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부시추공 처분시스템의 국내적용 가능성 예비 평가
Preliminary Evaluation of Domestic Applicability of Deep Borehole Disposal System 원문보기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16 no.4, 2018년, pp.491 - 505  

이종열 (한국원자력연구원) ,  이민수 (한국원자력연구원) ,  최희주 (한국원자력연구원) ,  김경수 (한국원자력연구원) ,  조동건 (한국원자력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기준개념으로 개발하여 상용화 단계에 있는 심층 동굴 처분기술에 대한 대안으로서 지질학적 조건이 더 안정적인 지하 3~5 km의 심도에 사용후핵연료를 포함한 고준위폐기물을 처분하는 심부시추공 처분기술의 국내 적용 가능성을 예비 평가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심부시추공 처분개념의 기술적 적용성 분석에 필요한 국내 기반암 분포특성 및 심부시추공 처분부지 적합성 평가 기술 분석과 대구경 심부시추기술을 평가하였다. 이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심부시추공 처분시스템 설계 기준 및 요건에 적합한 심부시추공 처분용기 및 밀봉시스템 개념을 설정하여 예비 기준 심부시추공 처분 개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예비 기준 처분시스템에 대하여 열적 안정성 및 그래픽 처분환경에서의 처분공정 모사 등 다양한 성능평가를 수행하고 이들을 종합하여 심부시추공 처분시스템의 국내 적용성에 대하여 다양한 관점에서의 예비평가를 수행하였다. 결론적으로, 심부시추공 처분시스템은 처분심도와 단순한 방법으로 인하여 안전성 및 경제적 타당성 측면에서 많은 장점이 있지만, 불확실성을 줄이고 인허가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이 기술에 대한 현장실증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결과는 사용후핵연료 관리 국가정책 수립을 위한 공학적 근거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심부시추공 처분기술에 관심을 갖는 방사성폐기물 관리 이해당사자들에게 필요한 정보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n alternative to deep geological disposal technology, which is considered as a reference concept, the domestic applicability of deep borehole disposal technology for high level radioactive waste, including spent fuel, has been preliminarily evaluated. Usually, the environment of deep borehole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심부시추공 처분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원자력환경과 지하 5 km 심도의 지질 및 지화학 조건이 심부시추공 처분에 적합한가를 우선 확인하여야 하며, 대구경 장심도 굴착장비 및 조사장비와 이들 장비의 운용기술이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적합성과 관련 기술의 확보 가능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수행하고 있는 지열산업에서의 시추 및 탐사기술과 심층 동굴 처분시스템 개발기술과 연계하여 지질학적 조건이 더 안정적인 지하 3~5 km의 심도에 고준위폐기물을 처분하는 심부시추공 처분기술의 국내 적용 가능성 및 타당성을 예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기반암 분포특성 및 심부시추공 처분부지 적합성 평가 기술을 분석하고 심부시추기술을 평가하였다.
  • 국내에서 심부시추공 탐사기술 현황은 방사성 폐기물 처분 연구를 수행하는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는 심도 1,000 m 정도까지의 시추공 탐사가 가능하며,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경우 심도 3,000 m 정도까지 탐사할 수 있고 향후 추가적인 기술을 확보하여 5,000 m 이상 심도의 시추공 탐사가 가능하도록 할 계획에 있다[13]. 또한, 심부에서의 지질 및 지하수 화학특성 분석 기술은 심부시추 시 채취한 코어에 대한 탄소 및 우라늄 등 동위원소 분석을 통하여 확보하고자 하였다. Fig.
