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사성폐기물의 심층 처분을 위한 부지특성조사 방법론 해외 사례 연구
Review of Site Characterization Methodology for Deep Geological Disposal of Radioactive Waste 원문보기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15 no.3, 2017년, pp.239 - 256  

박경우 (한국원자력연구원) ,  김경수 (한국원자력연구원) ,  고용권 (한국원자력연구원) ,  조영욱 (한국원자력연구원) ,  지성훈 (한국원자력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방사성폐기물 지층 처분을 위한 부지 선정 과정에서 심층 처분장의 안전성을 평가하는데 필요한 입력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부지특성조사를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부지특성조사를 선도하여 수행하였던 해외 사례를 분석하고, 국내에서 방사성폐기물 처분을 위해 수행해야 할 부지특성조사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IAEA가 고려하는 부지특성조사 방법은 단계별 부지특성조사로 본 논문에서 소개된 해외의 경우도 이 방법을 따르고 있는데, 부지특성조사는 시기별, 조사 항목별로 다수의 지역에서 개략적인 부지의 정보를 도출하는 예비 부지특성조사와 조사 결과 선정된 지역에서 보다 자세한 부지특성자료를 생산하기 위한 상세 부지특성조사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상세 부지특성조사 단계에서는 조사지역에 장심도 시추공을 굴착하여 심부 영역에 대한 지질 특성을 바탕으로, 수리지질, 수리-지화학, 암석역학, 열, 용질이동에 대한 특성을 도출해야 한다. 단계별 부지특성조사를 통해 도출된 부지 고유의 지질환경 특성은 부지특성모델로 구축되어야 하는데, 이를 종합하여 해석해야 비로소 조사지역의 부지특성을 이해하고, 지층 처분에 보다 유리한 부지를 최종 후보지역으로 선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해외 사례를 살펴본 결과, 부지특성조사 단계에 소요되는 시간은 대략 7~8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나, 이를 계획하고 수행하는 시스템이 뒷받침 되지 않을 경우 보다 지연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ocess of site selection for a radioactive waste disposal, site characterization must be carried out to obtain input parameters to assess the safety and feasibility of deep geological repository. In this paper, methodologies of site characterization for radioactive waste disposal in Korea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스웨덴은 부지특성조사 프로그램을 예비 부지특성조사 단계와 상세 부지특성조사단계로 구분하여 수행내용을 비교적 상세히 기술하고 있으며, 핀란드, 일본, 스위스의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웨덴의 부지특성조사 프로그램을 기준으로 국내의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수행하였던 시추조사 프로그램을 참조하여 향후 국내에서 수행해야 할 부지특성조사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1, 9, 10, 11].
  • 본 논문에서는 방사성폐기물 처분 연구를 선도한 해외 국가 중 스웨덴, 핀란드, 일본의 사례를 토대로 각국에서 수행하거나 계획 중인 부지 선정의 방법과 부지특성조사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부지선정 방법은 IAEA에서 제안한 개념설정 단계, 후보부지 도출단계, 후보 부지에 대한 부지특성화 단계, 부지확정단계의 단계별 부지선정 방법을 따르고 있으며, 부지특성화 단계에서는 예비 부지특성조사와 상세 부지특성조사로 구분하여 수행하고 있다.
  • 본 논문에서는 방사성폐기물 처분을 위해 다양한 부지특성조사를 선도하여 수행하였던 SKB (스웨덴)의 사례를 기준으로 NAGRA (스위스), POSIVA (핀란드), JAEA (일본) 등이 수행한 부지특성조사 방법을 종합하여 국내에서 수행해야 할 처분을 위한 부지특성조사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후보부지 도출단계 후 부지특성화에 진입한다. 부지특성화 단계의 주요 목적은 후보부지 도출단계에서 선정된 후보부지 중 심층처분부지로 보다 적합한 부지를 선택하는 것이다.
