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증후군감시 조기경보시스템의 국내외 운영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eration Status of Syndromic Surveillance System for Early Detection of Adverse Disease Events 원문보기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19 no.3, 2018년, pp.587 - 593  

양은주 (질병관리본부 긴급상황센터) ,  박현우 (충북대학교 전기전자정보컴퓨터학부 데이터베이스) ,  류근호 (충북대학교 전기전자정보컴퓨터학부 데이터베이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증후군감시감염병 발생 초기에 나타날 수 있는 임상적 증상 발생동향을 감시하여 감염병의 발생을 가능한 조기에 인지하기 위해 고안된 감시체계이다. 한국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응급실 기반의 증후군감시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현 시스템의 기능을 강화하고자 국외 증후군감시 조기경보시스템에 관한 문헌조사를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국외 증후군감시 조기경보시스템 운영현황을 설명, 비교하여 한국의 응급실 기반 증후군감시를 위한 조기경보시스템의 개선에 필요한 근거자료를 마련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yndromic surveillance system is designed to identify illness clusters before diagnoses are confirmed and reported to public health agencies, to provide rapid public health response, and thereby to reduce morbidity and mortalit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has impl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IDARTHa 프로젝트에는 Austria, Belgium, Czech Republic, Denmark, Finland, France, Germany, Hungary, Italy, Norway, Spain, Turkey 12개 나라가 참여하였으며, 2008년부터 시작하여 2010년 12월까지 운영되었다. 각 지역에 응급의료 구급 서비스의 출동을 배치하는 응급상황실,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 및 병원 내 응급실에서 발생하는 환자의 신고 내용 또는 환자의 진료 관련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증후군의 조기 발견을 목적으로 운영되었다. 인플루엔자, 인플루엔자 유사 질환, 위장관, 호흡기, 중독, 폭염 관련 증후군을 감시 대상으로 하며, 식별번호, 내원일시, 우편번호, 증상, 진단, 연령, 성별, 중증도 정보를 수집한다[9, 10].
  • 미국 뉴저지의 Bergen County에서 공중보건 활동에 사용할 수 있는 일관되고, 시기적절하게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DEDSS는 Bergen County의 6개 병원 중 4개 병원에서 모든 응급실 방문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비정상적인 패턴의 감염병이나 특정 감염병 또는 증후군의 사례를 분석하여 테러와 관련된 감염병(탄저, 두창)이나 자연 발생 감염병 (인플루엔자, 식중독, 수인성 감염병)의 전구증상과 관련된 증후군 환자를 감시한다[7].
  • 문헌을 조사한 결과, 전 세계적으로 CUSUM,과 EARS C1, C2, C3 조기경보알고리즘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질병관리본부 응급실 기반 증후군감시시스템에 적합한 조기경보알고리즘을 파악하기 위해 기존의 조기경보알고리즘에 관한 성능평가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외 증후군감시 조기경보시스템 구축현황을 설명, 비교하여 한국의 응급실 기반 증후군감시를 위한 조기경보시스템의 개선에 필요한 근거자료를 마련하였다. 이로써 생물테러와 관련된 감염병의 이상증후를 조기에 인지하여 국내 감염병의 확산을 방지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국외 증후군감시 조기경보시스템 구축현황을 설명, 비교하여 한국의 응급실 기반 증후군감시를 위한 조기경보시스템의 개선에 필요한 근거자료를 마련하였다. 이로써 생물테러와 관련된 감염병의 이상증후를 조기에 인지하여 국내 감염병의 확산을 방지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미국 이외 유럽과 중국 등에서도 증후군감시시스템과 조기경보시스템을 구축, 운영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많은 증후군감시시스템이 존재하고 있지만[4], 본 논문에서는 조기경보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운영 중에 있는 증후군감시시스템을 기반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 미국의 여러 도시와 주는 지역의 감염병 조기인지를 위해 증후군감시 기반의 조기경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3]. 증후군감시 기반의 조기경보시스템은 현재, 이탈리아, 중국, 대만 등 전 세계적으로 운영 중에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증후군감시 조기경보시스템의 증후군감시대상, 감시목적, 조기경보알고리즘, 시스템 구성, 시스템 운영에 관한 연구동향을 조사하였으며, 문헌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국의 응급실 기반 증후군감시를 위한 조기경보시스템의 개선방향을 마련하였다.
  • 증후군감시는 의사에 의한 의심 또는 확진사례나 임상병리 검사결과 이전단계인 환자 방문초기에 보이는 증상에 대한 감시를 함으로써 감염병의 발생 자체를 감시하는 것이 아닌 감염병 발생 초기동향을 감시하는 것이다. 한국 질병관리본부에서 사용하고 있는 응급실 기반 증후군감시시스템의 조기경보알고리즘을 증후군별 데이터 특성에 맞게 개선, 강화하고자 국외 증후군감시 조기경보시스템 운영현황에 관한 최신동향을 파악하였다. 문헌을 조사한 결과, 전 세계적으로 CUSUM,과 EARS C1, C2, C3 조기경보알고리즘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질병관리본부 응급실 기반 증후군감시시스템에 적합한 조기경보알고리즘을 파악하기 위해 기존의 조기경보알고리즘에 관한 성능평가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증후군감시란? 증후군감시는 감염병 발생 초기에 나타날 수 있는 임상적 증상 발생동향을 감시하여 감염병의 발생을 가능한 조기에 인지하기 위해 고안된 감시체계이다. 한국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응급실 기반의 증후군감시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현 시스템의 기능을 강화하고자 국외 증후군감시 조기경보시스템에 관한 문헌조사를 하였다.
국외 증후군감시 조기경보시스템 운영현황에 대한 최신 동향은 어떠한가? 한국 질병관리본부에서 사용하고 있는 응급실 기반 증후군감시시스템의 조기경보알고리즘을 증후군별 데이터 특성에 맞게 개선, 강화하고자 국외 증후군감시 조기경보시스템 운영현황에 관한 최신동향을 파악하였다. 문헌을 조사한 결과, 전 세계적으로 CUSUM,과 EARS C1, C2, C3 조기경보알고리즘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질병관리본부 응급실 기반 증후군감시시스템에 적합한 조기경보알고리즘을 파악하기 위해 기존의 조기경보알고리즘에 관한 성능평가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외 증후군감시 조기경보시스템 구축현황을 설명, 비교하여 한국의 응급실 기반 증후군감시를 위한 조기경보시스템의 개선에 필요한 근거자료를 마련하였다.
고전적인 감시는 무엇인가? 고전적인 감시는 의사에 의한 의심 혹은 확진사례나 임상병리 검사 결과 확진 사례의 보고를 통하여 감시대상 감염병의 발생양상을 감시하는 것임에 비해 증후군감시(Syndromic Surveillance)는 감시 대상 감염병의 발생 자체를 감시하는 것이 아니라 감염병 발생 초기에 나타날 수 있는 여러 가지 비특이적인 징조(전구증상)의 발생양상을 감시하여 감염병의 발생을 가능한 조기에 인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증후군감시는 감염병에 대한 실험실 확진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 아닌, 증후군적 진단을 나타내는 임상적 증상과 신호(sign)에 대한 출현을 기반으로 한다[1,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J. P. Cho, Y. G. Min, and S. C. Choi, "Syndromic Surveillances based on the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 41, No. 4, pp. 219-224, 2008. 

