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만 흰쥐에서 발효 서목태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Fermented Rhynchosia nulubilis in Obese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0 no.4, 2015년, pp.383 - 389  

배귀정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제약공학과) ,  하배진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제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유도비만 쥐에서 발효 서목태의 항산화 효과를 연구하기 위하여 체중 175 g의 SD계 암컷 흰쥐 24마리를 대상으로 정상 군, 고지방식이 군, 발효 서목태 엑기스 급여 군, 발효 서목태 음료 급여 군으로 분류하여 54일간 사육하였다. in vitro 항산화 활성에서는 발효 서목태 엑기스가 높은 활성 및 함량을 나타냈다. in vivo 항산화 활성에서는 발효 서목태 섭취 군이 고지방식이 대조 군에 비해 CAT, SOD 활성은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MDA량은 감소 현상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발효 서목태가 항산화 효소의 증가로 활성산소의 제거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생체 내 대사과정에서 생성된 과산화물로부터 생체 조직을 보호하여 손상된 간조직의 기능을 회복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fermented Rhynchosia nulubilis (FRN) in obese rats. Oxidative stress due to reactive oxygen species (ROS) can cause oxidative damage to cells. Mitochondria are especially important in the oxidative stress as ROS have been found to be constant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발효 서목태 엑기스 및 음료 추출물의 비만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비교 및 분석하여 기능성 식품에서 비만에 대한 항산화 효과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콩류에 함유된 성분은? 생활습관으로 인한 질병이 사회적 문제가 됨에 따라 과실, 채소류, 두류, 곡류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생체기능성 물질에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14). 그 중 콩류는 식이섬유소, isoflavone, steroids, saponin, carotene 등이 함유되어 있어 항암작용 및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 심장질환 예방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특히 Isoflavone이 다량 함유된 서목태(Rhynchosia nulubilis)는 쥐눈이콩, 약콩이라고도 한다.
효소적 방어체계의 항산화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항산화는 생체 내에서 Free radical 반응을 야기시키는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들이 계속 생성되어 세포가 손상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작용이다22,27). 생체 내에는 이러한 활성산소로 인한 질병과 노화를 대항하기 위해서 생체 내에서 SOD (Superoxide dismutase), CAT (Catalase), GPX (Glutathione peroxidase)등과 같은 효소적 방어체계의 항산화제를 생성하며, 외부에서 체내로 공급이 가능한 비효소적 방어체계로는 Vitamin C와 Vitamin E, Uric acid, Flavonoid 계열 및 Polyphenol류 등의 천연 항산화제와 합성 항산화제인 Butylated hyroxyanisole (BHA)와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등이 있다7,17,27). 이러한 항산화물질은 질환의 발병과 관련된 불안정한 분자들인 활성산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된다6,7,20).
쥐눈이콩의 효능은? 특히 Isoflavone이 다량 함유된 서목태(Rhynchosia nulubilis)는 쥐눈이콩, 약콩이라고도 한다. 서목태는 어느 식품보다 해독성이 탁월하여 청혈작용이 있고, 신체 기능을 강화하는 약제로 신약본초에 보고되었으며, 골질환 예방 및 치료에도 사용되어 왔다. 또한 고혈압과 당뇨병을 예방하고 노화방지와 노인성 치매예방 및 신장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16,2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ebi, H.: Catalase in vitro, In: Packer L, ed methods in Enzymology. N. Y. Academic, 105, 121-126 (1984). 

  2. Arellano-gonzalez, M. A., Ramirez-coronel, M. A., Torresmancera, M. T., Perez-morales, G. G. and Saucedo-castaneda, G.: Antioxidant Activity of Fermented and Nonfermented Coffee (Coffea arabica) Pulp Extracts. Food Technol. Biotechnol, 49, 374-378 (2011). 

  3. Beauchamp, C. and Fridovich, I.: Superoxide dismutase: improved assays and an assay applicable to acrylamide gels. Analytical biochemistry, 44, 276-287 (1971). 

  4.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1958). 

  5. Carillon, J., Romain, C., Bardy, G., Fouret, G., Feilletcoudray, C., Gaillet, S., Lacan, D., Cristol, J. and Rouanet, J.: Cafeteria diet induces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associated with oxidative stress but not with inflammation: improvement by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a melon superoxide dismutase.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65, 254-261 (2013). 

  6. Choi, S. H.: Pharmacological and Molecular studies of Atracylodes japonica Koidzumi on anti-oxidant activity, M. S. Thesis, KyungHee University, 1-29 (2011). 

  7. Doh, E.S., Chang, J.P., Kil, K.J., Choi, M.S., Yang, J.K., Yun, C.W., Jeong, S.M., Jung, Y.H., Lee, G.H.: Antioxidative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Fermented Allium victorialis L. Extract. Korean J. Plant Res., 24., 30-39 (2011). 