  • 상세 부지특성조사 단계에서 수행하는 수리지질조사는 후보지역에서 현장 시험을 통해 이미 구축된 지질모델의 각 요소에 대한 수리지질 특성을 도출하여 지하수 유동 및 지화학 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수리지질모델을 구축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 상세 부지특성조사 단계에서 암반의 용질이동 특성조사를 통해 처분장에서 누출된 핵종이 생태계까지 흘러가는 유동 경로에서의 흡착, 분산, 확산 등의 지연 현상을 규명하고, 천연 암반의 용질 이동에 대한 저항성을 규명한다.
  • 또한, 충격식 시추공을 이용하여 비교적 큰 규모의 암반 손상대 해석을 위한 수직탄성파 탐사를 수행하는데, 이 수직탄성파 탐사 결과를 시추공과 지표면에서 수행한 반사법 탄성파 탐사 결과와 비교하여 지질구조 분석하고, 부지특성조사 결과에 반영한다. 심부 코아 시추공에서도 위에서 기술한 지구물리탐사를 수행할 수 있지만 주요 목적은 심부 환경에 대한 수리지질특성, 수리 지화학 특성, 암반 역학적 특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심부 코아 시추공에서는 수리지질조사, 수리지화학조사, 암반역학 실험 등의 다양한 현장 실험을 수행하며, 암반과 암반 손상대에 대한 조사 지역의 부지특성 자료를 도출한다.
  • 상세 부지특성조사 단계에서는 조사 지역의 심부환경을 구성하고 있는 기반암에 대한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암석역학 조사를 수행한다. 암석역학 조사의 주요 목적은 조사 지역의 지하 암반에서 응력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무결암과 무결암 내부에 존재하는 변형 및 강도 특성에 대한 자료를 획득하는 데에 있으며, 이러한 암석 역학적 자료는 향후 처분장이 건설될 심부 암반에 대한 공학적 안정성을 평가하고, 처분장 건설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인위적 균열 여부를 예측할 수 있게 해 준다.
  • 암반이나 토양층의 특성에 대한 야외 지질조사와 실험실에서 시추코어 표본의 지질학적 특성을 분석하면 조사지역의 부지특성모델의 주요 요소인 암반대에 대한 생성 연대, 주요 지질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예비 부지특성조사단계에서부터 연속적으로 신기 지구조 운동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여 활동성 단층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도록 한다[10].
  • 상세 부지특성조사 단계에서는 야외 지질조사(Field Geological Investigation)를 보다 상세하게 수행하여 예비 부지특성조사 단계의 지구물리탐사 결과로부터 확인된 단층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지질도 등 문헌에서 기재한 조사지역의 지질 특성을 확인해야 한다. 이와 함께 토양층의 분포 범위, 두께 등에 대해서도 조사한다. 야외 지질조사에서 확인된 조사지역의 지질특성, 단층에 대한 방향성과 크기, 토양층의 두께 등에 대한 정보는 부지특성조사 결과 구축되는 지질모델의 기본적인 요소인 토양층, 기반암, 단열대 혹은 전단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 특히 지표 생태계를 조사할 때, 부지의 지하수 유동 특성을 고려하여 함양 영역이 아닌 배출 영역에서 우세한 생태종 및 미고결 퇴적층에 대해 보다 자세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에 대한 모니터링은 심층 처분장 건설·운영·폐쇄 이후의 기간에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최종적으로는 처분에 따른 생태계의 변화를 관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특히, 현장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부지특성통합모델을 구축할 때, 각 현장조사 자료를 어떻게 해석하고, 무엇을 개념화하는지, 그리고 어떤 모델링을 통해 최종적으로 어떤 결과를 도출할 것인지에 대한 과정을 도식화하여 각 항목에 대한 흐름도를 구현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인 연구 개발이 가능토록 하였다(Fig. 5)[14].