  2. S. Bracebridge, A. J. Elliot, G. Smith, Real-time Syndromic Surveillance, Essentials of Environmental Epidemiology for Health Prote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pp. 98-110, 2013. 

  3. N. E. Kman, D. J. Bachmann, "Biosurveillance: A Review and Update", Advances in Preventive Medicine, Article ID 301408, 2012. 

  4. P. Yan, H. Chen, D. Zeng, "SYNDROMIC SURVEILLANCE SYSTEMS PUBLIC HEALTH AND BIODEFENSE", Appeared in Annual Review of Informaiton Science and Technology, Vol.42, 2008. 

  5. F. C. Tsui, et al., "Technical Description of RODS: A Real-time Public Health Surveillance System", JAMIA, Vol.10, No.5, pp. 399-408, 2003. 

  6. P. H. Gesteland, et al., "Automated syndromic Surveillance for the 2002 Winter Olympics", JAMIA, Vol.10, No.16, pp. 547-54, 2003. 

  7. M. Paladini, "Daily Emergency Department Surveillance System-Bergen County, New Jersey", MMWR, Vol.53, pp. 47-49, 2004. 

  8. Johns Hopkins University Applied Physics Laboratory, "OpenESSENCE User Guide For the OpenESSENCE demo site", 2013. 

  9. P. Pinheiro, et al. "SIDARTHa Syndromic Surveillance System: Test, Evaluation & Recommendations", Bad Honnef, 2007. 

  10. A. Ziemann, et al., "Early Detection of Health Threats: International State-of-the Art & European Context", Bad Honnef, 2007. 

  11. C. Napoli, F. Riccardo, et al., "An Early Warning System Based on Syndromic Surveillance to Detect Potential Health Emergencies among Migrants: Results of a Two-Year Experience in Italy",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Vol.11, No.8. pp.8529-8541, 2014. 

  12. G. Guasticchi, P. G. Rossi, et al., "The emergency visit-based syndromic surveillance of the Lazio region. Results of the pilot phase", Itali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6, No.2, 2009. 

  13. A. V. Dijk, et al., "Real-Time Surveillance for Respiratory Disease Outbreaks, Ontario, Canada",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Vol.15, No.5, pp. 799-801, 2009. 

  14. R. Morbey ,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statistical methods to improve the utility of syndromic surveillance in England", Warwick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Warwick, 2017. 

  15. W. Yan, L. Palm, X. Lu, et al., "ISS-An Electronic Syndromic Surveillance System for Infectious Disease in Rural China", PLoS One, Vol.8, No.4, 2013. 

  16. T. S. Wu, F. Y. Shih, et al., "Establishing a nationwide emergency department-based syndromic surveillance system for better public health responses in Taiwan", BMC Public Health, Vol.8, No.18, 2008. 

  17. E. Yang, S. Cho, "The Status of Enhanced Syndromic Surveillance System in South Korea", PUBLIC HEALTH WEEKLY REPORT, Vol.8, No.52, pp.1255-1258,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