  8. Dordevic, T. M., Siler-Marinkovic, S. S. and Dimitrifevicbrankovic, S. I.: Effect of fermentation on antioxidant properties of some cereals and pseudo cereals. Food Chemistry, 119, 957-963 (2010). 

  9. Folin, A.D. and Denis, W.: A co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henols (and phenolderivatives) in urine. J. Biol. Chem., 22, 305-308 (1915). 

  10. Ha, B.J. and KIm, M.H.: Effect of Chondroitin Sulfate on Collagen Maturity and Aging. J. Food Hygiene and Safety, 14, 45-54 (1999). 

  11. Ha, B.J., Kim, H.J., Lee, S.H., Ha, J.M., Lee, S.H., Lee, J.H., Lee, D.G., Park, E.K. and Nam, C.S.: The Hepatoprotective Effects of Epimedii Herba through the Antioxidation. J. of Life Sci., 15, 572-577 (2005). 

  12. Ha, B.J.: Effects of Rhynchosia molubilis Saponin on Hepatotoxicity and Pathology. J. of Life Sci., 16, 186-191 (2006). 

  13. Ha. B. J.: Studies on the Antilipidperoxidation effect of Brazilin and Hematoxylin. Ph. D.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Seoul, Korea (1985). 

  14. Hong, J.Y., Shin, S.R., Kong, H.J., Choi, E.M., Woo, S.C., Lee, M.H. and Yang, K. M.: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soybean and small black bean. Korean J. Food Preserv., 21, 404-411 (2014). 

  15. Kang, M.H., Lee, J.H., Lee, J.S., Kim, J.H., Chung, H.K.: Effects of Acorn Supplementation on Lipod Profiles and Antioxidant Enzyme Acticities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Rats. Korean J. of nutrition, 37, 169-175 (2004). 

  16. Kang, S.A. and Han, J.A.: Acetycholinesterase Inhibiting Effec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Soybean(Glycine max) and Yak-Kong(Rhychosia nolubili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4, 64-69 (2004). 

  17. Kim, H.J., Lee, S.G., Park, S.J., Yu, M.H., Lee, E.J., Lee, S.P., Lee, I.S.: Antioxidant Effects of Extracts from Fermented Red Ginseng Added with Medicinal Herbs in STZ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367- 372 (2012). 

  18. Kim, J. D., Lee, B. I., Jeon, Y. H., Bak, J. P., Jin, H. L. and Lim, B. O.: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reen Tea Mixture and Dietary Fiber on Liver of High Fat Diet-Induced Obese Ra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8, 224-230 (2010). 

  19. Kim, J. Y., Shin, M., Heo, Y. R.: Effects of Stabilized Rice Bran on Obesity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y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C57BL/6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1148-1157 (2014). 

  20. Kim, Y.H., Lee, Y.J., Park, S.O., Lee, S.J., Lee, O.H.: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Black Rice and Its Frac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262-266 (2013). 

  21. Kobayashi, M.M., Fujita, H. and Mitsuhashi.: Components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occurrence of pregnenolone, coniferylferulate, ferulate and hydroxylprthalides. Cham Pharm. Bull. 23, 3770-3773 (1984). 

  22. Kwon, C.S.: Antioxidant Properties of Red Yeast Rice (Monascus purpureus)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437-442 (2012). 

  23. Park, H.J., Nam, J.H., Jung, H.J., Lee, M.S., Lee, K.T., Jung, M.H., Choi, J.W.: Inhibitory Effect of Euscaphic Acid and Tormentic Acid from the Roots of Rosa rugosa on High Fat Diet-Induced Obesity in the Rat. Korea J. Pharmacogn, 36, 324-331 (2005). 

  24. Park, J.W., Lee, Y.J. and Yoon, S.: Total flavonoids and phenolics in fermented soy products and their effects on antioxidant activities determined by different assays. Korean J. Food Culture, 22, 353-358 (2007). 

  25. Ryu, B.H., Park, J.O., Kim, H.S. and Lim, B.G.: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SOD) by fermented soybean. Korean J. Life Science, 11, 574-581 (2001). 

  26. Shin, M.K. and Han, S.H.: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Rhynchosia nulubilis on serum Lipid Concentractions in Rats fed High Fat and High Cholesterol Diet. Korean J. Dietary Culture. 17, 64-69 (2002). 

  27. Sim, Y.S.: Effects of Paeonia suffruticosa Extract on Antioxidation and Activation of Caspase on Human Lung Cancer cell A549. M. S. Thesis, Dongguk University, 1-39 (2015). 

  28. Sung, K.S. Chun, C., Kwon, Y.H., Kim, K.H. and Chang, C.C.: Effects of Red Component on the Antioxidative Enzymes Activities and Lipid Peroxidation in the Liver of Mice. J. Ginseng Res., 24, 29-34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