  • 본 논문에서는 예비 기준 심부시추공 처분개념 및 성능평가를 위하여, 국내 사용후핵연료 발생특성에 대한 연구[15]결과를 근거로 향후 국내에서 주로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 초기농축도 4.5wt% 방출연소도 55 GWd/MtU을 갖는 Plus7 16×16 핵연료를 기준핵연료로 선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심부시추공 처분용기 개념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하 5 km 심도까지 시추공을 뚫어 3~5km 구간에 공학적방벽 개념으로 사용후핵연료를 포함하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처분하고, 처분구간 상부부터 지표까지 (3 km ~ 지표)의 구간은 벤토나이트, 콘크리트 등으로 밀봉하여 지표 생태계와 완전하게 격리시키는 개념인 심부시추공 처분기술의 국내 적용성을 예비평가 하였다. 즉, 심부시추공 처분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원자력환경과 지하 5 km 심도의 지질 및 지화학 조건이 심부시추공 처분에 적합한가를 우선 확인하여야 하며, 대구경 장심도 굴착장비 및 조사장비와 이들 장비의 운용기술이 확보되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부시추공 처분시스템의 장점은? 그리고 도출된 예비 기준 처분시스템에 대하여 열적 안정성 및 그래픽 처분환경에서의 처분공정 모사 등 다양한 성능평가를 수행하고 이들을 종합하여 심부시추공 처분시스템의 국내 적용성에 대하여 다양한 관점에서의 예비평가를 수행하였다. 결론적으로, 심부시추공 처분시스템은 처분심도와 단순한 방법으로 인하여 안전성 및 경제적 타당성 측면에서 많은 장점이 있지만, 불확실성을 줄이고 인허가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이 기술에 대한 현장실증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결과는 사용후핵연료 관리 국가정책 수립을 위한 공학적 근거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심부시추공 처분기술에 관심을 갖는 방사성폐기물 관리 이해당사자들에게 필요한 정보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심부시추공처분기술이란? 특히, 핀란드에서는 사용후핵연료 심층 동굴 처분시설에 대한 건설 인허가를 획득하여 상용화 단계에 있다. 이에 대한 대안개념인 심부시추공처분기술(DBD : Deep Borehole Disposal)은 지하 3~5 km의 심도에 고준위폐기물을 처분하고 처분구간 위쪽부터 지표까지 (3 km ~ 지표)의 구간은 벤토나이트, 콘크리트 등으로 밀봉하여 생태계와 완전하게 격리시키는 개념이다[1]. 이 개념은 지각변동에 의한 영향이 적고, 지질구조가 균질하며 단순하여 지질학적 특성이 보다 안정적인 조건이라는 장점이 있다(Fig.
미국의 심부시추공 기술의 진행단계는? 이러한 심부시추공 처분개념은 미국에서 1950년대부터 고려해온 개념[2]으로서 근래 석유시추산업과 이산화탄소 저장사업, 지열발전사업 및 지구과학 탐구목적의 시추공 굴착기술이 획기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최근 미국과 스웨덴 등을 중심으로 심부시추공 처분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자국에 적합한 기준개념 및 관련 기술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현장실험 단계에 있으며, 현재 현장실험 부지 선정절차를 수행하던 중 미국 정부의 예산지원 중지로 인하여 연구수행에 어려움이 있지만, 지속적인 연구를 재개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3]. 스웨덴의 경우 NGO 기관들이 심부시추공처분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수행을 요구함에 따라 SKB를 중심으로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4-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W. Arnold, P.V. Brady, S.J. Bauer S. Pye, C. Herrick, and J. Finger, Reference design and operations for deep borehole disposal of high-level radioactive waste, Sandia National Laboratories Report, SAND2011-6749, 13-38 (2011). 

