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 매장에서의 후각과 미각 경험이 감정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mell and taste experience in fashion stores on the emotions and purchase intention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6 no.6, 2018년, pp.1015 - 1027  

차선영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손형진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이유리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retail environment where online-shopping malls are growing, offline store are find it difficult to survive simply by selling their products. As a result, offline retailers are trying to find unique services that are appealing to their customers. In such a market environment, marketing strate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패션 리테일러들은 이미 향기를 활용한 마케팅 기법을 적용하고, 그에 따른 효과를 느끼고 있으나, 패션 매장에서 제공하는 향기의 효과에 대한 실질적인 내적, 외적 반응 변화를 관찰한 연구는 많지 않다. 또한 차후 제안하는 미각 및 복합적인 감각 자극에 대한 소비자 반응의 대조군으로써 이미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후각 자극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패션 매장을 대상으로 향기 효과를 관찰하고자 하며, 이를 위한 가설 1은 아래와 같다.
  • 본 연구는 패션 리테일 분야에서 오감마케팅 효과를 확인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우선 기존 오감마케팅 관련 연구는 향기, 음악 등 단일 요소만을 검증하여 왔으나, 본 연구는 복합적으로 고찰하였다는 데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패션 매장에서 제공하는 후각 및 미각자극이 소비자의 감정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향기(유/무)와 단맛(유/무) 경험 여부에 따른 집단 간 비교 연구를 설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패션 매장에 초점을 맞추어 매장에서 제공하는 후각 및 미각 자극이 소비자의 감정 및소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자에게 매장환경을 제안한 후 풍기는 향기와 단맛을 일으키는 초콜릿을 무작위로 제공하였으며, 그 결과 나타나는 감정 및 소비행동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패션 제품 매장 내 후각과 미각의 환경적 자극이 대상 고객(응답자)의 감정 상태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자극에 대한 감정과 구매 의도 사이에서 쾌락적, 실용적 쇼핑 가치에 따른 영향력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한 연구모형은 [Fig. 1]과 같다.
  • 위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후각 및 미각자극과 후각과 미각을 포함한 복합 자극에 따른 소비자의 감정 및 소비 행동을 측정하고, 자극을 바탕으로 형성된 감정과 소비행동 사이에 소비자의 성향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매장 환경을 구성하는 데 있어,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제안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위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후각 및 미각자극과 후각과 미각을 포함한 복합 자극에 따른 소비자의 감정 및 소비 행동을 측정하고, 자극을 바탕으로 형성된 감정과 소비행동 사이에 소비자의 성향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매장 환경을 구성하는 데 있어,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제안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아직 패션 매장에서 제공하는 단맛에 대한 연구가 전혀 없는 실정이긴 하지만, 다양한 마케팅 기법이 요구되는 환경에서 단맛 서비스는 새로운 마케팅 기법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패션 매장에서 제공하는 단맛 자극이 소비자감정 및 반응 변화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가설 2를 제안하였다.
  •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의 가정과 달리 복합적인 감각 제공이 부정적인 소비자 반응을 끌어낸다면, 리테일러에게 단일 차원을 강조하는 마케팅을 제안해야 한다. 이에 따라, 패션 매장에서도 복합적인 자극 제공에 따른 소비자 반응을 측정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해 패션매장에서 제공하는 향기 및 단맛 경험이 소비자 감정 및 반응 변화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가설 3은 아래와 같다.

