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둔산도립공원 식생구조 및 생태적 특성 -안심사 일대를 중심으로-
Ecological Characteristic and Vegetation Structure of Mt. Daedun Provincial Park - Focusing on Ansim Temple Area -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2 no.6, 2018년, pp.646 - 657  

유승봉 (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최송현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박석곤 (순천대학교 산림자원.조경학부) ,  강현미 (목포대학교 조경학과) ,  이상철 (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심항용 (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송광섭 (스페이스웨어(주) 개발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둔산도립공원의 식생구조 및 생태적 특성을 밝히고자 시행되었다. 도립공원 내 42개의 조사구(단위면적 $100m^2$)를 설치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류방법 중 TWINSPAN기법과 DCA기법을 사용하여 군락분리를 시도한 결과 갈참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 리기다소나무군락, 개서어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으로 분리되었다. 식생구조 분석결과 각 군락별 우점종이 지속적으로 세력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되나, 소나무군락의 경우는 참나무류와의 경쟁관계에 있어 산림천이적 양상에서 지켜볼 필요가 있다. 흉고직경급별 분석 결과, 우점종간 중 대경목이 많이 관찰되어 군락이 안정된 구조를 갖추어 가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특별한 물리적환경의 변화나 중대한 교란, 병충해 발생 등이 일어나지 않는 이상 상층수관을 우점 하는 종들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륜 및 생장량 분석결과 우점하는 교목층의 경우 평균 40년 이상의 수령을 보였으며, 연평균 생장량은 군락I의 굴참나무가 $3.51{\pm}2.39mm$로 가장 높았으며, 군락VII의 신갈나무가 $1.61{\pm}0.90mm$로 가장 낮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of Mt. Daedun Provincial Park by setting up and surveying 42 plots ($100m^2$). The analysis using the TWINSPAN and DCA techniques found seven community groups: Quercus aliena community, L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대둔산도립공원 식생의 정량적인 분석을 통한 군락구조의 분류나 특성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안심사를 중심으로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한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 군락구조를 밝히고 생태적 특성 및 천이방향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둔산도립공원의 자연환경보전 및 관리방향을 수립하는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식생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대둔산도립공원의 식물군락별 특성을 파악하였다. 군락의 분류는 TWINSPAN에 의한 군락분석(classification analysis)(Hill, 1979b)과 DCA ordination(Hill, 1979a)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군락Ⅰ은 갈참나무가 경쟁종 없이 세력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된다. 군락Ⅱ는 조림수종인 일본잎갈나무 순림으로 군락을 유지할 것이다. 군락Ⅲ은 소나무-굴참나무 혼효림으로 나타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립공원이란 무엇인가? “도립공원”이란 도(道) 및 특별자치도의 자연생태계나 경관을 대표할 만한 지역으로서, 자연공원법 제4조(자연공 원의 지정 등) 및 제4조의3(도립공원·광역시립공원의 지정 절차)에 따라 지정된 공원을 말한다. 자연공원 지정현황(17.
대둔산도립공원의 식생구조 및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한 분류방법은 무엇인가? 도립공원 내 42개의 조사구(단위면적 $100m^2$)를 설치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류방법 중 TWINSPAN기법과 DCA기법을 사용하여 군락분리를 시도한 결과 갈참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 리기다소나무군락, 개서어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으로 분리되었다. 식생구조 분석결과 각 군락별 우점종이 지속적으로 세력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되나, 소나무군락의 경우는 참나무류와의 경쟁관계에 있어 산림천이적 양상에서 지켜볼 필요가 있다.
대둔산도립공원에 현존하는 문화유산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대둔산도립공원은 산의 정상인 마천대(878m)를 비롯한 칠성봉, 장군봉 등의 기암괴봉과 수락계곡, 선녀폭포 등 빼어난 자연경관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안심사(완주군), 태고사(금산군), 석천암(논산시) 등의 현존하는 문화유산이 도립공원 내에 자리하고 있다. 중점조사지인 안심사는 전라북 도의 대둔산 동쪽 자락에 위치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brams, M.D., D.A. Orwig and T.E. Demeo(1995) Dendroecological analysis of successional dynamics for a presettlement-origin white-pine-mixed-oak forest in the southern Appalachians, USA. Journal of Ecology 83: 123-133. 