가설 설정

  • 수리지질조사를 수행하기 이전에 후보 부지를 포함한 광역적 규모의 영역에서 지하수의 유동 형태를 먼저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분석은 지형 구배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는데, 지하수의 흐름이 고지대에서 저지대로 지형에 따라 흐른다는 기본적인 가정에 근거한다. 야외 지질조사와 마찬가지로 수리지질조사도 야외 조사를 통해 실제 조사지역에 존재하는 함양대(Recharge Area) 및 배출대(Discharge Area)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면 지형 구배의 분포에 대한 정보와 함께 광역적 지하수 유동을 파악할 수 있으며, 지표 수계를 포함한 지하수 유동의 경계 또한 알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지특성조사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부지특성조사(Site Characterization)는 지상 시설물을 건설하거나, 지하 공동을 건설하여 부지를 직접 이용하는 과정에서 사전에 수행해야 하는 지질 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조사를 의미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국토가 좁고 인구가 많은 국가의 경우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지하 공간을 고려할 수 밖에 없으며, 더욱이 지하철 및 도로 터널, 석유저장탱크, 지하유류/가스 비축기지 등 반드시 지하 공간을 활용해야 할 기간 시설물의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지하 환경을 대상으로 하는 부지특성조사의 중요성은 확대되고 있다.
방사성폐기물 처분을 위한 부지특성조사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방사성폐기물 처분을 위한 부지특성조사는 일반적인 부지특성조사에 비해 공간적으로 그 깊이가 확장되는데, 지표에서 100 m 이내의 심도를 대상으로 하는 일반적인 부지특성조사와는 달리, 처분 심도 보다 확장되어 심도 500 m 이상까지의 깊이를 대상으로 한다[4]. 따라서 부지특성조사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조사 결과의 불확실성도 크다.
부지특성조사의 중요성이 우리나라에서 확대되고 있는 배경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부지특성조사(Site Characterization)는 지상 시설물을 건설하거나, 지하 공동을 건설하여 부지를 직접 이용하는 과정에서 사전에 수행해야 하는 지질 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조사를 의미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국토가 좁고 인구가 많은 국가의 경우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지하 공간을 고려할 수 밖에 없으며, 더욱이 지하철 및 도로 터널, 석유저장탱크, 지하유류/가스 비축기지 등 반드시 지하 공간을 활용해야 할 기간 시설물의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지하 환경을 대상으로 하는 부지특성조사의 중요성은 확대되고 있다. 특히, 방사성폐기물의 심층 처분과 관련하여 정확한 지하 환경에 대한 이해는 처분장의 건설 안정성 및 처분 안전성의 제고를 위해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 Strom, K.E. Almen, J. Andersson, R. Christiansson, S. Follin, A. Hedin, S. Pettersson, and J.O. Selroos, Geoscientific Programme for Investigation and Evaluation of Sites for the Deep Repository, SKB TR-00-20, SKB (2000). 

  2. C.S. Jang, K.W. Lee, and S.H. Baik, Site Investigation in Korea-state of the Art Report, Seminar on Geotechnical Investigation Committe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1999.12, 107-148 (1999). 

  3. K.Y. Kim, C.Y. Kim, S.B. Yim, H.S. Yun, and Y.S. Seo, "A Study on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Face Mapping during Tunnel Construction",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16(3), 265-273 (2006). 

  4. I.S. Park, "Decision Criteria for Interval and Depth of Drilling Investigation", Conference on Drilling Investigation and In-situ Geological Test, Korean Society of Engineering Geology, 2002.11, 21-46 (2002). 