가설 설정

  • 가설 3-2. 단일 차원의 제안되었을 때보다 후각 및 미각 동시 제공되었을 때 느끼는 즐거움이 가장 높을 것이다.
  • 가설 2-3. 미각 제공되었을 때 나타나는 구매 의도가 그렇지 않을 때보다 높을 것이다.
  • 가설 2-2. 미각 제공되었을 때 느끼는 각성이 그렇지 않을 때보다 높을 것이다.
  • 가설 2-1. 미각 제공되었을 때 느끼는 즐거움이 그렇지 않을 때보다 높을 것이다.
  • 우선, 피험자를 대상으로 SPA(Specialty stores/retailers of Private-label Apparel) 매장 환경에서 패션제품을 구매하는 상황을 가정하였다. SPA브랜드는 대중적인 가격대를 가지고 있어 가격에 의해 발생하는 소비자 태도 및 행동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를 위한 패션 매장으로 사용되었다.
  • 가설 1-3. 후각 제공되었을 때 나타나는 구매 의도가 그렇지 않을 때보다 높을 것이다.
  • 가설 1-2. 후각 제공되었을 때 느끼는 각성이 그렇지 않을 때보다 높을 것이다.
  • 가설 1-1. 후각 제공되었을 때 느끼는 즐거움이 그렇지 않을 때보다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감정을 주는 대표적인 방식은? 특히, 오감 자극은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감정을 주는 대표적인 방식이며, 그중 후각은 매장 환경에서 소비자의 주의를 끌고 긍정적인 감정 및 반응에 영향을 주는 자극으로 설명되어 왔다(Choi, 2015). 향기는 소비자의 접근 행동에 중요한 변수가 되고, 매장에서 풍기는 기분 좋은 향기는 제품과 매장에 대한 호의적인 평가로 이어진다(Ko & Kim, 2013; Spangenberg, Crowley, & Henderson, 1996).
오감 자극 중, 후각의 역할은? 특히, 오감 자극은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감정을 주는 대표적인 방식이며, 그중 후각은 매장 환경에서 소비자의 주의를 끌고 긍정적인 감정 및 반응에 영향을 주는 자극으로 설명되어 왔다(Choi, 2015). 향기는 소비자의 접근 행동에 중요한 변수가 되고, 매장에서 풍기는 기분 좋은 향기는 제품과 매장에 대한 호의적인 평가로 이어진다(Ko & Kim, 2013; Spangenberg, Crowley, & Henderson, 1996).
오감 자극 중, 심리학 혹은 식품 분야에서 긍정적인 감정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극은? 심리학 혹은 식품 분야에서는 미각이 긍정적인 감정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극으로 여겨져 왔다(Keen, 2001; Ren, Tan, Arriaga, & Chan, 2015). 이와 같은 연구 결과들은 매장환경에서 소비자의 미각을 자극하여도 후각을 자극한 것과 비슷한 효과가 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10.22146/gamaijb.5496 Anggie, C. , & Haryanto, J. O. (2012). Analysis of the effect of olfactory, approach behavior, andexperiential marketing toward purchase intention. Gadjah Mada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13 (1), 85-101. doi: 

  2. 10.1086/209376 Babin, B. J. , Darden, W. R. , & Griffin, M. (1994). Work and/or fun: Measuring hedonic and utilitarianshopping valu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 (4), 644-656. doi: 

  3. Bloch, P. H. , & Richins, M. L. (1983). Shopping without purchase: An investigation of consumer browsing behavior.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0 , 389-393. 

  4. Buckley, P. G. (1991). An S-O-R model of the purchase of an item in a store.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0 , 491-500. 

  5. Choi, A. (2017). What is store window creativity? The effect of store window creativity on consumer’s emotions and behavior intention .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6. Choi, N. H. , Kwon, M. T. , & Kim, H. S. (2005). The effect of pleasant product scent on consumer’s product evaluation. Korean Management Review, 34 (1), 1-25. 

  7. 10.7741/rjcc.2015.23.5.793 Choi, S. , & Yoh, E. (2015). Moderating effect of music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mood and attitude in the online shopping mall.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3 (5), 793-806. doi: 

  8. 10.7741/rjcc.2016.24.4.417 Choi, S.-H. , & Hong, J.-H. (2016). The effect of product benefits and product identification on purchase intention: Focused on the moderatingeffect of aesthetic seeking tendency.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4 (4), 417-430. doi: 

  9. Choi, S. Y. (2015, November 9). 고객 사로잡기 '향기 마케팅'이 뜬다 [‘Fragrance Marketing’ will be launched]. Aju Business Daily , Retrieved November 1, 2018, from https://www.ajunews.com/view/20151109150719420 

  10. Chung, H.-Y. (2002). A study of cognitive beliefs and consumption feelings as predictors of wellknown brand apparel purchasing intent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0 (3),248-260. 

