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방적 유지보수를 위한 아스팔트 표면강화공법의 실내 성능 평가
A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New Asphalt Surface Reinforcement Method (ASRM) for Preventive Maintenance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8 no.2, 2018년, pp.311 - 317  

김경남 (경기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조신행 (경기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김낙석 (경기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두성 ((주)일원테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예방적 유지보수방법 중 하나인 표면강화공법의 실내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표면강화공법과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과의 부착력 평가 결과 미끄럼방지 포장 및 교면방수재료 기준을 상회하는 부착성능을 나타내었다. 윤하중재하실험과 박리저항성, UV저항성 실험을 통해 교통 및 환경하중에 대해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면강화공법은 내투수성과 내화학성이 뛰어나 포장내로 수분 침투를 막고 화학물질로부터 포장을 보호할 수 있으며, 노화된 아스팔트 바인더의 재생효과가 있어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에 적용하였을 때 재래식 가열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에 비하여 약 5%의 터프니스를 증가시켰다. 아스팔트 표면강화공법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ew asphalt surface reinforcement method (ASRM) is one of the preventive maintenance methods in asphalt concrete pavements. The adhesion performance of new ASRM satisfied the standard of non-slip pavement and bridge waterproofing materials. As a results of durability tests (as wheel load, roll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예방적 유지보수 공법으로 포장 표면에 도포하여 포장의 균열 충진 및 아스팔트 바인더의 노화 방지 및 방수기능 향상과 포장을 보호하여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표면처리공법 중 하나인 아스팔트 표면강화공법(ASRM, Asphalt Surface Reinforcement Method)의 특성 및 성능을 평가하고자 한다.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표면처리공법은 아직 국내의 기준이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에 마땅히 적용할 수 있는 실험방법이나 시방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 실제 공용중인 도로포장은 차량의 급가속, 제동 등 타이어 접지압에 의해 포장체에 전단응력이 발생한다. 표면강화제는 차량타이어와 직접 닿기 때문에 더 큰 전단력이 발생하며 이에 대한 저항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필름형태로 도포되는 표면강화제의 전단접착 강도 평가를 위한 실험 방법이 없어 교면용 도막 방수재(KS F4932)의 전단접착강도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예방적 유지보수를 하는 이유는? 예방적 유지관리 방법은 포장층에 발생한 균열과 같은 파손을 보수하고 진전을 막아 포장층 하부로 우수 침투를 방지하는 균열처리공법과 포장표면의 경미한 라벨링, 산화 등으로 거칠어진 포장 표면을 보수하고 골재박리에 대한 저항을 위해 사용하는 표면처리공법으로 구분된다(Lee, 2017). 예방적 유지보수를 적절한 시기에 적용할 경우 유지보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MLIT, 2013).
대표적인 예방적 유지보수 공법은 무엇인가? 특히 포장의 기능을 완전히 상실한 후 포장을 제거하고 다시 포장을 실시하는 방법 대신 기존 포장의 적절한 관리를 통해 공용수명을 연장하는 예방적 유지보수 관리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예방적 유지보수는 포장의 공용수명 연장을 위해 구조적 기능보다는 기존 포장의 보수와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공법들이 많으며 대표적인 예방적 유지보수 공법으로 칩씰(Chip Seal), 포그씰(Fog Seal)과 같은 표면처리공법이 있다. 이러한 표면처리공법은 기존 도로 파손상태가 심각한 경우에는 적용이 어려우나 파손 초기, 중기에 적용할 경우 포장의 수명을 연장하여 도로유지관리에 경제적인 것으로 알려졌다(Gransberg, 2006).
기존 포장의 적절한 관리를 통해 공용수명을 연장하는 예방적 유지 보수 공법 중 표면처리공법의 장단점은?? 예방적 유지보수는 포장의 공용수명 연장을 위해 구조적 기능보다는 기존 포장의 보수와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공법들이 많으며 대표적인 예방적 유지보수 공법으로 칩씰(Chip Seal), 포그씰(Fog Seal)과 같은 표면처리공법이 있다. 이러한 표면처리공법은 기존 도로 파손상태가 심각한 경우에는 적용이 어려우나 파손 초기, 중기에 적용할 경우 포장의 수명을 연장하여 도로유지관리에 경제적인 것으로 알려졌다(Gransberg, 2006). 하지만 국내의 경우 대부분의 포장 유지관리가 신규포장 및 절삭 덧씌우기 공법에 집중되어 있어 예방적 유지관리 공법, 특히 표면처리공법의 적용이 미흡한 실정이다(Lee,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Gransberg, D. D. (2006). "Correlating chip seal performance and construction method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o. 1958,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of the National Academies, pp. 54-58. 

  2. Kwon, O. S., Kang, M. S. and Ok, C. G. (2015). "A study of change in asphalt pavement degree of oxidation by performance period."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conference, Vol. 2015, No. 10. p. 56 (in Korean). 

  3. Lee, S. Y. (2017). "Field performance evaluation of preventive maintenance methods."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ol. 19, No. 2, pp. 103-112 (in Korean). 

  4.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A) (2012). Road Design Manual (in Korean). 

  5.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LIT) (2013). Road Pavement Maintenance Manual (in Korean). 

  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LIT) (2017). Asphalt Mixture Construction Guidelines (in Korean). 

  7. Park, K. W. (2004).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road maintenance system -on the pavement maintenance of national highway,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 Korean). 

  8. KS F 4936, Coating materials for the protection of concrete (in Korean). 

  9. KS D 0246, Methods of thickness test for metallic coatings (in Korean). 

  10. KS M ISO 4892-2, Plastics-methods of exposure to laboratory light sources-part 2:xenon-arc sources (in Korean). 

  11. KS F 2375, Standard test method for measuring surface frictional properties using the british pendulum tester (in Korean). 

  12. KS F 2584, Standard test method for accelerated carbonation of concrete (in Korean). 

  13. KS F 4937, Surface finishing material for parking slab (in Korean). 

  14. KS M 5000, Testing method for organic coatings and their related materials (in Korean). 

  15. KS F 4932, Waterproofing membrane coating for concrete deck of bridge (in Korean). 

  16. SPS-KTS. 1102-1890, Pavement materials for antiskid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