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질환자들에 동반된 기능성 위장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Psychosocial Factors Influence the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 among Psychiatric Patients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6 no.1, 2018년, pp.1 - 8  

강등현 (원광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장승호 (원광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류한승 (원광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  최석채 (원광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  노승호 (원광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백영석 (원광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이혜진 (원광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이상열 (원광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위장질환(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 이하 FGID)이 동반된 정신질환자들의 정신사회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일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외래를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Rome III questionnaire - Korean version에 따라 FGID를 선별하여 14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인구학적 요인을 조사하였으며, 정신사회적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Hospital Anxiety Depression Scal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15,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Korean,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과 교차분석(chi-square test)을 사용하였다. 결 과 FGID에 따른 집단간 비교에서 학력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chi}^2=10.139$, p=0.017). FGID 집단에 따른 정신질환의 차이에서는 과민성 대장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이하 IBS)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chi}^2=11.408$, p=0.022) IBS 집단은 불안(t=-3.106, p=0.002), 우울증상(t=-2.105, p=0.037), 신체증상(t=-3.565, p<0.001), 특성분노(t=-3.683, p<0.001), 분노-억제(t=-2.463, p=0.015), 분노-표출(t=-2.355, p=0.020)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기능성 소화불량(Functional dyspepsia) 집단에서는 불안(t=-4.893, p<0.001), 우울증상(t=-3.459, p<0.001), 신체증상(t=-7.906, p<0.001), 특성분노(t=-4.148, p<0.001), 상태분노(t=-2.181, p=0.031), 분노-억제(t=-2.684, p=0.008), 분노-표출(t=-3.005, p=0.003)지표가 유의하게 높았다. 비미란성 위식도 역류증(Nonerosive reflux disease) 집단에서는 불안(t=-4.286, p<0.001), 우울증상(t=-3.402, p<0.001), 신체증상(t=-7.162, p<0.001), 특성분노(t=-2.994, p=0.003), 상태분노(t=-2.259, p=0.025), 분노-억제(t=-2.772, p=0.006), 분노-표출(t=-2.958, p=0.004)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정신질환자에서 FGID의 유병률이 매우 높고, 다양한 정신사회적 변인들이 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정신의학적 접근은 FGID 환자를 더 잘 이해하고 치료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 (FGID) in patients with psychiatric disorders.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44 outpatients visiting the psychiatric clinic at a university hospital. FGIDs were screene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현재까지 FGID 환자들의 정신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어온 반면, 정신질환자들이 경험하는 FGID에 대한 연구는 대상자의 수와 질환군의 종류, 평가도구의 타당성 등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신질환자들을 대상으로 FGID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사회적 요인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FGID를 경험하는 정신질환자들의 정신사회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정신질환자의 FGID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학력에서 FGID에 따른 집단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능성 위장질환의 대표적인 질환은 무엇인가? 기능성 위장질환(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 이하 FGID)이란 위장관 증상을 나타내나 기질적 원인을 찾을 수 없는 질환군으로, 로마기준 III (Rome III criteria)에서는 해부학적 위치에 따른 특징적 임상 양상에 따라 28개로 세분하였다.1) 그 중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뚜렷한 기질적 이상 없이 복부 불편감과 배변습관의 변화가 나타나는 과민성 대장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이하 IBS)과 위산의 역류 및 상복부 통증, 가슴 쓰림 등을 주 증상으로 하는 기능성 흉부작열감(Functional heartburn), 배변 횟수의 저하와 잔변감 등이 나타나는 기능성 변비(Functional constipation, 이하 FC), 상복부 팽만감, 조기 만복감 등을 주 증상으로 하는 기능성 소화불량(Functional dyspepsia, 이하 FD)등이 있다.
기능성 위장질환이란 무엇인가? 기능성 위장질환(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 이하 FGID)이란 위장관 증상을 나타내나 기질적 원인을 찾을 수 없는 질환군으로, 로마기준 III (Rome III criteria)에서는 해부학적 위치에 따른 특징적 임상 양상에 따라 28개로 세분하였다.1) 그 중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뚜렷한 기질적 이상 없이 복부 불편감과 배변습관의 변화가 나타나는 과민성 대장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이하 IBS)과 위산의 역류 및 상복부 통증, 가슴 쓰림 등을 주 증상으로 하는 기능성 흉부작열감(Functional heartburn), 배변 횟수의 저하와 잔변감 등이 나타나는 기능성 변비(Functional constipation, 이하 FC), 상복부 팽만감, 조기 만복감 등을 주 증상으로 하는 기능성 소화불량(Functional dyspepsia, 이하 FD)등이 있다.
FGID의 원인은 무엇인가? FGID의 병리적 증상은 다양하지만 증상과 병태생리가 일치하지 않아 그 치료는 쉽지 않다. 소화기내과를 방문하는 환자 중 20~50%는 증상을 설명할 기질적 원인을 발견할 수 없었으며2) 그 원인으로 소화기계의 운동장애, 소화효소의 활성 저하, 신경 전달물질의 불균형, 감염 및 심리적 요인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Mayer3)는 FGID를 생리적 요인 뿐만 아니라 정서, 인지 및 행동적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위장관 증상을 일으킨다는 다중요인모형을 바탕으로 한 뇌-장관 상호작용(brain-gut interaction)을 통해 설명했다.4) 뇌-장관 상호작용이란 위장관의 신호가 구심성 척수신경(afferent spinal nerve)과 구심성 미주신경(afferent vagus nerve)을 통해 전달되고 하행성 뇌 피질-변연계의 신호(descending cortico-limbic signal)는 환경적 스트레스 요인, 공포, 분노 등에 의해 변화된 인지, 감정으로부터 발생되어 주로 세로토닌에 의해 위 장관의 5-HT3, 5-HT4 수용체를 통해 영향을 끼쳐 증상을 일으키기도 한다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Drossman DA. The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and the Rome III process. Gastroenterology 2006;130:1377-1390. 