  11. Chung, I.-J. (2004). A study of the impact of smell on restaurant customers’ attitude and behaviors.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16 (2), 321-331. 

  12. 10.1016/j.jairtraman.2015.07.003 Chung, Y.-S. (2015).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s in airport shopping behavior. Journal of Air Transport Management, 49 , 28-34. doi: 

  13. 10.1016/0018-506X(87)90004-3 Cohen, I. T. , Sherwin, B. B. , & Fleming, A. S. (1987). Food cravings, mood, and the menstrual cycle. Hormones and Behavior, 21 (4), 457-470. doi: 

  14. 10.1007/978-1-4471-1429-1 Dobbing, J. (1987). Sweetness . Berlin: Springer-Verlag. 

  15. Donovan, R. J. & Rossiter, J. R. (1982). Store atmosphere: An environmental psychology approach. Journal of Retailing, 58 (1), 34-57. 

  16. Engel, J. F. , Blackwell, R. D. , & Miniard, P. W. (1995). Consumer behavior (8th ed). New York: Dryden Press. 

  17. 10.1002/mar.10064 Eroglu, S. A. , Machleit, K. A. , & Davis, L. M. (2003). Empirical testing of a model of online storeatmospherics and shopper responses. Psychology & Marketing, 20 (2), 139-150. doi: 

  18. 10.1007/BF02249272 Gulas, C. S. , & Bloch, P. H. (1995). Right under our noses: Ambient scent and consumer responses.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10 (1), 87-98. doi: 

  19. 10.1016/0195-6663(91)90021-J Hill, A. J. , Weaver, C. F. L. , & Blundell, J. E. (1991). Food craving, dietary restraint and mood. Appetite, 17 (3), 187-197. doi: 

  20. 10.1080/10696679.2002.11501918 Hoffman, K. D. , & Turley, L. W. (2002). Atmospherics, service encounters and consumer decision making: An integrative perspective.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10 (3), 33-47. doi: 

  21. 10.1080/07315724.2001.10719181 Keen, C. L. (2001). Chocolate: Food as medicine/ medicine as food.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Nutrition, 20 (sup5), 436S-439S. doi: 

  22. Ko, S. H. , & Kim, E. Y. (2013, May). Consumer emotional responses to the environmental elements in fashion store. Proceeding of the Korean Living Science Association Summer Conference , Daejeon , 195. 

  23. 10.1016/j.chb.2011.03.001 Koo, D.-M. , & Lee, J.-H. (2011). Inter-relationships among dominance, energetic and tense arousal,and pleasure, and differences in their impacts under online vs. offline environmen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7 (5), 1740-1750. doi: 

  24. Kotler, P. (1973). Atmospherics as a marketing tool. Journal of Retailing, 49 (4), 48-64. 

  25. Lee, K.-M. (2009). The effect of the factors of in-flight service on emotional reaction and on their behavior intentions.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2 (3), 1381-1402. 

  26. 10.51979/KSSLS.2012.05.48.361 Lee, S.-H. , Bae, S.-W. , & Cho, S.-H. (2012). The effect of shopping emotions in a golf apparel store on repurchase intention.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48 (1), 361-371. 

