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안전관리 지원을 위한 3차원 지반정보 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Plan of 3D Geotechnical Information for the Support of Underground Space Safety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1 no.1, 2018년, pp.23 - 34  

박동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CT 융합연구소) ,  장용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CT 융합연구소) ,  최현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CT 융합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대도심지를 중심으로 지반침하, 지반함몰 등 지하공간에서의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에 정부차원에서의 다양한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이의 일환으로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을 추진 중에 있다. 3차원 지반정보는 지하공간통합지도의 핵심 구성요소이며,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의무화된 지하안전영향평가의 주요 데이터로 활용된다. 3차원 지반정보의 구축 방법은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 기본계획 수립 시 도출되고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에서 지속적인 구축을 추진하고 있으나, 정확성, 효율성, 활용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방안 도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안전관리 지원을 위해 3차원 지반정보의 정확성, 활용성, 구축 효율성을 고려한 구축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토지반정보 포털시스템에서 보유한 시추정보와 지반정보 구축 소프트웨어인 MVS, MakeJiban을 활용하여 표고와 지층 기반의 구축 높이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종합적인 분석결과 정확성, 활용성, 효율성 측면에서 원표고 기반의 전체 지층 일괄 구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괄성 있는 3차원 지반정보 구축을 추진할 계획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mainly in downtown, there have been frequent safety incidents in underground space like ground subsidence and land sinking. Out of diverse coping measures, the government is carrying forward the establishment of underground space integrated map. As a core element of the underground space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지반정보에 대한 원표고와 현표고, 지층일괄구축과 지층 개별구축 결과의 RMSE 비교를 통해 현재까지 통일되지 않았던 3차원 지반정보구축 방안을 정확도, 구축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그림 2는 본연구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 본 연구에서는 지하안전관리에 활용될 3차원지반정보 구축을 위해 정확성·활용성·구축 효율성 측면에서 비교·검토하여 최적의 구축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이 경우 정확성도 중요한 검토 내용이 되겠지만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지반정보구축에 있어서 구축 효율성도 주요 검토 내용이었다. 이에 따라, 정확성과 구축효율성을 비교하여 최적의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원표고 및 현표고 기반의 3차원 지반정보 구축 결과, 지층 일괄구축 및 개별 지층 구축 기반의 구축 결과의 시추공 높이 비교검토를 통한 3차원 구축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현재의 표고를 반영할 경우 3차원 지도 상에서 시각적으로는 뛰어날 수 있으나 표고를 수정하면서 원 데이터에 있는 지층이 사라지거나 기존 지층보다 더욱 매립되는 경우도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도 안고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반정보를 구축함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표고 반영 문제 해결을 위해 각각의 정확성과 활용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3차원 지반정보의 구축 방안이 고려한 두가지 측면은? 3차원 지반정보의 구축 방안은 원표고 기반의 구축과 현표고 기반의 구축, 지층 일괄 구축과 지층별 구축 등 크게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하였다.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이 시행된 날짜는? 이에 정부차원에서의 다양한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을 추진 중에 있다. 또한, 2016년 1월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고 2018년 1월 1일 시행되었다.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 기본계획에서는 3차원 지반정보 구축을 위해 고려되는 3가지 방안은? 먼저 1안은 시추정보를 3차원, 관정정보와 지질정보는 2차원으로 구축하는 것이다. 관정정보가 2차원으로 구축될 경우 지하공간 안전사고예방 및 분석에 있어 활용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2안은 시추정보와 관정정보를 3차원으로 만들고 지질정보는 2차원의 표면정보로 만드는 것으로1안에 비해 비교적 정보의 활용성이 높고, 시간적, 비용적 측면에서 가장 현실적이고 이상적인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3안은 모든 정보를 3차원으로 구축하는 것으로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긴 하나 한정적인 시간과 비용적 측면에서 현 단계에서는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따라 기본계획에서는 3차원의 시추공 및 관정 점(point)정보와 시추정보 기반의 3차원 지층정보 위에 2차원의 지질정보를 중첩하여 구축하는 방안을 선정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Jang, Y.G. and H.S. Jeon. 2013. A study on plan to secure and manage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for preventing earthquake and steep slop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pp.18-19(장용구, 전흥수. 2013, 지진 및 급경사지 방재를 위한 지하공간정보 확보 및 관리방안 연구. 한국방재학회 2013 정기 학술발표대회, 18-19쪽). 