  2. Thompson WG, Heaton KW. Functional bowel disorders in apparently healthy people. Gastroenterology 1980;79:283-288. 

  3. Mayer EA. Emerging disease model for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Am J Med 1999;107:12-19. 

  4. Mayer EA, Tillisch K, Bradesi S. Review article: modulation of the brain-gut axis as a therapeutic approach in gastrointesti- nal disease. Aliment Pharmacol Ther 2006;24:919-933. 

  5. Kim DY, Camilleri M. Serotonin: a mediator of the brain-gut connection. Am J Gastroenterol 2000;95:2698-2709. 

  6. Creed F.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parameters and outcome in irritable bowel syndrome. Am J Med 1999;107: 74-80. 

  7. Kang SG, Kim HJ, Lee SY, Cha MJ, Hwang HH. A study of anger, alexithymia, and depression in the functional dyspepsia. J Korean Acad Fam Med 2002;23:881-889. 

  8. Jang SH, Ryu HS, Choi SC, Lee HJ, Lee SY. A study of ef- fects of psychosocial factors and quality of life on functional dyspepsia in firefighters. Korean J Psychosom Med 2016;24: 66-73. 

  9. Yang XJ, Jiang HM, Hou XH, Song J. Anxiety and depres- sion in patients with gastroesophageal refux disease and their effect on quality of life. World J Gastroenterol 2015;21:4302- 4309. 

  10. Oreski I, Jakovljevic M, Aukst-Margetic B, Crncevic Orlic Z, Vuksan-Cusa B. Comorbidity and multimorbidity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similarities and dif- ferencies. Psychiatr Danub 2012;24:80-85. 

  11. Molloy CA, Manning-Courtney P. Prevalence of chronic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children with autism and autistic spectrum disorders. Autism 2003;7:165-171. 

  12. Noyes R, Cook B, Garvey M, Summers R. Reduction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following treatment for panic disorder. Psychosomatics 1990;31:75-79. 

  13. Lydiard R. Increased prevalence of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in panic disorder: clin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CNS Spectr 2005;10:899-908. 

  14. Vakil N, van Zanten SV, Kahrilas P, Dent J, Jones R. The montreal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 global evidence-based consensus. Am J Gastrol 2006;101:1900-1920. 

  15. Upadhyaya AK, Stanley I. Hospital anxiety depression scale. Br J Gen Pract 1993;43:349-373. 

  16. Oh SM, Min KJ, Park DB.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for Korean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9;38:289-296. 