  27. Lee, S. J. (2018, February 4) ‘고객 체류시간을 늘려 라’ 오프라인 매장들의 진화 [‘Increase customer stay time’ Evolution of offline stores]. Ilyo Newspaper , Retrieved November 1, 2018, from http://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288479 

  28. Lee, Y. J. (2017, February 14). 대형마트의 변신…‘마 켓셰어’에서 ‘라이프셰어’로 [Transformation of large mart ... From ‘Market Share’ to ‘Life Share’]. The PR news , Retrieved November 1, 2018, fromhttp://www.the-pr.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113&fbclid=IwAR2EQv4YRMuZdFd4GAckWmQf0NvRUrz_or1FldAqyDYjlvy9NUCY24Pc07w 

  29. Mehrabian, A. , & Russell, J. A. (1974). An approach to environmental psychology . Cambridge, MA: M.I.T. Press. 

  30. 10.1037/a0025253 Meier, B. P. , Moeller, S. K. , Riemer-Peltz, M. , & Robinson, M. D. (2012). Sweet taste preferencesand experiences predict prosocial inferences, personalities, and behavio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2 (1), 163-174. doi: 

  31. 10.1016/S0022-4359(01)00064-1 Menon, S. , & Kahn, B. (2002). Cross-category effects of induced arousal and pleasure on the internetshopping experience. Journal of Retailing, 78 (1), 31-40. doi: 

  32. 10.1016/S0148-2963(99)00006-5 Morrin, M. , & Ratneshwar, S. (2000). The impact of ambient scent on evaluation, attention, and memory for familiar and unfamiliar brand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49 (2), 157-165. doi: 

  33. Pine, B. J. , II, & Gilmore, J. H. (1998). Welcome to the experience economy. Harvard Business Review,76 (4), 97-105. 

  34. 10.1177/0265407514554512 Ren, D. , Tan, K. , Arriaga, X. B. , & Chan, K. Q. (2015). Sweet love: The effects of sweet tasteexperience on romantic perception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32 (7), 905-921. doi: 

  35. 10.1016/0195-6663(91)90022-K Rozin, P. , Levine, E. , & Stoess, C. (1991). Chocolate craving and liking. Appetite, 17 (3), 199-212. doi: 

  36. 10.1037/0022-3514.38.2.311 Russell, J. A. , & Pratt, G. (1980). A description of the affective quality attributed to environm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8 (2), 311-322. doi: 

  37. 10.1016/j.foodqual.2012.11.005 Sester, C. , Dacremont, C. , Deroy, O. , & Valentin, D. (2013). Investigating consumers’ representations of beers through a free association task: A comparison between packaging and blind conditions. Food Quality and Preference, 28 (2), 475-483. doi: 

  38. 10.2307/1251931 Spangenberg, E. R. , Crowley, A. E. , & Henderson, P. W. (1996). Improving the store environment: Do olfactory cues affect evaluations and behaviors?. Journal of Marketing, 60 (2), 67-80. doi: 

  39. 10.1002/mar.20709 Spence, C. , Puccinelli, N. M. , Grewal, D. , & Roggeveen, A. L. (2014). Store atmospherics: A multisensory perspective. Psychology & Marketing, 31 (7), 472-488. doi: 

  40. 10.1108/EJM-01-2015-0022 Tang, Y.-C. , Hsieh, Y.-C. , & Chiu, H.-C. (2017). Purchase decision: Does too much choice leaveus unhappy?.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51 (7/8), 1248-1265. doi: 

  41. 10.1509/jmkr.2005.42.4.431 Thompson, D. V. , Hamilton, R. W. , & Rust, R. T. (2005). Feature fatigue: When product capabilities become too much of a good thing.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42 (4), 431-442. doi:10. 1509/jmkr.2005.42.4.431 

  42. 10.1016/S0148-2963(99)00010-7 Turley, L. W. , & Milliman, R. E. (2000). Atmospheric effects on shopping behavior: A review ofthe experimental evidenc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49 (2), 193-211. doi: 

  43. Vida, I. (2008). Atmospheric music fit as a driver of shopper store evaluations and their behavioralresponses. Journal of Applied Business Research, 24 (2), 97-102. doi: 

  44. Yeom, I. K. , & Kim, M. S. (2002). Adolescents’ impulsive purchase behaviors as determined by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The Research Journalof the Costume Culture, 10 (6), 666-6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