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 빅데이터를 위한 동태적 시각화 모형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ynamic Visualization Model for Spatial Big Data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1 no.1, 2018년, pp.57 - 70  

김동한 (국토연구원 국토계획.지역연구본부) ,  김다윗 (국토연구원 국토계획.지역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빅데이터 시대로 진입하게 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생산 및 공유되어지는 무수한 양의 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곳곳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이러한 데이터와 발전된 기술을 통해 국토와 도시 공간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전통적 방식에서 보여주지 못하던 새로운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는 가능성과 이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틀을 넘어서는 정보의 구득 방식, 활용 및 전달을 위한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방법과 수단이 필요하며 이를 공공의 의사결정의 지원수단으로 활용하려는 노력도 함께 요구된다. 이 연구는 국토도시계획지원(planning support)의 한 수단으로 공간 빅데이터의 동태적 시각화 모형의 개발과 실증적용에 주요한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주요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데이터 시각화의 개념과 의미와 함께 계획지원 또는 의사결정에서의 공간 빅데이터 시각화의 적용이 가지는 효용성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둘째, 공간 빅데이터 동태적 시각화 모형을 개발하고, 제주도를 대상으로 실증적용을 수행하였다. 도시 공간의 현황 파악과 문제 해결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의 시각화 자체는 새로운 것은 아니다. 그러나 빅데이터와 새로운 시각화 툴을 활용할 경우 기존의 방식과는 차별되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계획지원을 위한 데이터 시각화의 활용성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dvancement and the spread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changes the way we live and act. Computer and ICT devices become smaller and invisible, and they are now virtually everywhere in the world. Many socio-economic activities are now subject to the use of computer and ICT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 속에서 공간 빅데이터의 시각화가 가지는 정책지원수단으로의 특징과 장점을 밝히고자 하며, 이를 위한 동태적 시각화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실증 분석을 통해 시각화의 활용성을 검토하고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공간 빅데이터의 동태적 시각화를 위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인 프로세싱 (Processing)의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자바 (Java) 언어로 모형을 설계하였으며, 제주도를 대상으로 휴대폰 기반의 유동인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간별 활동의 변화를 미시적이고 동태 적으로 시각화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S와 함께 Java 기반의 오픈소스 공간정보시각화 프로그램인 Processing을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공간 빅데이터가 가지는 동태적이고 미시적인 특성을 시각화하여 나타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 속에서 공간 빅데이터의 시각화가 가지는 정책지원수단으로의 특징과 장점을 밝히고자 하며, 이를 위한 동태적 시각화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실증 분석을 통해 시각화의 활용성을 검토하고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도시공간 내에서 무수히 발생되는 공간 빅데이터와 발전된 컴퓨팅 기술이라는 기회요인의 도시계획적 또는 도시정책적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출발하였다.
  • 한편 공간 빅데이터의 특성을 잘 나타내는 시각화를 위해서는 기존의 전통적인 GIS소프트 웨어로는 일정한 한계가 있어, 차별화된 시각화 도구와 수단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문제인식하에 이 연구에서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인 프로세싱을 활용하여 공간 빅데이터를 시각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해당 소프트웨어는 공간 빅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속성정보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는데는 한계가 있으며, 이 연구에서 개발한 시각화 모형도 공간 빅데이터의 내용적 속성을 다양하게 시각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데이터 시각화의 정의는 무엇인가? 즉, 특정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전달받는 것이 그 목적이다. 좀 더 좁은 의미에서 데이터 시각화(data visualization)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과학으로, 정보의 속성 혹은 변수 등을 포함하여 개략적인 형태의 추상화된 정보(Friendly, 2009)로 정의되고 있다. 또한, 데이터 시각화의 목적은 시각화(그래픽 수단)를 통해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정보를 교류(Communication)하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Friedman, 2008).
데이터 시각화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데이터 시각화는 정보 시각화, 과학적 시각화, 인포그래픽스 등으로 나눌 수 있다(Choe, 2013). 정보 시각화(Information Visualization)는 대규모의 데이터를 시각화를 구성하는 색채, 통계 (도표, 그래프 등), 이미지 등을 활용하여 요약 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두 가지 이상의 시각화 방법을 함께 사용했을 때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무엇인가? 두 가지 이상의 시각화 방법이 함께 사용한다면 더욱 많은 정보를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시계열 자료가 공간(지도) 상에 시간의 흐름에 따라 애니메이션으로 표현 된다면 시간에 따른 공간적 변화의 특성을 살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특정 지역의 인구 변화, 경제활동의 변화, 부동산 가격의 변화의 패턴 등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며, 자료를 보는 이들에게 기존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hn, C.M. 2013.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Data Visualization. Proceedings of Symposium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pp.868-869 (안춘모. 2013. 데이터 시각화의 현황과 전망에 관한 연구.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868-869쪽). 

  2. Bosselmann, P. 1998. Representation of places. Reality an realism in city desig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California. 

  3. Choe, G.S., Y.G. Ham, and S.H. Kim. 2013. Big data visualization. KSCI review 21(1):33-43 (최광선, 함영경, 김선호, 2013. 빅데이터 시각화.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21(1):33-43). 

  4. Friedman, V. 2008. Data visualization and infographics. Smashing Magazine. http://www.smashingmagazine.com/2008/01/14/mondayinspiration-data-visualization-and-infographics/ 

  5. Friendly, M. 2006. A brief history of data visualization. In: C. Chen et al.(ed.). Handbook of Data Visualization. Springer Handbooks Computational Statistics. Springer, Berlin, Heidelberg, pp.15-56. 

  6. Friendly, M. 2009. Milestones in the history of thematic cartography, statistical graphics, and data visualization. http://www.math.usu.edu/-symanzik/teaching/2009_stat6560/Downloads/Friendly_milestone.pdf 

  7. Kim, D.H. 2015. Spatial big data analysis and application for national and urban policy. Real Estate Focus, 84. pp.26-41. (김동한. 2015. 국토도시 정책을 위한 공간 빅데이터 분석과 활용. 부동산 포커스, 84: 26-41쪽). 

  8. Kim, H.Y. 2014. Case study of big data visualization.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13(4):125-136). (김형년. 2014. 빅데이터 비주얼라이제이션 사례 분석.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13(4):125-136). 

  9. Kim, M.S. 2013. Spatial big data issue.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pp.33-43 (김민수. 2013. 공간 빅데이터 이슈.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33-43쪽). 

  10. Klosterman, R.E. 2001. Planning Support Systems: a new perspective on computer-aided planning. In: R.K. Brail and R.E Klosterman(ed.). Planning Support Systems Integrat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models, and visualization tools. ESRI Press. pp.1-23. 

  11. Langendorf, R. 2001. Computer-aided visualization: Possibilities for urban design, Planning, and Management. In: R.K. Brail and R.E Klosterman(ed.). Planning Support Systems Integrat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models, and visualization tools. ESRI Press. pp.309-359. 

  12. McCormick, B.H., T.A. DeFanti and M.D. Brown. 1987. Visualization in scientific computing. Computer Graphics 21(6). 1987. 

  13. Yau, N. 2011. Visualize this: the flowing data guide to design, visualization, and statistics. John Wiley & Son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