  2. Bae, B.H. and H.J. Lee(1999) Phytosociological Studies for Vegetation Conservation of Pine Forest.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2(1): 21-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Brower, J.E.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4. Cho, H.S. and S.D. Lee(2010) Vegetation Structure of Yongso Valley in the Nakdong-Jeongmaek, Samcheok-si.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5): 582-5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i, S.H. and H.M. Kang(2006) Vegetation Structure of the Kumsaenggol in the Wolchul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4): 464-4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hung, D.J., S.K. Chon and Y.C. Kim(2000) A Study on Competiton for Water in Pin-oak Natural Mixed Forest Stands. Journal of Institute of Life Sciences & Resources 21: 6-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urtis and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476-496. 

  8. Fritz Hans Schweingruber(1988) Tree rings, 276pp. 

  9. Harcombe, P.A. and P.H. Marks(1978) Tree diameter distribution and replacement process in southeast Texas forest. For sci. 24(2): 153-166. 

  10. Hill M.O.(1979a) DECORANA -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e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Ecology and Sysmematics, Cornel Univ., Ithaca, New York, 520pp. 

  11. Hill M.O.(1979b) TWINSPAN -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 Univ., Ithaca, New York, 990pp. 

  12. Ji Y.U., M.J. Lee, H.J. Kim, K.S Lee, S. Yee and H.K. Song(2003)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Community Structure of Jinaksan Forest in Geumsa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1(3): 262-2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2010) Traditional Temple of Korea II.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Executive Office. 1093pp. 

  14. Kim D.W.(2017) The Classification and Sustainable Vegetation Management Framework for Traditional Pinus densiflora Forest Protected Area. Dissertation for the Dregree of Doctor fo Philosophy.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278pp. 

  15. Kim J.U., Y.J. Yim and B.S. Kil(1988) Classification and Pattern Anlysis of the Forest Vegetation in Daedunsan Provincial Park,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1(3): 109-122. 

  16. Korean Forest Service(2013) The Study on a Conservation Plan and Status Survey in the Hannam-Jeonmaek and Kumnam- Jeongmaek. 493pp. 

  17. Kwon, H.J., J.H. Lee, C.H. Shin, J.Y. Choi and H.K. Song(2008) Vegetation structures and management plan for Jangtae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in Daejeon City.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1(3): 116-1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K.W. and K.K. Shim(1994) A Study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Vegetation Landscape in Naejangsan National Park.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2(1): 85-1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S.C., H.M. Kang, J.S. Kim, C.Y. Yu and S.H. Choi(2014)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Plant Commun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ongdosa(Temple)Area, Gajisan (Mt.) Provinci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8(6): 715-7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ee, W.C. and Y.J. Yim(2002) Plant Geograph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Chuncheon (in Korean). 412pp. 

  21. Lee, Y.W., M.S. Lee and K.J. Yang(1999) Phytosociological Study of Resource Plants in Mt. Deadun.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12(2): 172-175. 

  22. Orloci, L.(1978) Multivariate Analysis in vegetation research, 2nd edition. Junk Publishing, The Hague, 468pp. 

  23. Park, C.M., S.C Kim, C.H. Lee and B.S. Seo(1998) An Analysis of Vegetation around Trails in Moaksan Provincial Park.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6(2): 43-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Park, I.H.(1985) A Study on Forest Structure and Biomass in Baegwoonsan Natural Ecosystem. Seoul National Univ.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fo Philosophy, 42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Park, S.G., M.H. Lee, J.W. Yoon and H.T. Shin(2012) Environmental Factors and Growth Properties of SaSa borealis(Hack.) Makino Community and Effect its Distribution on the Development of Lower Vegetation in Jiri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1): 82-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Ratliff, R.D.(1993) Viewpoint: Trend assessment by similarity: a demonstration. Journal Range Management 46: 139-141. 

  27. Sorensen, T.A.(1948) A method of establishing groups of equal amplitudein plant sociology based on similarity of species content, and itsapplication to analyses of the vegetation on Danish commons. K danVidensk Selsk Biol Skr 5: 1-34. 

  28. Um, T.W.(2014)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Quercus mongolica in Relation to Topography and Soil in Mt. Joongwang, Gangwon Province.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8(1): 67-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Whittaker, R.H.(1965) Dominance and Diversity in Land Plant Communities. Science 147: 250-2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