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의식에 따른 패스트패션 구매자의 의복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The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of Fast Fashion Purchaser according to Environmental Consciousness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17 no.4, 2015년, pp.550 - 560  

이현지 (경성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of fast fashion purchasers according to environmental consciousness. Questionnaire examined 245 males and females in Busan who experienced fast fashion product purchases. Data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t-test. ANOVA, Duncan Test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패스트패션 소비자의 환경인식에 대하여 알아보고, 환경의식과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소비행동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패스트패션 소비행동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소비자들이 패스트패션에서 비롯되는 의류폐기물을 줄여나가는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소비행동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 다음은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패스트패션의 의복소비행동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분석결과 인구통계적 특성 중 의복소비행동에 차이를 보이는 변인은 성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별에 따른 의복소비행동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 따라서 환경의식과 인구통계적 특성의 차이는 의복소비행동에도 차이가 나타남을 볼 때 환경의식과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패스트패션의 의복소비행동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급증하고 있는 패스트패션으로 인해 야기되는 환경문제에 대한 해결방안 모색을 위해 패스트패션 소비자의 의복소비행동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패스트패션 소비자들의 소비행동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소비자들이 패스트패션에서 비롯되는 의류폐기물을 줄여나가는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소비행동을 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연구문제2: 환경의식에 따라 패스트패션 소비자의 의복소비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 연구문제3: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패스트패션 소비자의 의복소비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 이상으로 환경의식에 따른 패스트패션의 의복소비행동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패스트패션으로 야기되는 의류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여나가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가 20~30대 연령의 부산 거주자에 한정되어 진행되었으므로 연령별에 맞는 소비행동에 대한 분석이 부족하고 집단 간 차이 비교에 다소 어려움이 있다고 사료되므로 향후 다양한 연령과 지역을 대상으로 한 의복소비행동을 연구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보는 것도 의미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지금까지 살펴 본 의복처분행동에 관한 연구는 주로 환경의식에 따른 의복처분행동에 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패스트패션을 대상으로 하여 의복처분행동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패스트패션의 의복처분행동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 하지만 패스트패션의 선행 연구를 살펴본 결과, 사회문화적인 현상 분석과 제품의 구매와 관련된 연구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나, 패스트패션으로 야기되는 의류폐기물에 대한 사회적 문제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모색을 위한 소비자들의 의복소비행동에 대해 살펴볼 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사료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패스트패션 소비자들의 의복소비행동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합리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의복소비행동에 대한 방안제시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스트패션을 폐기물을 양산하는 환경의 적으로 케임브리지 대학 보고성서 규정한 이유는? 최근 들어 의류환경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패스트패션의 열풍은 마케팅 환경측면에서도 중요한 부분이기도 하지만 저렴하고 다양한 디자인의 패스트패션의 등장으로 인한 의류쓰레기량 급증도 간과할 수는 없는 부분이다. 과거에는 의복구입 시 의복의 기능적인 면을 고려하여 필요한 의복만을 구입하는 반면, 오늘날에는 경제적인 생활 수준 향상과 소비가치관의 변화, 그리고 빠른 유행의 변화에 따라 의복을 구매하는 횟수가 늘어나게 되면서 의복의 착용수명은 점차 짧아지게 되고, 심지어 착용되지도 않은 채 방치되고 폐기되는 의복도 매년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학자들의 우려도 높아지면서 케임브리지 대학의 보고서(as cited in Lee, 2008)에는 패스트패션을 폐기물을 양산하는 환경의 적으로 규정하였고, 일부 학자는 티셔츠와 스웨터의 값이 샌드위치 값보다 더 싸게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기에 패스트패션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패스트푸드 못지않게 심각하다고 주장하였다.
급속한 산업화와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문제점? 급속한 산업화와 과학기술의 발달은 인간에게 물질문명의 혜택을 주었지만 풍요로움의 이면에 숨겨진 자원고갈과 환경오염 등의 문제는 인류의 생존기반을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문 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간의 사고와 행동을 환경친화적으로 변화시켜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 시작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 급증하는 패스트패션(fast fashion)의 열풍으로 부수적으로 증대되는 연구분야? 이러한 환경문 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간의 사고와 행동을 환경친화적으로 변화시켜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 시작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의류산업 분야에서도 원료의 생산과정이나 제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환경오염 물질을 줄이기 위한 환경친화적인 생산방법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나, 최근에 급증하는 패스트패션(fast fashion)의 열풍으로 소비과정에서 발생되는 의류폐기물에 대한 환경친화적인 방법에 대한 연구 중요성도 증대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 K. H., & Lim, B. H. (1999). Principles of marketing research. Paju: Bobmunsa. 

