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친환경 의류지식과 의식이 친환경 의류소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co-friendly clothing knowledge and consciousness on ecological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6 no.6, 2018년, pp.982 - 993  

권경숙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  이규혜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sumers' interests in the environment have been growing; hence, their consciousness about the environment has changed and affected their clothing shopping behavior. Prior study indicated attitude-behavior inconsistency in eco-friendly consumer behavior. It was because consumers' consciousness or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의류제품 소비자가 환경과 관련된 지식수준이 어떠한지, 또한 의류제품과 관련된 환경문제에 대하여 소비자가 가지고 있는 의식이 실제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다른 소비자 변인의 역할에 대하여도 알아보고자 한다.
  • 최근의 연구에서는 세제의 사용과 같이, 사용 및 관리 부분에서의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이나 관리뿐 아니라 쇼핑과 구매과정 등 의류제품의 소비 전과정에 걸쳐 나타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특히 의류제품 소비자가 환경과 관련된 지식수준이 어떠한지, 또한 의류제품과 관련된 환경문제에 대하여 소비자가 가지고 있는 의식이 실제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 사회적 책임과 지속적인 소비에 대한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지만, 대부분 환경에 의식이나 인식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수준에서 접근한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의류제품의 소비라는 상황에 한정하여 친환경 지식과 의식을 개념화하고 이에 따라 실증적 연구에서의 측정이 이루어졌다. 또한 친환경 소비행동을 쇼핑, 구매, 사용, 처분의 네 가지 영역으로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환경의식보다는 의류소비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측면의 환경의식에 대하여 접근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의 결과를 고려하면 의류소비과정에서의 환경의식은 환경지식으로부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관련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의류소비행동은 미래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인다는 측면에서 친환경 생태계에 대한 관심까지를 포함한다는 관점에서 Sharma and Bansal(2013)이 사용한 ecological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라는 영문명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의류 소비 전과정에 걸친 행동을 보기 위하여 구매과정의 전 단계로 쇼핑과정을 추가하여 친환경 쇼핑, 구매, 사용, 처분의 네 가지 행동 영역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의류소비행동의 영역을 쇼핑, 구매, 사용, 처분의 네 가지 행동으로 살펴보았다. 친환경 의류의식이 환경 친화적 의류 소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회책임의식, 건강지향 의식, 자원절약의식을 독립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Table 3).
  • 연구문제1. 의복 관여도가 친환경 의류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 연구문제4. 주관적 규범이 친환경 의류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 연구문제3. 친환경 의류의식이 친환경 의류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 연구문제2. 친환경 의류지식이 친환경 의류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 본 연구에서는 사용이나 관리뿐 아니라 쇼핑과 구매과정 등 의류제품의 소비 전과정에 걸쳐 나타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특히 의류제품 소비자가 환경과 관련된 지식수준이 어떠한지, 또한 의류제품과 관련된 환경문제에 대하여 소비자가 가지고 있는 의식이 실제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다른 소비자 변인의 역할에 대하여도 알아보고자 한다.
  • 환경 친화적 의류 소비 행동을 알아보기 위해 의류 제품을 쇼핑, 구매, 사용, 처분할 때 환경에 대해 의식하고 행동하는가에 관하여 물었다. 환경 친화적 행동을 나타내는 내용을 수정 보완하여 쇼핑행동 3문항, 구매행동 10문항, 사용행동 4문항, 처분행동 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icosia and Mayer가 구분한 사회적 맥락에서 개인의 소비행동에 대해 설명하여라. Nicosia and Mayer(1976)는 사회적 맥락에서 개인의 소비행동을 구매, 사용, 처분의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구매 전에 소비자는 여러 가지 정보를 탐색한 후 평가를 하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구매 행동(purchase behavior)이 이루어지는데, 의류의 경우 품질, 가격이나 디자인뿐 아니라 친환경소재로 만들어진 제품인지, 혹은 제품의 생산과정에서 환경문제가 적은 과정을 거쳤는지 등의 정보가 소비자의 구매에 영향을 줄수 있기 때문에 환경과 관련된 행동에도 구매행동이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구매 후의 관리나 처분에 있어서 이후에 일어날 환경적인 문제까지를 예상하여 미리 인식하기 때문에 구매행동과의 연관성을 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Park and Suh(1998)는 의류소비과정에서 처분행동과 비교할 때 구매행동에서 환경을 의식하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내용을 보고하였다.
의류제품 소비의 기본 특성은? 의류제품은 단순히 품질이나 금전적 가치에 의한 소비가 이루어지기보다는 과시적이고 또한 유행과 관련된 속성에 따라 소비되는 경향이 크다(Basmann, Molina, & Slottje, 1988). 타인과 구별되는 속성을 추구하며, 또한 지나간 패션이기보다는 새로운 패션에 소구하는 것은 의류제품 소비의 기본 특성이다. 따라서 기능적으로도 문제가 없는 상품이 심미적인 속성때문에 불필요해지고 새로운 구매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의류제품의 소비경향은 어떠한가? 의류제품은 단순히 품질이나 금전적 가치에 의한 소비가 이루어지기보다는 과시적이고 또한 유행과 관련된 속성에 따라 소비되는 경향이 크다(Basmann, Molina, & Slottje, 1988). 타인과 구별되는 속성을 추구하며, 또한 지나간 패션이기보다는 새로운 패션에 소구하는 것은 의류제품 소비의 기본 특성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lba, J. W., & Hutchinson, J. W. (1987). Dimensions of consumer expertis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3(4), 411-454. doi:10.1086/209080 