  5. J.W. Choi, D.S. Bae, S.H. Ji, G.Y. Kim, K.S. Kim, Y.K. Koh, J.S. Kwon, K.W. Park, J.H. Ryu, D.K. Cho, W.J. Cho, H.J. Choi, J.S. Kim, D.H. Kook, J.Y. Lee, M.S. Lee, J.H. Park, M.H. Baik, J.T. Jung, C.H. Kang, J.W. Kim, S.S. Kim, N.Y. Ko, J.K. Lee, J. O. Lee, S.Y. Lee, Y.M. Lee, J.K. Park, and T.J. Park. Geological Disposal of Pyro-processed Waste Form PWR Spent Nuclear Fuel in Korea, KAERI/TR-4525/2011, KAERI (2011). 

  6. IAEA, Siting of Geological Disposal Facilities: A Safety Guide, Safety Series No 111-G-4.1, STI/PUB/952 (1994). 

  7. T. McEwen, T. Aikas, The Site Selection Process for a Spent Fuel Repository in Finland -Summary Report, POSIVA 2000-15, POSIVA (2005). 

  8. NUMO, Evaluating Site Suitability for a HLW Repository, NUMO-TR-04-04, NUMO (2004). 

  9. U. Thoregren, Final Disposal of Spent Nuclear Fuel-Standard Programme for Site Investigations, SKB TR-83-31, SKB (1983). 

  10. K.E. Almen, R. Stanfors, L. Stenberg, I. Rhen, M. Morosini, R. Christiansson, A. Fredriksson, P. Wikberg, A. Safvestad, A.C. Nilsson, A. Strom, P. Andersson, U. Kautsky, T. Lindborg, L. Ekman, E. Thurner, and J. Andersson. Site Investigation methods and General Execution Programme, SKB TR-01-29, SKB (2001). 

  11. K.W. Park, Y.K. Koh, G.Y. Kim, and J.S. Kwon. Detail Drilling Program for In-situ Investigation in Granitic Area, KAERI-TR-4789/2012, KAERI (2004). 

  12. J. Andersson, A. Storm, and C. Svemar, What Requirements Does the KBS-3 Repository Make on the Host Rock?, SKB TR-00-12, SKB (2000). 

  13. J. Andersson, K.E. Almen, L.O. Ericsson, A. Fredriksson, F. Karlsson, R. Stanfors, and A. Strom. Parameters of Importance to Determine During Geoscientific Site Investigation. SKB TR-98-02, SKB (1998). 

  14. NAGRA, Geosynthese Wellenberg 1996, Ergebnisse der Untersuchungsphasen I und II, National Cooperative for the Disposal of Radioactive Waste, Technical Report NTB 96-01, NAGRA (1997). 

  15. K. Hatanaka, H. Osawa, and H. Umeki, "Geosynthesis: Testing a Safety Case Methodology", Proc. of Third AMIGO Workshop on Approaches and challenges for the use of geological information in the safety case, April 15-18, France (2008). 

  16. K. Ota, H. Abe, T. Yamaguchi, T. Kunimaru, E. Ishii, H. Kurikami, G. Tomura, K. Shibano, K. Hama, H. Matsui, T. Niizato, K. Takahashi, S. Niunoya, H. Ohara, K. Asamori, H. Morioka, H. Funaki, N. Shigeta, and T. Fukushima, Horonobe Underground Research Laboratory Project ; Synthesis of Phase I Investigations 2001-2005, Volume "Geoscientific Research", JAEA-Research 2007-044, JAEA (2007). 

  17. H. Saegusa, Y. Seno, S. Nakama, T. Tsuruta, T. Iwatsuki, K. Amano, R. Takeuchi, T. Matsuoka, H. Onoe, T. Mizuno, T. Ohyama, K. Hama, T. Sato, M. Kuji, H. Kuroda, T. Semba, M. Uchida, K. Sugihara, and M. Sakamaki. Final Report on the Surface-based Investigation (Phase-I) at the Mizunami Underground Laboratory Project, JAEA-Research 2007-043, JAEA (2007). 

  18. J.H. Yun, "Current Status and Future Plan for Research URL Project of Korea", Workshop on 'The 10th Anniversary of KURT Project',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May 24-26, 2017, Bus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