  2. Chang, A. R. (2007). Development of Korean style SPA of fast fashion for consumer needs. Korea Associastion of Human Ecology, 16(5), 997-1006. 

  3. Chang, G. H. (1996). A study on socially responsible clothing disposition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4. Cheon, J. E. (1999). The study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consciousness and behavior of the environmental problems toward their lifesty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5. Choi, N. S. (1995).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to the environmental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2(5), 29-44. 

  6. Doosan Encyclopedia. (2010). Seoul: Doosan Donga. 

  7. Han, S. H. (2009). A study on the purchasing behavior and usage of environmentally friendly clothing and the disposal of clothing.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7(3), 61-77. 

  8. Henion, K. E. (1972). The effect of ecologically relevant information on detergent sal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9, 10-14. 

  9. Jang, K. M. (2009). Study on fast fashion on individual shop characteristics -Focusing on dongdaemoon fashion valley and SPA bran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0. Kang, J. H., & Sung, Y. Y. (2010). The impact of information technology on the process innovation and competitiveness in the fashion industry -Case study of fast fashion: ZAR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1), 1-13. 

  11. Kang, Y. H., & Hwang, J. S. (2007). The effect of shopping orientations of male and female consumers on the attitude toward sales clerk's service and shopping environ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4), 540-550. 

  12. Kim, J. H. (2010). Study on consumer image evaluation to product design of the fast fash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13. Kim, J. Y. (2011). Purchase in behavior and attitudes of Korean female toward global SPA brand products as determined by their shopping orient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14. Kim, Y. D. (1995). A study o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according the consumer's environmental aware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5. Lim, S. J. (1992). Study on the clothing behavior of korea college women - concentrating on socio-psychological fact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6. Lee, C. H. (1995). A study on the consumers' clothing management behavior and reapplication of resources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proble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7. Lee, C. H. (1997). The study on clothing and clothing recycling status management actions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problems of the consum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8. Lee, J. H. (1995). Study on the use of credit cards based on clothing purchase motivat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9. Lee, J. H. (2010). Shopping orientations and attitudes according to the collaboration of luxury brands and of fast fashion bran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0. Lee, K. J., & Kim, Y. S. (1998).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clothing behavior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in their hom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0(1), 1-16. 

  21. Lee, S. B. (2008). Fast fashion buyers' impulsive buying tendency and their post-purchase behavi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22.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04). 2014 neologism. Seoul: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3. Nicosia, F. M., & Mayer, R. N. (1976). Toward a sociology consump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2), 65-75. 

  24. Park, H. H., & Oh, S. D. (2005). The influence of materialism and environment consciousness on recycling attitude and behavior of clothing.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3(10), 167-177. 

  25. Park, S. Y. (2009). Environmental consciousness &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of the consumers in their 10's & 20'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6. Park, U. A. (1997). Pro-environmental behavior of consumer and its related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5(5), 221-237. 

  27. Ro, J. H., & Kim, M. J. (2009). Socio-cultural interpretation of fast fashion phenomen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9(3), 27-41. 

  28. Shim, S. (1995). Environmentalism and consumers clothing disposal patterns: An exploratory study.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3(1), 28-48. 

  29. Shin, M. H. (2011). The influence of fast fashion value on commitment and repurchase intention. Korea Business Review, 24(6), 3505-3523. 

  30. Yoo, Y. S. (1996). A study on the women's clothing discard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0(1), 142-15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