  17. Forgays DG, Forgays DK, Spielberger CD. Factor structure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J Pers Assess 1997; 69:497-507. 

  18. Hahn DW. Korean adaptat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K): The case of college students. Korean J Health Psychol 1998;3:18-32. 

  19. Yu JH, Park JS, Park DH, Yu SH, Ha JH. Validation of the Korean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the practical use in counselling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Korean J Health Psychol 2009;4:563-578. 

  20. Kim DH, Park SC, Yang HJ, Oh D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short form for psychiatric outpatients. Psychiatry Investig 2011;8:305-311. 

  21. Kroenke K, Spitzer RL, Williams JB, Lowe B.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somatic,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 scales: a systematic review. Gen Hosp Psychiatry 2010;32:345-359. 

  22. Han C, Pae CU, Patkar AA, Masand PS, Kim KW, Joe SH, Jung IK.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15 (PHQ-15) for measuring the somatic symptoms of psychiatric outpatients. Psychosomatics 2009;50:580-585. 

  23. Koloski NA, Talley NJ, Boyce PM. Epidemiology and health care seeking in the functional GI disorders: a population-based study. Am J Gastroenterol 2002;97:2290-2299. 

  24. Kim PH, Kim HS.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stress, mental health, and social support in community residents. J Korean Public Health Nurs 2010;24:197-210. 

  25. Lydiard RB, Fossey MD, Marsh W, Ballenger JC. Prevalence of psychiatric disorders in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Psychosomatics 1993;34:229-234. 

  26. Modabbernia, MJ, Mansour-Ghanaei F, Imani A, Mirsafa-Moghaddam SA, Sedigh-Rahimabadi M, Yousefi-Mashhour M, Bidel S. Anxiety-depressive disorders among irritable bowel syndrome patients in Guilan, Iran. BMC Res Notes 2012;5:112-118. 

  27. Cardno AG, Gottesman II. Twin studies of schizophrenia: from bow-and-arrow concordances to star wars Mx and functional genomics. Am J Med Genet A 2000;97:12-17. 

  28. Lee SP, Sung IK, Kim JH, Lee SY, Park HS, Shim CS. The effect of emotional stress and depression on the prevalence of digestive diseases.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15;21:273- 282. 

  29. Pinto-Sanchez MI, Ford AC, Avila CA, Verdu EF, Collins SM, Morgan D. Anxiety and depression increase in a step- wise manner in parallel with multiple FGID and symptom se- verity and frequency. Am J Gastroenterol 2015;110:1038-1048. 

  30. Foster JA, Neufeld KAM. Gut-brain axis: how the microbi- ome infuences anxiety and depression. Trends Neurosci 2013; 36:305-312. 

  31. Vanuytsel T, Van Wanrooy S, Vanheel H, Vanormelingen C, Verschueren S, Houben E, Van Oudenhove L. Psychological stress and corticotropin-releasing hormone increase intestinal permeability in humans by a mast cell-dependent mechanism. Gut 2014;63:1293-1299. 

  32. Larauche M. Novel insights in the role of peripheral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 and mast cells in stress-induced visceral hypersensitivity.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12;2:201-205. 

  33. Levy RL, Olden KW, Naliboff BD, Bradley LA, Francisconi C, Drossman DA, Creed F. Psychosocial aspects of the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Gastroenterol 2006;130: 1447-1458. 

  34. Drossman DA, Leserman J, Nachman G, Li Z, Gluck H, Toomey TC, Mitchell CM. Sexual and physical abuse in women with functional or organic gastrointestinal disorders. Ann Intern Med 1990;113:828-833. 

  35. Bennett EJ, Piesse C, Palmer K, Badcock CA, Tennant CC, Kellow JE.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psychological, social, and somatic features. Gut 1998;42:414-420. 

  36. Bennett EJ, Evans P, Scott AM, Badcock CA, Shuter B, Hoschl R, Kellow JE. Psychological and sex features of delayed gut transit in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Gut 2000; 46:83-87. 

  37. Spielberger CD, Krasner SS, Solomon EP. The experience, expression, and control of anger: Individual differences, stress, and health psychology. New York: N.Y. Springer;1988. p.89-1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