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목태 주정 추출물이 DOPA 산화와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hynchosia Nulubilis Ethanolic Extract on DOPA Oxidation and Melanin Synthesi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8 no.3 = no.215, 2018년, pp.331 - 338  

김재련 (동의대학교 화학과) ,  김문무 (동의대학교 응용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멜라닌은 생체 내에서 발모 및 피부색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고분자 물질이다. 하지만 활성산소에 의해 과도하게 생성된 멜라닌은 노화와 관련된 기미, 주근깨와 과색소 침착증 등을 야기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된 천연물 중 서목태 성분의 하나인 polyphosphate는 자외선에 의해 손상되는 피부 노화를 억제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멜라닌 합성에 대한 RNEE의 직접적인 효과를 조사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RNEE는 DPPH radical의 소거효과 및 환원력과 같은 항산화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MTT 실험을 수행한 결과, RNEE는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독성을 증가시켰다. 또한, RNEE는 tyrosinase 활성과 DOPA-oxidation 실험 결과에서 멜라닌 합성을 증가시켰다. RNEE는 살아있는 세포에서 L-DOPA에 의한 유발되는 melanin생성 촉진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산화수소를 처리하여 melanin 생성을 감소시킨 대조군과 비교시 과산화수소 전처리 후 RNEE를 처리한 군에서는 melanin 생성 촉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RNEE는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의 단백질발현도 대조군과 비교시 $16{\mu}g/ml$의 농도에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superoxide anion을 과산화수소로 변환시키는 SOD-3의 발현을 조사한 결과 $16{\mu}g/ml$ 이상의 농도에서 대조군과 양성 대조군인 ${\alpha}$-MSH보다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상의 결과는 서목태가 흑모와 관련 있는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는 기능적인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lanin is a polymer substance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termination of hair growth and skin color in vivo. However, melanin, which is over-produc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is known to cause stains, freckles, and hypercholesterolemia, which are associated with aging. Previous studi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현재까지 실제로 흑모를 촉진할 수 있는 생리활성소재는 개발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멜라닌 생성 촉진 물질을 발굴하는 과정에서 효능이 탁월한 서목태(Rhynchosia Nulubilis)를 발굴하였다.
  • 선행연구에서 서목태는 tyrosinase 활성을 촉진시킨다는 연구보고가 있지만[8], 다른 단백질 발현에 영향을 미쳐 흑모 생성을 촉진시킨다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흑색종 B16F1 cell을 이용하여 흑모 생성을 촉진할 수 있는 멜라닌 합성에 대한 RNEE의 직접적인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 또한,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해 세포나 기관을 손상시켜 암, 당뇨와 같은 질병을 유발시킨다고 보고되었다[20]. 본 연구는 노화의 원인 중 한가지인 ROS 생성 억제효과와 melanin 합성 촉진 효과를 조사하여 서목태가 흑모 촉진제로서 적용가능한지를 조사하였다. 피부에서 melanin을 합성하는 melanocyte의 한 종류인 B16F1 cell을 이용하였으며 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진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키는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α-MSH는특히 TRP-2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 DCFH-DA가 세포 내에서 과산화수소와 반응하게 되면DCF를 생성하며 형광을 띄게 된다. 실험을 통해 RNEE가 세포내의 과산화수소를 얼마나 소거하는지를 확인해 보았다. Fig.
  • 그러나 RNEE는 과산화수소를 제거시켜주는 항산화 효소인 catalase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superoxide를 제거시켜 과산화수소로 변환시키는 SOD 중 SOD-3의 발현은 증가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RNEE가 모낭 내에 축적되는 과산화수소의 생성을 감소시켜 멜라닌 생성을 촉진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한 증거를 제시한다. 이전 보고에서도 서목태가 Nrf2로 중재된 NADPHDehydrogenase Quinone 1 (NQO1)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촉진시킨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6].

가설 설정

  • Effect of RNEE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production by L-DOPA oxidantation. (A) Tyrosinase activity was measured in the presence of RNEE. Arbutin at 2,000 μg/ml was used as a negative contro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화의 특징은 무엇인가? ‘100세 시대’라 불리는 시대에 사는 21세기 사람들은 노화 예방 및 방지에 관심을 쏟고 있다. 노화란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몸의 변화로, 주름이 생기고 검버섯이 생기는 피부 노화와 머리카락이 흑색에서 희게 변하는 증상이 나타나며,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인체의 머리카락, 동공, 피부색 등을 결정하는 고분자 물질인 멜라닌(melanin)은 생체 내 피부 속에 존재하며 자외선에 의해 손상되는 피부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15, 18].
멜라닌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노화란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몸의 변화로, 주름이 생기고 검버섯이 생기는 피부 노화와 머리카락이 흑색에서 희게 변하는 증상이 나타나며,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인체의 머리카락, 동공, 피부색 등을 결정하는 고분자 물질인 멜라닌(melanin)은 생체 내 피부 속에 존재하며 자외선에 의해 손상되는 피부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15, 18]. 그러나 체내의 호흡과정에 의해 생성되는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멜라닌을 과도하게 생성하게 하며 노화와 관련된 기미, 주근깨와 과색소 침착증 등을 야기시킨다[17].
ROS는 어떤 질병을 유발하는가? 그러나 체내의 호흡과정에 의해 생성되는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멜라닌을 과도하게 생성하게 하며 노화와 관련된 기미, 주근깨와 과색소 침착증 등을 야기시킨다[17]. 또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일으켜 세포나 기관을 손상시켜 암, 당뇨와 같은 질병을 유발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10]. Melanin 합성의 전구물질인 tyrosine으로부터 3,4-dihydroxyphenylalanine (DOPA), dopaquinone, 5,6-dihydroxy-indole (DHI), 5,6-dihydroxy-indole-2-carboxylicacid (DHICA)는 촉매작용을 하는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RP-1), TRP-2에 의해서 멜라닌이 합성된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kihisa, T., Yokokawa, S., Ogihara, E., Matsumoto, M., Zhang, J., Kikuchi, T., Koike, K. and Abe, M. 2017. Melanogenesis­ inhibitory and cytotoxic activities of limonoids, alkaloids, and phenolic compounds from phellodendron amurense bark. Chem. Biodivers. 14, 1-11. 

