수질오염물질을 저감하는 시설로 수질정화에 있어 다양한 장점이 있지만, 상대적으로 체류시간이 길고, 처리효율이 낮으며, 넓은 부지면적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어 현장 적용 시 실용적 측면에서 어려움이 있다(Choi 2009).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여재를 활용하여 컴팩트한 구조로 설계 하였으며, 수직·수평 흐름에 의한 호기, 혐기조건을 조성하고 유입-운전-자연폭기 방식의 간헐흐름식 처리를 함으로서 오염물질 저감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화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인공습지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하였는가? 하천의 오염물질을 저감·관리하는 기술 중 인공습지는 습지가 보유하고 있는 능력과 침전, 미생물 분해, 식생을 이용하여 정화능력을 극대화 시켜 수질오염물질을 저감하는 시설로 수질정화에 있어 다양한 장점이 있지만, 상대적으로 체류시간이 길고, 처리효율이 낮으며, 넓은 부지면적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어 현장 적용 시 실용적 측면에서 어려움이 있다(Choi 2009).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여재를 활용하여 컴팩트한 구조로 설계 하였으며, 수직·수평 흐름에 의한 호기, 혐기조건을 조성하고 유입-운전-자연폭기 방식의 간헐흐름식 처리를 함으로서 오염물질 저감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화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ker A. 2001. Fluorescence excitation-emission matrix characterization of some sewageimpacted rivers.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35(5): 948-953. 

  2. Birdwell JE, Valsara KT. 2010. Characterization of dissolved organic matter in fogwater by excitation-emission matrix fluorescence spectroscopy. Atmospheric Environment. 44: 3246-3253. 

  3. Chen W, Westerhoff P. LeenHeer LA, Booksh K. 2003. Fluorescence excitation-emission matrix regional integration to quantify spectra for dissolved organic matter.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37(24): 5701-5710. 

  4. Chen Z, Hu C, Conmy RN, Muller-Karger F, Swarzenski P. 2007. Colored dissolved organic matter in Tampa Bay. Florida. Marine Chemistry. 104: 98-109. 

  5. Choi DH. 2009. A Study on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n Constructed Wetland Based on Various Mechanisms. Docto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6. Coble PG. 1996. Characterization of marine and terrestrial DOM in seawater using excitation-emission matrix spectroscopy. Marine chemistry. 51(4): 325-346. 

  7. Hudson N, Baker A, Reynolds D. 2007. Fluorescence analysis of dissolved organic matter in natural waste and polluted waters-a review. River Research and Applications. 23(6): 631-649. 

  8. Huguet A, Vacher L, Relexans S, Saubusse S, Froidefond JM, Parlanti E. 2009. Properties of fluorescent dissolved organic matter in the Gironde Estuary. Organic Geochemistry. 40: 706-719. 

  9. Hunt JF, Ohno T. 2007. Characterization of fresh and decomposed dissolved organic matter using excitation-emission matrix fluorescence spectroscopy an multiway analysi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5: 2121-2128. 

  10. Hur J, Sin SG, Park SW. 2006. Characterizing Fluorescence Properties of Dissolved Organic Matter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of Rivers and Lakes. J. of KSEE. 28(9): 940-948. 

  11. Lakowicz JR. 2013. Principles of fluorescence spectroscop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2. Lee DH. 2016. Molecular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oil and sediment humic substances and correlation with phenanthrene sorption parameters. Docto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13. Lee EJ, Yoo GY, Jeong Y, Kim KU, Park JH & Oh NH. 2015. Comparison of UV-VIS and FDOM sensors for in situ monitoring of stream DOC concentrations. Bio geosciences. 12(10): 3109-3118. 

  14. Lee KC, Park YJ, Kim YR, Park JY, Lee HG, Jegal BC. 2014. Formation Characteristics and Controls of Disinfection By-products in G Drinking Water Treatment Processes. The report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27: 148-172. 

  15. Lee SK, Park MS, Yeon SJ, Park DH. 2016. Optimization of chemical precipitation for phosphate removal from domestic wastewater. Journal of Korea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30(6): 663-671 

  16. Malcolm RL. 1985. Geochemistry of Stream Fulvic and Humic Substances. In Humic Substances in soil, sediment, and water: Geochemistry,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Edited by G. R. aiken, D. M. Mcknight, R. L. Wershaw and P. MacCarthy.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17. McKnight DM, Boyer EW, Westerhoff PK, Doran PT, Kulbe T, Andersen DT. 2001. Spectrofluorometric characterization of dissolved organic matter for indication precursor organic material and aromaticity. Limnology and Oceanography. 46: 38-48. 

  18.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Future bureau of Creativity.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ulti-server Joint planning report: Safe constant supply from algal bloom. 

  19.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F). 2010. The increasing treand of regratory organic matters and the management plans for the han river basin, Hangang Sugye Gwanri Wiwonhoe. 

  20. Park YH. 2017. Study on the characterization of dissolved organic matter in groundwater and surfacewater with fluorescence analy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1. Shim JH, Kim SJ, Gang MG, Lee SI. 2016. Evaluation of Magnetite-Loess Composite as a Flocculant for Phosphorus Removal. KSWST Jour. Wat. Treat. 24(3): 39-48. 

  22. Stedmon CA, Markager S, Bro R. 2003. Tracing dissolved organic matter in aquatic environments using a new approach to fluorescence spectroscopy. Marine Chemistry. 82(3): 239-254. 

  23. Steinberg G, Muenster V. 1985. Geochemistry and Eco-logical Role of Humic Substances in Lake water. In Humic Substances in soil, sediment, and water: Geochemistry,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Edited by G. R. aiken, D. M. Mcknight, R. L. Wershaw and P. MacCarthy.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24. United S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90. Environmental Regulation and Technology: Autothermal Themophilic Aerobic Digestion of Municipal Wastewater Sludge. EPA/625/10-90/007. 

  25. Wen C, Paul W, Jerry A, Leenheer Karl. B. 2003. Fluorescence Excitation-Emission Matrix Regional Integration to Quantify Spectra for Dissolved Organic Matter. Environ. Sci. Technol. 37(24): 5701-5710. 

  26. Wetzel RG. 2001. Limnology: Lake and River Ecosystems. Elsevier academic press, New York. 

  27. Zsolnay A, Baigar E, Jimenez M, Steinweg B, Saccomandi F. 1999. Differentiating with fluorescence spectroscopy the sources of dissolved organic matter in soil subjected to drying. Chemosphere. 38: 45-5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