  2. Baker, T. L., Hunt, J. B., & Scribner, L. L. (2002). The effect of introducing a new brand on consumer perceptions of current brand similarity: The roles of product knowledge and involvement.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10(4), 45-57. doi:10.1080/10696679.2002.11501925 

  3. Basmann, R. L., Molina, D. J., & Slottje, D. J. (1988). A note on measuring Veblen's theory of conspicuous consumption.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70(3), 531-535. doi:10.2307/1926796 

  4. Bettman, J. R. (1979). Memory factors in consumer choice: A review. Journal of Marketing, 43(2), 37-53. doi:10.2307/1250740 

  5. Bettman, J. R., & Park, C. W. (1980). Effects of prior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phase of the choice process on consumer decision processes: A protocol analysi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7(3), 234-248. doi:10.1086/208812 

  6. Bhardwaj, V., & Fairhurst, A. (2010). Fast fashion: Response to changes in the fashion industry. The International Review of Retail, Distribution and Consumer Research, 20(1), 165-173. doi:10.1080/09593960903498300 

  7. Bick, R., Halsey, E., & Ekenga, C. C. (2018). The global environmental injustice of fast fashion. Environmental Health, 17:92, 1-4. doi:10.1186/s12940-018-0433-7 

  8. Birtwistle, G., & Moore, C. M. (2007). Fashion clothing-where does it all end up?.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35(3), 210-216. doi:10.1108/09590550710735068 

  9. Carlson, J. P., Vincent, L. H., Hardesty, D. M., & Bearden, W. O. (2009). Objective and subjective knowledge relationships: A quantitative analysis of consumer research finding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5(5), 864-876. doi:10.1086/593688 

  10. Chang, G. H., & Park, J. O. (1997). The effects of the socially responsible clothing consumption attitude on the clothing disposition behavior (Part 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1(4), 795-805. 

  11. Diekmann, A., & Preisendorfer, P. (1998). Environmental behavior: Discrepancies between aspirations and reality. Rationality and Society, 10(1), 79-102. doi:10.1177/104346398010001004 

  12. D'Souza, C., Taghian, M., & Lamb, P. (2006).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labels on consumers. Corporate Communications: An International Journal, 11(2), 162-173. doi:10.1108/13563280610661697 

  13. Fishbein, M., &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Wesley. 

  14. Flynn, L. R., & Goldsmith, R. E. (1999). A short, reliable measure of subjective knowledg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46(1), 57-66. doi:10.1016/S0148-2963(98)00057-5 

  15. Gendall, P., Smith, T. W., & Russell, D. (1995). Knowledge of scientific and environmental facts: A comparison of six countries. Marketing Bulletin, 6, 65-74. 

  16. Hines, J. M., Hungerford, H. R., & Tomera, A. N. (1987). Analysis and synthesis of research on responsible environmental behavior: A meta-analysis.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18(2), 1-8. doi:10.1080/00958964.1987.9943482 

  17. Jung, Y.-J., Park, O.-L., & Ha, J.-K. (2006). The effect of the clothing benefits sought on the enviromental awareness and environment-friendly consuming behavior.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8(6), 639-646. 

  18. Kim, B. M., & Lee, J. M. (1997). The research on the disposal of unused cloths: Focusing on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5(2), 19-32. 