  2. Jeon, H.S. and Y.G. Jang. 2012. A study on integrated management of geotechnical and geological data for earthquake prevention.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1281 (전흥수, 장용구. 2012, 지반 및 지질정보 방재용 통합DB 관리시스템 개발 연구, 제38회 대한토목학회 정기 학술대회, 1281쪽). 

  3. Kang, Y.R. 2013. A study on application and integrated standardization of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Master's Thesis, Univ. of Pusan, Korea. pp.9-15 (강유라. 2013, 지하공간정보 인프라 구축 통합 표준화 및 활용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15쪽). 

  4. KICT. 2015. Basic plan establishment of costructing underground space integration map. MOLIT. pp.119-132 (한국건설기술 연구원. 2015,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 기본계획 수립 연구, 국토교통부, 119-132쪽). 

  5. Kim, S.K., Y.G. Jang, C.K. Kim and I.J. Kang. 2013. A study on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plan of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db for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Jortnal of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14(9):49-56(김수겸, 장용구, 김창규, 강인준. 2013, 지진방재를 위한 지하공간정보 DB 구축 및 활용 방안 연구,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14(9):49-56). 

  6. Kim, S.M., J.H. Kim, H.J, Kim, and J. Heo. 2015. Registration of 3D underground cadastral system,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pp.35-36 (김상민, 김정현, 김형진, 허준. 2015, 3차원 지하지적 등록 방안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35-36쪽). 

  7. Kim, S.S., W.K. Lee, Y.G. Jang, and Y.B. Jo. 2015. Development of a pilot program for the integration and utilization of integrated map of underground spac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pp.281-282 (김성수, 이원국, 장용구, 조유복. 2015, 지하공간통합지도 통합.활용을 위한 파일럿 프로그램 개발,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281-282쪽). 

  8. Lee, B.Y., B.S. Hwang, H.S. Kim, and W.J. Jo. 2016. Comparative evaluation on geotechnical information 3D visualization program for dredging quantity estimation.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aental Society 17(7):35-42 (이보영, 황범식, 김한샘, 조완제, 2016, 준설 물량 산출을 위한 지반정보 3차원 가시화 프로그램 비교 평가, 한국지반환공학회지 17(7):35-42) 

  9. Lee, B.Y., B.S. Hwang, and W.J. Jo. 2017. Precision analysis of geotechnical information for the 3D integrated undertound space map,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aental Society 18 (4):5-12 (이보영, 황범식, 조완제, 2017, 3차원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을 위한 지반정보 정밀도 분석, 한국지반환공학회지 18(4): 5-12) 

  10. Lee, S.M., 2006. The application of threedimensional GIS for the management of underground spaces: focused on the connection of subway station and underground arcades, Master's Thesis, Univ. of Seoul, Korea, pp.8-9 (이상미. 2006, 지하공간의 관리를 위한 3차원 GIS의 활용 : 지하철역과 지하상가 연계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9쪽). 

  11. Oh, C.K. 2017. A study on 3Dgeotechnical information ground topography interpolation accuracy verification measures for information visualization. Master's Thesis, Univ. of Seoul, Korea, pp8-18 (오창균. 2017, 3차원 지반정보 가시화를 위한 지형보간기법 정밀도 검증 방안,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18쪽). 

  12. Park, D.H., Y.G. Jang, J.Y. Woo, and W.K. Lee. 2015. Creastion plan of 3D geotechnical information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map.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103-104 (박동현, 장용구, 우제윤, 이원국. 2015,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을 위한 3차원 지반정보 생성 방안 수립,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 103-104쪽).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