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라분취의 분류학적 인식
Taxonomic recognition of Saussurea maximowiczii var. triceps on Jejudo Island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8 no.1, 2018년, pp.24 - 36  

김별아 (전남대학교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선은미 (전남대학교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윤선아 (성균관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승철 (성균관대학교 생명과학과) ,  임형탁 (전남대학교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라분취(Saussurea maximowiczii var. triceps)의 분류학적 실체에 대해 형태 및 분자적 접근을 했다. 줄기 길이, 잎의 크기와 같은 영양기관의 정량형질에서 한라분취가 버들분취(S. maximowiczii Herd.)보다 작은 경향이 있으나, 이는 연속적 변이이다. 소화, 총포를 비롯한 생식기관 성질에서 한라분취와 버들분취는 구별할 수 없었다. 버들분취와 한라분취의 염기서열을 확인한 결과 이들은 단계통을 이루었다. 한라분취는 강풍에 면한 한라산 고산지대에 적응한 버들분취의 생태표현형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morphological and molecular surve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taxonomic status of Saussurea maximowiczii var. triceps on Jejudo Island. Although it tends to be smaller than S. maximowiczii with regard to typical quantitative characters of vegetative organs, including the plant height and lea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이론/모형

  • Editing and alignment of all sequences were conducted using Geneious version 10.2.2 (Kearse et al., 2012). Gaps were treated as missing characters and all traits were equally weigh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en, Y. and C. Shin. 1999. Compositae (8) Cyrareae. In Flora Republicae Popularis Sinicae, Tomus 78 (2). Chen, T. L. and C. Shih (eds.), Science Press, Peking. Pp. 100-102. (in Chinese) 

  2. Felsenstein, J. 1985. Confidence limits on phylogenies: an approach using the bootstrap. Evolution 39: 783-791. 

  3. Im, H. T. 1989. Taxonomic revision of the Saussurea nipponica complex (Compositae). Journal of the Faculty of Science, University of Tokyo, Section III 14: 243-272. 

  4. Im, H.-T. 1990. An instance of quantum speciation seen in Saussurea nipponica (Composita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20: 133-145. 

  5. Im, H.-T. 1991. Electrophoretic study of taxonomic relationships in the Saussurea nipponica complex (Compositae). Plant Species Biology 6: 11-18. 

  6. Im, R. J. and E. C. Lee. 1999. Compositae. In Flora Coreana. Vol. 7. Im, R. J. (ed.),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Pyongyang. Pp. 70-116. 

  7. Kearse, M., R. Moir, A. Wilson, S. Stones-Havas, M. Cheung, S. Sturrock, S. Buxton, A. Cooper, S. Markowitz, C. Duran, T. Thierer, B. Ashton, P. Meintjes and A. Drummond. 2012. Geneious Basic: an integrated and extendable desktop software platform for the organization and analysis of sequence data. Bioinformatics 28: 1647-1649. 

  8. Kita, Y., K. Fujikawa, M. Ito, H. Ohba and M. Kato. 2004.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and systematics of the genus Saussurea and related genera (Asteraceae, Cardueae). Taxon 53: 679-690. 

  9. Kitamura, S. 1937. Compositae Japonicae. Memoirs of the College of Science, Kyoto Imperial University, Series B Biology 13: 1-421. 

  10. Lee, W. T. 1996. Lin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1179-1191. 

  11. Levin, D. A. 1993. Local speciation in plants: the rule not the exception. Systematic Botany 18: 197-208. 

  12. Lipschitz, S. 1979. Genus Saussurea DC. (Asteraceae). Nauka, Leningrad, 281 pp. 

  13. Nguyen, L. T., H. A. Schmidt, A. von Haeseler and B. Q. Minh. 2015. IQ-TREE: a fast and effective stochastic algorithm for estimating maximum-likelihood phylogenies.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32: 268-274. 

  14. NIBR. 2013. Endemic Species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Duhyeon Publishing, Seoul, 912 pp. 

  15. Shaw, J., E. B. Lickey, E. E. Schilling and R. L. Small. 2007. Comparison of whole chloroplast genome sequences to choose noncoding regions for phylogenetic studies in angio sperms: the tortoise and the hare III. American Journal of Botany 94: 275-288. 

  16. Swofford, D. L. 2001. PAUP*: Phylogenetic Analysis Using Parsimony (*and other methods) version 4.0. Sinauer Associates, Sunderland, MA. 

  17. Von Raab-Straube, E. 2003.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Saussurea (Compositae, Cardueae) sensu lato, inferred from morphological, ITS and trnL-trnF sequence data, with a synopsis of Himalaiella gen. nov., Lipschitziella and Frolovia. Willdenowia 33: 379-402. 

  18. Wang, Y.-J., J.-Q. Liu and G. Miehe. 2007. Phylogenetic origins of the Himalayan endemic Dolomiaea, Diplazoptilon and Xanthopappus (Asteraceae: Cardueae) based on three DNA regions. Annals of Botany 99: 311-322. 

  19. Wang, Y.-J., A. Susanna, E. von Raab-Straube, R. Milne. and J.-Q. Liu. 2009. Island-like radiation of Saussurea (Asteraceae: Cardueae) triggered by uplifts of the Qinghai-Tibetan Plateau. Bi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97: 893-903. 

  20. Wang, Y.-J., E. von Raab-Straube, A. Susanna and J.-Q. Liu. 2013. Shangwua (Compositae), a new genus from the Qinghai-Tibetan Plateau and Himalayas. Taxon 62: 984-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