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빅데이터를 위한 정보 시각화 방법
Information Visualization Process for Spatial Big Data 원문보기

한국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23 no.6, 2015년, pp.109 - 116  

서양모 (Geopeople company) ,  김원균 (Geopeople compan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공간빅데이터의 개념과 특징을 정의하고 데이터에 대한 통찰력을 높일 수 있는 정보 시각화 방법론을 조사하였다. 또한 시각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및 해결방법을 제시하였다. 공간빅데이터를 공간정보의 정량적인 확장의 결과와 빅데이터의 정성적인 확장의 결과로 정의하였다. 공간빅데이터는 6V(Volume, Variety, Velocity, Value, Veracity, Visualization)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최근 활용 서비스 측면이 이슈화 되면서 공간빅데이터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여 데이터의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 공간빅데이터의 시각화가 주목받고 있다. 정보 시각화의 방법은 Matthias, Ben, 정보디자인교과서 등을 통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정의 되어 있으나 공간빅데이터의 시각화는 방대한 양의 원시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조직화 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려는 정보를 추출해야 하는 차이점이 있다. 추출된 정보는 특성에 따른 적합한 시각적 표현 방법을 사용해야 하며, 많은 양의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없으므로 필터링, 샘플링, 데이터 비닝, 클러스터링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축소하여 표현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define the concept of spatial big data and special feature of spatial big data, examine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ology for increase the insight into the data. Also presented problems and solutions in the visualization process. Spatial big data is defined as a result of quanti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간빅데이터의 활용에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지만 다양한 개념이 혼재된 특성으로 인해 데이터에 대한 배경 지식이 없이는 모든 사람들이 원하는 결과를 얻기는 힘들다. 따라서 공간빅데이터의 정보 시각화를 통해 데이터에 대한 통찰력을 얻는 것이 비즈니스 모델에 활용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제시 하였다. 공간빅데이터를 시각 화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조직화 과정을 거쳐야 하며 데이터를 정보화 하고 정보 전달을 위해 적합한 시각적 표현과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시각적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 축소 방법을 찾아야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공간빅데이터의 활용을 위해 데이터에 대한 통찰력이 필요하며, 이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정보 시각화 방법론을 제시하고 공간빅데이터의 정보 시각화에 적합한 여러 형태의 방법론을 조사 정리 하고자 하였다. 공간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저장・관리・분석 측면의 특성 뿐 만 아니라 활용・서비스 측면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 시각화는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 되지만 모든 시각화는 다양한 의미가 혼재된 데이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의미를 정확하고 효율적이며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시각적 표현이다. 시각화의 목표는 사용자가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분석하고, 탐색하고, 검색하고, 설명하고,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데이터에 대한 통찰력을 갖게 해주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공간빅데이터의 시각화는 위치정보를 중심으로 기록된 다양한 데이터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시각적 표현을 통해 전달하기위한 방법 및 과정으로 정의 할 수 있다.
  • 공간빅데이터를 시각 화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조직화 과정을 거쳐야 하며 데이터를 정보화 하고 정보 전달을 위해 적합한 시각적 표현과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시각적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 축소 방법을 찾아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간빅데이터를 정의하고 정보 시각화 방법론 중 공간빅데이터의 정보 시각화에 적합한 시각화 방법론을 정리하였으며, 시각적 표현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정리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SNS 데이터를 활용하여 위치와 비율의 서로 다른 유형의 정보를 함축적으로 표현하여 시각화 하는 사례를 제시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간빅데이터 대한 정의를 정리하고 공간빅데이터를 시각하기 위한 정보시각화 방법을 조사 하였으며, 공간빅데이터 시각화에 정합한 시각화 방법을 정리 하였다. 또한 시각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해결 방법을 정리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간빅데이터란 무엇인가? 또한 시각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및 해결방법을 제시하였다. 공간빅데이터를 공간정보의 정량적인 확장의 결과와 빅데이터의 정성적인 확장의 결과로 정의하였다. 공간빅데이터는 6V(Volume, Variety, Velocity, Value, Veracity, Visualization)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최근 활용 서비스 측면이 이슈화 되면서 공간빅데이터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여 데이터의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 공간빅데이터의 시각화가 주목받고 있다.
공간빅데이터의 특징은 무엇인가? 공간빅데이터를 공간정보의 정량적인 확장의 결과와 빅데이터의 정성적인 확장의 결과로 정의하였다. 공간빅데이터는 6V(Volume, Variety, Velocity, Value, Veracity, Visualization)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최근 활용 서비스 측면이 이슈화 되면서 공간빅데이터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여 데이터의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 공간빅데이터의 시각화가 주목받고 있다. 정보 시각화의 방법은 Matthias, Ben, 정보디자인교과서 등을 통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정의 되어 있으나 공간빅데이터의 시각화는 방대한 양의 원시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조직화 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려는 정보를 추출해야 하는 차이점이 있다.
공간 데이터 활용을 위한 공간빅데이터 시각화 과정은 어떻게 되는가? 공간빅데이터 시각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문제점과 시각화 프로세스를 정리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수행한다. 첫째, 공간빅데이터의정의와 특성을 정리하고 공간빅데이터 시각화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둘째, 다양한 시각화 방법을 조사하고각 시각화 방법의 차이와 함께 공간빅데이터에 중요한 시각화 단계를 설명하여 적합한 시각화 방법을 정리 한다. 셋째, 공간빅데이터의 특성으로 인해 발생할수 있는 문제점을 제기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hn, C. W; Hwang, S. K. 2012, Big Data Technologies and Main Issues, Communications of The Korea Science Society, 30(6):10-17. 