  2. Bae, G. J. and Ha, B. J. 2015. Antioxidative effect of fermented rhynchosia nulubilis in obese rats. J. Food Hyg. Saf. 30, 383-389. 

  3. Choi, Y. H. 2016. Berberine hydrochloride protects C2C12 myoblast cells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damage via induction of Nrf­2­mediated HO­1 expression. Drug Dev. Res. 77, 310-318. 

  4. Gan, E. V., Haberman, H. F. and Menon, I. A. 1974. Oxidation of NADH by melanin and melanoproteins. Biochim. Biophys. Acta. 370, 62-69. 

  5. Han, K. H., Oh, J. C. and Ryu, C. H. 2004. A study on the optimization for preparation conditions of germinated brown rice gruel. J. Kor. Soc. Food Sci. Nutr. 33, 1735-1741. 

  6. Han, M. H., Park, C., Lee, D. S., Hong, S. H., Choi, I. W., Kim, G. Y., Choi, S. H., Shim, J. H., Chae, J. I. and Yoo, Y. H. 2017. Cytoprotective effects of esculetin against oxidative stress are associated with the upregulation of Nrf2- mediated NQO1 expression via the activation of the ERK pathway. Int. J. Mol. Med. 39, 380-386. 

  7. Huang, H. C., Hsieh, W. Y., Niu, Y. L. and Chang, T. M. 2014. Inhibitory effects of adlay extract on melanin production and cellular oxygen stress in B16F10 melanoma cells. Int. J. Mol. Sci. 15, 16665-16679. 

  8. In, M. H., Jeon, B. K., Mun, Y. J. and Woo, W. H. 2016. Hexane Extract of Kaempferia galanga L. Suppresses Melanogenesis via p38, JNK and Akt. Kor. J. Ori. Med. Physiol. Pathol. 30, 47-53. 

  9. Jang, H. J. and Seo, Y. K. 2016. Pigmentation effect of rice bran extracted minerals comprising soluble silicic acid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6, 3137486. 

  10. Jenkins, N. C. and Grossman, D. 2013. Role of melanin in melanocyte dysregul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Biomed. Res. Int. 2013, 908797. 

  11. Joo, D. H., Lee, S. Y., Yoo, D. H. and Lee, J. Y. 2014. Inhibition effect of gamisoyo-san on MITF, TRP-1, TRP-2, tyrosinase mRNA expression in melanoma cells (B16F10). Kor. J. Herbology 29, 157-163. 

  12. Kim, B.-H., Park, K. C., Park, J. H., Lee, C. G., Ye, S. K. and Park, J. Y. 2016.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production by the chalcone derivative 1-(2-cyclohexylmethoxy- 6-hydroxy-phenyl)-3-(4-hydroxymethyl-phenyl)- propenone. Biochem. Biophys. Res. Commun. 480, 648-654. 

  13. Kim, S. R., Ahn, J. Y., Lee, H. Y. and Ha, T. Y. 2004. Various properties and phenolic acid contents of rices and rice brans with different milling fractions. Kor. J. Food Sci. Technol. 36, 930- 936. 

  14. Kyeong, H. P., Hahn, J. H. and Lim, D. Y.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derived peptide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Google Patents, 2016. 

  15. Le, K. T., Schachter, J. and Quigley, M. G. 2014. The role of melanin in protecting the skin and the retina from light damage: A comparative biological framework fo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vest. Ophthalmol. Vis. Sci. 55, 627. 

  16. Lee, S. H., Kang, S. M., Sok, C. H., Hong, J. T., Oh, J. Y. and Jeon, Y. J. 2015. Cellular activities and docking studies of eckol isolated from Ecklonia cava (Laminariales, Phaeophyceae) as potential tyrosinase inhibitor. Algae 30, 163. 

  17. Lee, Y. C., Kim, S. R., Im Kim, D. and Kim, S. H. 2016. Interaction between mitochondrial ROS and ER stress on PHMG-induced pulmonary fibrosis. Eur. Respir. J. 48, PA3886. 

  18. Marrot, L. 2016.The Cutaneous melanocyte as a target of environmental stressors: molecular mechanisms and opportunities. 175-196. Skin Stress Response Pathways: Springer. 

  19. Pancholi, N. and Taneja, P. 2016. Intraoral hyperpigmentation due to imatinib mesylate. A review of the literature. Oral Surg. 9, 206-214. 

  20. Sabharwal, S. S. and Schumacker, P. T. 2014. Mitochondrial ROS in cancer: initiators, amplifiers or an Achilles' heel? Nat. Rev. Cancer 14, 709-721. 

  21. Sun, S., Zhang, X., Sun, S., Zhang, L., Shan, S. and Zhu, H. 2016. Production of natural melanin by Auricularia auricula and study on its molecular structure. Food Chem. 190, 801-807. 

  22. Waterman, P. G. and Mole, S. 1994. Analysis of phenolic plant metabolites, pp 45-66,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England, UK.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