  2.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The Disposal of Radioactive Waste on Land (1957), Accessed Jun. 29 2017. Available from: https://www.nap.edu/catalog/10294/the-disposal-of-radioactive-waste-on-land. 

  3. K.A. McMahon, Deep Borehole: Disposal Concept and Field Test, Developing Spent Fuel Strategies: Regional Workshop, May 29 - June 1, 2017, Tokyo (2017). 

  4. Svensk Karnbranslehantering AB (SKB), Project on Alternative Systems Study (PASS) Final Report, SKB Technical Report, TR 93-04, 96-102 (1993). 

  5. Karl-Inge AAhaall, Final Deposition of High-level Nuclear Waste in Very Deep Boreholes, MKG Report 2, 11-16 (2006). 

  6. Swedish National Council for Nuclear Waste (KASAM), Deep boreholes ; An alternative for final disposal of spent nuclear fuel, Report from KASAM's questionand- answer session, 49-55 (2007). 

  7. H. Yoon, S. Shin and S. In, A Study on Demonstration of Deep Geothermal Drilling Technology, HJ D&B Report-2013, 72-114 (2013). 

  8. S.H. Ji, Y.K. Ko and J.W. Choi, "The State-of-the Art of the Borehole Disposal Concept for High Level Radioactive Waste", J. Nucl. Fuel Cycle Waste Technol., 10(1), 55-62 (2012). 

  9. K.S. Kim, D.G. Cho, S.H. Ji and J.W. Choi, State-ofthe-Art Report on the Very Deep Borehole Disposal Concept for High-level Radioactive Wast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report, KAERI/AR-929/2012 (2012). 

  10. T.J. Lee and Y.H. Song, Development of Exploitation Technologies for Geothermal Resources,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report, KIGAM GP2007-002-03-2 (2008). 

  11. K.Y. Kim,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in Drilling Technology for Enhanced Geothermal System", KSCE 2011, 59(9), 16-25 (2011). 

  12. J.Y. Lee, M.S. Lee, H.J. Choi, G.Y. Kim and K.S. Kim, Preliminary Evaluation for Domestic Applicability of Deep Borehole Disposal Technology,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report, KAERI/RR-4314/2017, 83-93 (2017). 

  13. T.J. Lee, Status of Well logging and investigation for Deep borehole, July 2016 Seminar at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2016). 

  14. J. Beswick, STATUS OF TECHNOLOGY FOR DEEP BOREHOLE DISPOSAL, Contract No. NP 01185, 5-11, April 2008. 

  15. D.K. Cho, J.W. Choi and P.S. Hahn, "Current Status and Projection of Spent Nuclear Fuel for Geological Disposal System Design", J. Nucl. Fuel Cycle Waste Technol., 4(1), 87-93 (2006). 

  16. M.S. Lee, J.Y. Lee, H.J. Choi, and S.H. Ji, "Evaluation of Silicon Carbide (SiC) for Deep Borehole Disposal Canister", J. Nucl. Fuel Cycle Waste Technol., 16(2), 233-242 (2018). 

  17. H.J. Choi, M.S. Lee and J.Y. Lee, New Concept of EBS for HLW Deep Borehole Disposal, Proceeding of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spring 2014 Conference, 12(1), 163-164, May 7-9, 2014, Pyeongchang, Republic of Korea. 

  18. P.V. Brady, B.W. Arnold, G.A. Freeze, P.N. Swift, S.J. Bauer, J.L. Kanney, R.P. Rechard, and J.S. Stein, Deep Borehole Disposal of High Level Radioactive Waste, Sandia National Laboratories Report, SAND2009-4401 (2009). 

  19. US Department of Energy, Yucca Mountain Science and Engineering Report, DOE/RW-0539-1, US DOE, 2-16 (2002). 

  20. J.Y. Lee, M.S. Lee, H.J. Choi, G.Y. Kim and K.S. Kim, "Preliminary Analyses of the Deep Geo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for the Deep Borehole Disposal of High-level Radioactive Waste in Korea", J. Nucl. Fuel Cycle Waste Technol., 14(2), 181-190 (2016). 

  21. B. Arnold and T. Hagdu, THERMAL-HYDROLOGIC MODELING OF A DEEP BOREHOLE DISPOSAL SYSTEM, Presentation at the International High-Level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Conference, April 28-May 2, 2013, Albuquerque, NM. 

  22. T. Hadgu, B. Arnold, J. Lee, G. Freeze, P. Vaughn, Sensitivity Analysis of Seals Permeability and Performance Assessment of Deep Borehole Disposal of Radioactive Waste, Sandia National Laboratories Report, SAND2012-1118C (2012). 

  23. E.J. Bonano and G. Appel, PERFORMANCE ASSESSMENT AS A MANAGEMENT TOOL FOR PRIORITIZING NUCLEAR WASTE PROGRAM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IES, Sandia National Laboratories Report, SAND2011-5949C (2011). 

  24. Y.M. Lee, H.J. Choi, and K.S. Kim, "A preliminary comparison study of two options for disposal of highlevel waste", Progress in Nuclear Energy, 90, 229-239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