  2. Manyika, J; Chui, M; Brown, B; Bughin, J; Dobbs, R; Roxburgh, C; Byers, A. H. 2011, Big data: The next frontier for innovation, competition, and productivity, McKinsey Global Institute. 

  3. Kim, J. S. 2012, Big data Utilization and related Technique and Technology Analysis,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Review, 10(1):34-40. 

  4. Kim, D. J. 2013, Smart and Trusted Government Implementation using Spatial Big Data, KRIHS Monthly Magazine, 379:12-18. 

  5. Kim, D. H; Kim, E. B. 2014, Spatial Big Data Analysis and Apply for citizen-feeling National and Urban Policy, KRIHS Policy Brief, 496:1-8 

  6. Shekhar, S; Gunturi, V; Evans, M. R; Yang, K. 2012, Spatial big-data challenges intersecting mobility and cloud computing, In Proceedings of the Eleventh ACM International Workshop on Data Engineering for Wireless and Mobile Access, 1-6. 

  7. Ahn, J. W; Yi, M. S; Shin, D. B. 2013, Study for Spatial Big Data Concept and System Building,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1(5):43-51. 

  8. Geo-Spatial Big Data Research Group, Accessed October 29. http://geosbigdata.re.kr 

  9. Rho, S. M; Choi, Y. S. 2014, Analysis of Big Data Visualization Technology Based on Patent Analysis,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51(7):149-154. 

  10. Khan, M; Khan, S. S. 2011, Data and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s, and Interactive Mechanisms: A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Applications, 34(1):1-12. 

  11. Ben, F. 2007, Visualizing Data: Exploring and Explaining Data with the Processing Environment, O'Reilly Media. 

  12. Julie, S; Noah, L. 2010, Beautiful Visualization, O'Reilly Media. 

  13. Oh, B. K; Kang, S. J. 2008, Textbook of Information Design, ahn graphics publishers. 

  14. Lee, J. S. 2013, A Study on Visual Representations for Information Design based on Big Data,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14(3):261-269. 

  15. OH, J. H; Kim, D. J; Kim, J. D. 2014, Big data visualization methods and visualization process, Korea Multimedia Society, 18(1):24-31. 

  16. Liu, Z; Jiang, B; Heer, J. 2013, imMens: Realtime Visual Querying of Big Data, In Computer Graphics Forum, 32(3):421-43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