  19. Kim, H.-S., & Damhorst, M. L. (1998). Environmental concern and apparel consumption.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6(3), 126-133. doi:10.1177/0887302X9801600303 

  20. Kim, S. W., Rhee, M. S., Lee, H. I., Kwon, O. J., & Lee, J. Y. (1998). Consumption life and recycling (I): Focused on clothing.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6(9), 107-125. 

  21. Kim, Y. S. (2014). Impacts of health and environment consciousness on pro-environmental clothing purchasing and disposal behavior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2(3), 371-382. doi:10.7741/rjcc.2014.22.3.371 

  22. Ku, Y.-S., & Choo, T.-G. (1996). A study on body cathexis and clothing involvement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4(5), 29-39. 

  23. Laurent, G., & Kapferer, J.-N. (1985). Measuring consumer involvement profil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2(1), 41-53. doi:10.2307/3151549 

  24. Minton, A. P., & Rose, R. L. (1997).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concern on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er behavior: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40(1), 37-48. doi:10.1016/S0148-2963(96)00209-3 

  25. Mostafa, M. M. (2007). Gender differences in Egyptian consumers' green purchase behaviour: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knowledge, concern and attitude.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31(3), 220-229. doi:10.1111/j.1470-6431.2006.00523.x 

  26. Nicosia, F. M., & Mayer, R. N. (1976). Toward a sociology of consump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2), 65-75. doi:10.1086/208653 

  27. Noh, M.-J., Ahn, H.-S., & Jang, S.-H. (2010).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al concern and environmental knowledge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green IT product: Considering involvement.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3(1), 361-383. 

  28. O'Cass, A. (2004). Fashion clothing consumpti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fashion clothing involvement.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38(7), 869-882. doi:10.1108/03090560410539294 

  29. Park, C. W., Mothersbaugh, D. L., & Feick, L. (1994). Consumer knowledge assessmen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1(1), 71-82. doi:10.1086/209383 

  30. Park, H.-S., & Suh, Y.-S. (1998). Environmental perception of consumers and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6(10), 79-88. 

  31. Park, S. H., & Oh, K. W. (2014). Environmental knowledge, eco-friendly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bout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of fashion consumer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6(1), 91-100. doi:10.5805/SFTI.2014.16.1.191 

  32. Park, U.-A., & Rhee, K.-C. (1995). A study on environmentally conscious consumer behavior.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3(4), 199-212. 

  33. Ramsey, C. E., & Rickson, R. E. (1976). Environmental knowledge and attitudes.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8(1), 10-18. doi:10.1080/00958964.1976.9941552 

  34. Schwepker, C. H., Jr., & Cornwell, T. B. (1991). An examination of ecologically concerned consumers and their intention to purchase ecologically packaged products. Journal of Public Policy & Marketing, 10(2), 77-101. 

  35. Sharma, K., & Bansal, M. (2013). Environmental consciousness, its antecedents and behavioural outcomes. Journal of Indian Business Research, 5(3), 198-214. doi:10.1108/JIBR-10-2012-0080 

  36. Shim, S. (1995). Environmentalism and consumers' clothing disposal patterns: An exploratory study.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3(1), 38-48. doi:10.1177/0887302X9501300105 

  37. Suk, H. J., & Lee, E.-J. (2013). The value, knowledge, and sustainable consumption behavior of fashion consum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7(3), 424-438. doi:10.5850/JKSCT.2013.37.3.424 

  38. Summers, T. A., Belleau, B. D., & Xu, Y. (2006). Predicting purchase intention of a controversial luxury apparel product.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10(4), 405-419. doi:10.1108/13612020610701947 

  39. Titah, R., & Barki, H. (2009). Nonlinearities between attitude and subjective norms in information technology acceptance: A negative synergy?. MIS Quarterly, 33(4), 827-844. doi:10.2307/20650329 

  40. Winakor, G. (1969). The process of clothing consumption. Journal of Home Economics, 61(8), 629-634. 

  41. Yoon, S.-W., Yang, Y.-J., Noh, J.-K., & Jeon, J.-O. (2006). Effects of environmental knowledge on environmentally conscious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11(3), 131-147. 

  42. Zaichkowsky, J. L. (1985). Measuring the involvement construc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2(3), 341-352. doi:10.1086/208520 

  43. Zelezny, L. C., & Schultz, P. W. (2000). Psychology of promoting environmentalism: Promoting environmentalism. Journal of Social Issues, 56(3), 365-371. doi:10.1111/0022-4537.001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